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낭중지추 Apr 18. 2024

 그 다음은.. apres cela

나아진다는 건 뭘까요?

행복해진다는 것일까요?

아니요 불행을 받아들이는거예요..

닥터 슬럼프에서 박신혜와 정신과 의사가 나누는 대화의 일부분이다. 불행이 없는 삶이 없고, 그저 평탄한 길만 이어지는 삶도 없다. 

아프레 쓸라 apres cela

불어로 ' 그 다음은' 이라는 뜻이다.

프랑스 파리에 있는 한 수도원으로 들어가는 입구에는 큰 돌 비석이 하나 있고 그 비문에는 '아프레 쓸라'라는 말이 세 번이나 반복해서 적혀 있다고 합니다. 

아프레 쓸라라는 말은 '그 다음은, 그 다음은, 그 다음은'이라는 뜻인데, 그 유래는 다음과 같다. 

고학을 하던 한 법대생이 마지막 한 학기를 남겨놓고 학비를 도저히 마련할 길이 없었다. 그는 고민 끝에 신부를 찾아가 도움을 청합니다. 

그러자 신부는 "마침 조금 전에 어떤 성도가 좋은 일에 써 달라고 돈을 한 묶음 갖다 놓고 갔네. 이건 분명히 자네를 위한 것일세."하고는 돈을 세보지도 않고 이 학생에게 내어 주었습니다. 

뜻밖의 도움을 받은 이 학생은 기쁜 얼굴로 봉투를 받아 돌아 나오는데 신부가 잠시 불러 세웁니다.

"한 가지 묻겠는데 자네는 그 돈을 가지고 가서 뭘 하려나?" 

"말씀을 드린대로 등록금을 내야징."

"그 다음은?"

"열심히 공부해서 졸업을 해야지요."

"그 다음은?"

"법관이 돼서 억울한 사람을 돕겠습니다. "

"좋은 생각이구먼. 그래 주면 좋겠네. 그럼 그 다음은?"

"돈 벌어서 장가도 가고, 가족들고 먹여 살려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 다음은?"

심상치 않은 질문에 학생은 더 이상 대답을 못했습니다. 

신부는 빙그레 웃으며서 말했습니다. 

"그 다음은 내가 말하지.

자네도 죽어야 하네.

그 다음은 자네도 심판데 앞에 설 것일세.

알았는가?"

학생은 집으로 돌아왔지만 'apres cela'라는 신부의 질문이 귓가에 떠나지 않았습니다. 

학생은 결국 돈을 신부에게 돌려주고 수도원으로 들어가서 수도사가 되었고, 

보람되고 귀한 일들을하며 생을 보냈습니다. 

그가 죽고 난 뒤에 그의 묘비에는 그가 한평생 좌우명으로 외우던 세 마디를 써놓았답니다. 

'Apres cela'

 '공부를 하고 나면 행복해 질것이다. ' ' 이 문제가 해결되고 나면 행복해질 것이다.' '니가 조금만 변해주면 행복해질 것 같은데' 등등 조건부 행복은 현재에 만족하게 하지 못하다. 현재는 미래로 가기 위한 징검다리일 뿐이다. 이런 생각을 하는 한 현재는 없다. 현재를 삶은 미래를 그 무언가를 얻기 위한 과정이고 수단일 뿐이다. 막상 그 미래가 온다고 해서 마냥 행복한 것도 아니다. 

작가의 이전글 삶의 정원을 가꾸는 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