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Burgundy Jun 27. 2021

[영화] <내 사랑>(2016)과 모드 루이스


오늘 소개드릴 영화는 <내 사랑(My love)>(2016)입니다. 이 영화는 캐나다의 소박파(naive art) 화가인 모드 루이스(Maud Lewis, 1903-1970)의 실화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소박파는 미술정규교육을 받지 않고, 자신만의 세계에 집중하여 미술양식이나 규범에는 무관심한 일군의 작가들을 일컫습니다. 자신만의 독특한 화풍이 인상적인 작가들이라고 할 수 있겠죠. 그래서 영어로는 순진한이라는 의미를 가진 나이브(naive)를 사용하고 있답니다. 



먼저 줄거리를 간략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주인공 모드 루이스역은 샐리 호킨스(Sally Hawkins)가, 에버렛 루이스 역은 에단 호크(Ethan Hawke)가 맡았습니다. 선천적 기형으로 태어나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제대로 걷기가 어려운 모드. 혈육인 오빠에게서 버림받고 친척 집에서 살고 있습니다. 어느날 마켓에서 에베렛이 가정부를 구한다는 구인광고를 내는 것을 보고는 그 길로 그를 찾아갑니다. 에버렛은 마르고 걸음걸이도 부실해보이는 모드가 탐탁지 않았지만, 다른 누구도 찾아오지 않아 그녀를 고용하게 됩니다. 생선도 팔고, 농장의 일도 돕고, 보육원에서도 일하는 에버렛은 방 한칸짜리 작은 집에서 가난한 삶을 살고 있습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모드는 에버렛의 삶에 자연스럽게 녹아들게 되고, 둘은 결혼을 하기에 이릅니다. 어느 날 한 여성이 에버렛을 찾아왔다가 모드의 그림을 보고 구입하게 되고, 모드의 그림은 점차 많은 이들에게 사랑을 받게 됩니다. 뉴스에도 소개되고, 백악관에서도 모드의 그림을 구입하면서, 모드의 작품을 사려고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었습니다. 



그는 그림에서 밝은 색상을 혼합하지 않고 사용했으며, 소나 말, 새, 사슴, 고양이, 꽃 등 동물이나 식물, 야외 풍경을 주로 그렸습니다. 어린 시절의 추억, 혹은 상업용 크리스마스 카드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작품은 관절염의 영향으로 그릴 수 있는 크기가 제한되어 있어 대부분 작은 사이즈로 그려졌습니다. 모드는 1970년 폐렴으로 죽기 전까지 쉬지 않고 그림을 그렸어요. 그림을 가르쳐달라는 부탁에 그녀는 가르쳐줄 수 없다고 말합니다. 그저 하고 싶은 것을 하는 것이기 때문이라고요. 그림을 향한 순수한 열정을 좇아 어려운 상황에서도 그리는 것을 멈추지 않았던 모드 루이스. 아무래도 영화는 모드와 에버렛의 관계와 사랑에 초점을 둔 듯 보이지만, 에버렛에 대한 사랑 못지 않게 모드 루이스가 사랑했던 것은 그리기라는 행위 그 자체인듯 합니다. 


소중한 것은 옆에 있을 때는 중요성을 잘 모르다가, 떠나고 나서야 알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바쁜 일상에 치여 생각할 시간 조차 없다면, 잠시 휴식이 필요한 시점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영화 <내 사랑>은 넷플릭스에서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Written by 버건디 


매거진의 이전글 [영화] <프리다>(2003)와 프리다 칼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