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맵다 쓰다 May 26. 2022

내 취나물무침에서 엄마 맛이 난다.

초록창과 함께라면 미슐랭 가이드 요리사도 될 것 같던 신혼 시절이었다.

남들 밥 주는 일을 하는데 지겹지도 않은지 퇴근하면 무슨 요리를 해먹을지가 고민이었다.

레시피만 알면 뭐든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자신했다.

근거 없는 자신감은 아닌 게 직업이 직업인만큼 내 또래 친구들보다는 음식에 대해서 더 아니까 말이다.(그때 나는 영양사로 일했다.)


그래서  모든 요리를 평정했냐면? 그건 아니다. 그런  결말은 디즈니에나 나오는 이야기이고, 현실은 조금 달랐다.

직장에서는 죽은 요리도 살려내는 미각으로 기가 막히게 간을 보고, 조리사와 나의 콜라보로 맛집보다 더 맛집 같은 음식을 만들어냈다. 하지만 집에서는 그 모든 업무분장이 일인체제로 돌아간다.

그중 가장 큰 영역인 요리가 구멍이라면 말이 달라진다.

같은 레시피, 더 좋은 재료로 만들어도 2% 아닌 20% 부족한 맛은 나를 겸허하게 만들었다.


어떤 가르침이든 받겠다는 자세로 나를 낮추며 요리에 정진해서 인지, 아니면 밥은 먹어야하니 어쩌다 기술이 터득된 건지는 몰라도 주부 연차와 함께 레시피를 보지 않고 만드는 요리가 늘어갔다.


신혼시절 밥상에 초록 나물반찬이 올라오면 남편은

"이거 어머님 반찬이야? 엄마 반찬이야?"하고 물었다.

보기에 '내'가 없었던 이유는, 내가 낸 맛은 아니라고 확신해서였을 것이다.

유독 초록 나물인 이유는, 시금치나 취나물 깨순 나물, 비름나물 각종 초록의 것들은 쪼렙의 탈을 쓴 만렙 반찬이기 때문이다.


계란 프라이, 튀김, 전은 기름이 들어가니 맛없으면 반칙이다.

닭볶음탕, 두루치기도 슈가보이처럼 설탕 많이, 양념 듬뿍 넣으면 어쩌다 맛이 맞춰진다.


그런데 메인 반찬으로 내놓을 수 없는 주제에 나물반찬은 까다롭다.


시금치는 잠시만 딴 정신을 팔면 회생불가로 흐느적거린다.

단배추 나물은 데쳐서 꼬~옥 안 짜면 국물 반, 나물 반의 신요리가 탄생한다.

취나물, 깨순 나물처럼 열과 오가 안 맞추어진 자유로운 푸른 잎들은 억센 줄기와 티를 손질하다 내 인내심을 탓하게 된다.



지난 주말, 농촌체험에 다녀오면서 밭에서 딴 취나물이 생겼다.
시장에서 파는 게 아니라서 한참을 '다듬기 노동'을 하면서 잎사귀를 골라내야 했다.

초록잎 더미와의 사투로 허리가 '9'자로 박제될 것 같은 고통을 느끼면서 싱크대 앞에 선다.

취나물이 넉넉히 잠기게 큰 냄비에 물을 받고 팔팔 끓으면  취나물을 한 움큼씩 쥐고 투하한다.


이제부터 진짜 중요한 순간!

1초도 공상이나 망상이나 멍 때리기도 허락하지 않는다.

초단위로 숨 죽는 초록잎을 뒤적여주다가 너무 이른가 싶은 순간에 꺼내서 찬물 샤워를 해야 한다.

1분 이상 방치하면 나물이 열 내상을 입어서 회생불가가 된다.

물기를 잘 빼고, 다진 마늘, 국간장, 소금 약간 참기름, 깨소금 솔솔 뿌려서 조물조물 무쳐낸다.

아직 눈이 계량스푼인 레벨은 안되니 서너 번 맛을 보면서 곳곳에 양념이 베이도록 정성을 다한다.

물기 하나 없이 바짝 마른 유리용기에 꼭꼭 눌러서 담아내고 있으면 냄새를 맡고 아이들이 다가온다.


어린 시절 콩나물 무치던 엄마 옆에서 참새처럼 입을 벌리고 서있던 나처럼, 방금 무쳐낸 취나물을 받아먹는다.

나물을 무치던 손으로 입에 쏙 넣어줄때만 느끼는,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맛을 보고 동그란 눈과 치켜든 엄지손으로 화답해준다.



이제 내 취나물 무침에서도 엄마 맛이 난다.










.
















































작가의 이전글 손이 2개인 이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