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첨물 Oct 24. 2024

갈라진 한반도, 닮은꼴 비극: 베트남전과 우크라이나전

한반도의 아픔에 대해 클로드와 대화하다




한반도의 현대사는 눈물로 쓰여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일제 강점기의 상처가 채 아물기도 전에 맞이한 분단, 그리고 동족상잔의 비극. 이제 또다시 우리는 남과 북이 각각 다른 전쟁터에서 젊은이들의 피를 흘려야 했던, 혹은 흘려야 하는 아픈 현실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닮은꼴 비극의 뿌리


1960년대 베트남전 파병과 2024년 우크라이나전 파병. 시대도, 장소도 다르지만 그 본질은 너무나도 닮아있습니다. 가난과 분단이라는 굴레 속에서,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젊은이들의 목숨을 담보로 내야 했던 처절한 선택이었습니다.


한국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면서 수많은 청년들을 잃었습니다. 살아 돌아온 이들은 평생 전쟁의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야 했습니다. 하지만 그 대가로 받은 파병 자금은 분명 한국 경제 발전의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이제 북한이 같은 선택의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생존을 위한 처절한 선택


강대국들의 세계 질서 속에서 작은 나라들은 늘 선택을 강요받아왔습니다. 더구나 분단국가인 남과 북은 각각 미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의 영향력 아래에서 생존을 모색해야 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정치적 선택이 아닌, 민족의 생존이 걸린 처절한 결단이었습니다.


북한의 우크라이나전 파병은 제재로 인한 극심한 경제난과 체제 생존이라는 절박한 상황에서 나온 결정입니다. 마치 60년대 한국이 베트남전 파병을 통해 미국과의 동맹을 강화하고 경제 발전의 기회를 얻으려 했던 것처럼, 북한 역시 러시아와의 군사동맹 강화와 경제적 지원을 바라고 있습니다.


되풀이되는 민족의 비극


가장 안타까운 것은 이러한 선택이 결국 우리 민족 스스로가 만든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분단이라는 굴레가 남과 북 모두를 강대국의 패권 다툼 속으로 끌어들였고, 그 속에서 우리는 자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한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베트남전 참전 용사들의 트라우마가 아직도 한국 사회에 깊은 상처로 남아있듯이, 우크라이나로 떠나는 북한의 젊은이들 역시 비슷한 운명을 맞이하게 될 것입니다. 이는 단순히 한 세대의 희생으로 끝나지 않고, 앞으로도 오랫동안 우리 민족이 짊어져야 할 아픔이 될 것입니다.


평화통일의 절실함


이러한 비극적 현실은 역설적으로 한반도 평화통일의 절실함을 보여줍니다. 강대국의 이해관계 속에서 우리 민족의 운명이 좌우되는 현실, 그리고 그 속에서 젊은이들의 목숨을 담보로 해야 하는 비극적 선택들. 이 모든 것의 근본적 해결책은 결국 평화통일뿐입니다.


오늘도 우크라이나로 떠나는 북한의 청년들을 바라보며, 우리는 다시 한 번 분단의 아픔을 되새깁니다. 언젠가는 이 땅에서 더 이상 우리 청년들이 남의 전쟁터로 떠나지 않아도 되는 날이 오기를, 그래서 진정한 의미의 평화가 찾아오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AI에게 의대 증원 문제를 물어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