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소오생 Aug 29. 2023

06. 마흔 살에는 의심하지 말아라

[제1부. 공자의 리즈 시절]

노년이 되어서 찬란하게 빛나는 인생의 리즈 시절을 맞이하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 세 번째 갈림길의 순간은 마흔 나이다. 공자는 말한다.


[(吾)... 四十而不惑 ]

[ (오)... 사십이불혹 ]


첫 번째 독해법. 공자 왈:  나는 마흔 살이 되자 유혹에 흔들리지 않았다.    

두 번째 독해법. 공자 왈:  마흔 살 나이에는 유혹에 흔들리지 않도록 하자.   

    

여러분은 어느 쪽이 더 마음에 드시는가?




‘불혹不惑’은 공자가 파악한 삶의 연령별 특성 중에서 아마도 가장 많이 알려진 어휘일 것이다. 나이 마흔을 지칭하는 대명사로 아주 널리 사용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대부분 이 말을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이해한다. 정말 그럴까? 마흔 살 정도 나이를 먹게 되면 어떤 유혹에도 흔들리지 않는 그런 경지에 오르게 되는 걸까? 마흔을 넘기신 독자 여러분께 여쭤보고 싶다. 여러분은 어떠하신가? 어떠셨는가?

     

어렸을 때 나는 마흔 살 정도 나이를 먹게 되면 그 어떤 유혹에도 흔들리지 않고 의연할 수 있으려니 싶었다. 그런데, 겪어보니 오히려 그 반대였다. 알고 보니 나만 그런 게 아니라 다른 이들도 그렇단다. 천방지축 사춘기 때처럼 뜨거운 욕망을 마냥 드러낼 수는 없지만, 40대가 되면 대부분 남모르게 가슴앓이를 한단다. 제2의 사춘기라고나 할까? 그 정도가 사춘기 때보다 더하면 더했지 결코 못하지 않다고 한다. 



(오)... 사십이불혹.

(吾)... 四十而不惑. 



여기서 관건은 문장의 맨 앞에 있는 '나, 오吾'라는 글자다. 이 글자를 있는 그대로 해석하면 평서문이다. "나(공자)는 마흔 나이가 되니까 그 어떤 유혹에도 흔들리지 않는 경지에 오르게 되었노라!" 자못 오만한 선언이 된다. 이 글자를 빼고 해석하면 청유문이다. "40대는 특히 유혹에 흔들리기 쉬운 시기이니, 그 점에 유념하여 흔들리지 않도록 더욱 조심하고 경계하자." 공자의 따스한 권면과 당부의 말이 된다. 


나는 이 구절을 청유문으로 이해한다. 《논어》는 공자의 말을 기록한 책이지만 그가 직접 기록하고 쓴 책은 아니다. 그의 제자들, 또는 제자의 제자들, 심지어 수백 년 뒤의 제자들이 타인에게 전해 들은 공자의 말을 기록한 책이다. 공자를 성인聖人으로 신격화하기 위해 ‘나, 오吾’ 자를 슬쩍 집어넣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무엇보다 늘 겸손하게 타인에게 가르침을 구했던 공자 아닌가! 그런 공자가 그렇게 잘난 체 으스대는 언어를 구사했다고? 그럴 리가 없다.

 



그나저나, 인간은 왜 특히 마흔 살 무렵이 되면 유혹에 흔들리기 쉽다는 것일까? 합리적 근거가 있는 말일까? 그렇다. 근거가 있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이 무렵에 두 가지 심리 현상이 많이 나타난다고 한다. (1) 파랑새 증후군 bluebird syndrome.  (2) 빈 둥지 증후군 empty nest syndrome.


우리는 '파랑새'라는 이름만으로도 어린 시절 읽었던 동화를 떠올린다. 행복을 준다는 파랑새를 찾아서 모험을 떠난 틸틸과 미틸. 하지만 그들 남매는 그 어디에서도 파랑새를 찾지 못하고 낙심하여 집으로 돌아온다. 그런데 이게 웬 일? 알고 보니 자신의 집에서 기르고 있던 그 새가 바로 파랑새였다는 이야기. '파랑새 증후군'은 그 이야기에서 유래된 것이다. 


"행복은 먼 곳에 있는 게 아니야. 바로 우리 곁에 있어." 동화가 가르쳐주는 명쾌한 교훈이다. 하지만 인간은 알면서도 직접 확인하고 싶어 한다. 주어진 현실 환경에 만족하지 못하고 여전히 먼 곳에서 행복을 찾는다. 인간은 욕망의 동물이고, 욕망은 채우면 채울수록 더 커지기 때문이다. 특히 40대가 되면 젊음이 떠나갔다는 공허함에 초조해진다. 30대를 거치면서 나름대로 애써 쌓아 올린 가치관에 슬슬 회의가 생긴다. 

   

순진하거나 도덕적 가치관을 가졌던 사람일수록 더욱 흔들린다. 까짓 거, 인생 별거 있냐. 진작 이렇게 즐기며 사는 건데. 돈과 명예, 섹스의 유혹에 흔들린다. 춤바람이 나고, 러브호텔이 도처에 들어선다. 가산을 탕진하여 국회의원 선거에 나서다가 급기야 비리와 부정부패에 빠져든다. 긍정적인 현상도 있다. 뒤늦게 공부를 시작하거나, 과감하게 이직을 하거나, 모든 일을 정리하고 세계일주여행에 나서기도 한다. 


주부들에게 흔히 나타난다는 ‘빈 둥지 증후군’도 비슷하다. 언제까지나 품 안에 있을 줄 알았던 자식이, 늘 다정하게 자신을 품어줄 줄 알았던 남편이, 자신의 둥지를 떠나버리는 공허함을 말한다. 여인만 그러겠는가? 남자도 마찬가지다. 40대는 이래저래 삶의 전환기임에 틀림없다.   


중국문학에서는 마흔 나이의 이러한 공허한 심리를 ‘상춘傷春’이라고 한다. 김광석의 노랫말처럼 서른 즈음에는 언제나 머물러있는 줄 알았던 청춘이 조금씩 멀어져 가는 것을 느낀다. 마흔 즈음에는 그 현상이 더욱 심화된다. 이제는 완전히 떠나보낸 인생의 봄이 하염없이 아쉽고 가슴 아프기만 하다. 그게 마흔 나이의 공통된 특성이다. 그래서 특히 유혹에 흔들리기 쉬우니 더욱 경계하고 조심하자는 말인 것이다.




'불혹不惑'은 또한 ‘의심하지 말라’는 뜻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공자는 무엇을 의심하지 말라고 하는 걸까? 삶의 가치를 의심하지 말라는 뜻이 아닐까? 봄은 지났으되 보다 더 좋은 시절, 찬란하게 빛나는 인생의 리즈 시절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는 사실을 의심하지 말라고. 그러니 더 이상 지나간 봄 때문에 마음 아파하지 말라고. 공허한 마음을 떨치고 목적지를 향해 가던 길을 다시금 힘차게 걸어가자고 당부하는 것 아닐까. 




[ 표지 사진 ]

◎ 원저, 마테를링크. 장수민 글, 신지원 그림, 킨더랜드 출판《파랑새》의 표지 그림의 일부분. 


[ 사족 ]

◎ 이번에 새롭게 알게 된 사실 두 가지: 


① 벨기에의 극작가 마테를링크 M. Maeterlinck (1862~1949)의《파랑새 L'Oiseau bleu》는 원래 어린이를 위한 동화가 아니라 희곡이었다. 내가 어린 시절 읽었던 그 동화는 국내에서 축약하여 각색한 것이었다. 


② 나는 여태껏 주인공 남매 이름을 치르치르와 미치르로 알고 있었다. 그런데 그건 일본식 표기고 사실은 틸틸 Tyltyl과 미틸 Mytyl이었다. 즉 내가 읽었던 그 동화는 프랑스어 원작 번역본이 아니라, 일본인들이 축약해서 번역한 일본어판을 다시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었다. 헉. 여기에도 일본 제국주의의 잔재가... ㅠㅠ 아무튼 차제에 분명히 알아두자. 치르치르와 미치르가 아니다. 틸틸과 미틸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05. 서른 살에는 캡틴이 되어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