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달걀머리 Dec 11. 2023

인문학이 기후문제에 가장 반응이 느리다?


근대 문학은 인간중심 철학을 기반으로 형성된 장르다. 바로 그 “인간중심주의”가 기후위기-기후붕괴 문제의 뿌리로 지적되는 만큼, 문학이 기후문제를 다룬다는 것은 자신의 기반을 흔들고 파괴해서 새로운 세계관을 장착하지 않으면 가능하지 않은 일일지도 모른다. 과연 문학은 인간을 넘어선 다양한 존재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장이 될 수 있을까? 


소설이란 “해결”하지 못하지만 가장 앞서나가면서 “질문”하는 분야이며, 인간의 상상력의 최전선을 언제나 개척하고 탐구하는 장르다. 만일 인간이 근대성을 극복하고 현재의 기후 위기를 넘어선다면, 그 맨 앞자리에 문학의 상상력이 있을 것 같다. 그러나 그것이 근대적 소설일까? 


아무튼 아미타브 고시가 말했듯 "기후 위기는 문화의 위기이자 상상력의 위기다". 



집중하고 싶은 주제

* 인간과 비인간존재의 평등한 네트워킹과 존재함이 소재가 되는 스토리텔링의 다양한 가능성과 범위 상상하기  

* 그렇게 함으로써 근대적 관점의 소설들이 공모해 온 지구-환경-(그리고 결국 인간 자신)의 파괴를 인식하기

* 인간과 비인간존재의 공존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쓰인 소설과 관련 비평 연구하기

* 그리하여 과연 이 위기를 극복하고 자연-물질과 새로운 관계를 맺을 수 있고, 그 결과 인간 자신과도 새로운 관계를 맺게 될 거라는 희망을 펼쳐 놓기. 만일 인류가 정말 망할지라도, 우리가 심는 한 그루의 사과나무는 바로 이 작업을 통해 하게 되는 자연과, 또 자기 자신과의 화해일 것이므로.


2. 키워드

문학, 탈자본주의, 비평, 비인간존재, multispecies, non-human agent


3. 학술지도 그리기

: 인문학 내에서 어떤 학문들이 기후 변화에 대해 반응해 왔는지 한 논문을 참고하고 있었는데 흥미로운 코멘트를 발견했다.

“KCI에서 검색되는 논문들 중 인문학은 다른 분야에 비해 기후변화 관련한 연구의 수가 확연히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정철, 임철희. <기후변화 시대 인문학의 응답과 역할: 철학, 종교, 문학 분야를 중심으로>


나는 인문학은 진보적인 학문으로서, 소수자 문제에 가장 발 빠르게 대응하는 학문이라고 생각해 왔는데 환경문제에서만큼은 최전방에 있지 않았다는 사실이 의외였다. 어쩌면 이 의외의 사실이, 바로 문제의 본질 아닐까? 인문학은 “인간 그 자체, 혹은 인간이 만들어 낸 것들에 담긴 인간성, 가치, 문화, 사상 등에 대한 연구와 어떻게 하면 그것들을 더욱 발전, 증진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448쪽)“다. 바로 그  인간 중심 주의 때문에 자연, 비인간존재는 도외시하고 기후변화에 가장 느리게 반응했던 것 아닐까? 이 가설이 이렇게 확연하게 숫자로 나타나는 것이 흥미롭지 않은가? 이것은 다시, 문학계가 기후문제에 왜 그리 반응이 늦었는지, 그리고 왜 인간중심 세계관에서 벗어나는 것이 기후문제 해결의 첫걸음인지 간명하게 보여주는 예시인 것 같다.


위의 표에서 보듯 인문학 내에서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먼저 부각하고 논의를 이끌어온 것은  그나마 철학과 신학(특히 비교신학), 문학 정도인 것이다(논문에 따르면 사학은 과거의 기후변화에 대한 연구가 대다수라 이 논의에서 제외).


논문은 기후변화 연구 사례를 다음과 같이 학과별로 정리한다.

철학: 환경윤리학, 생태윤리학

종교: 범종교 선언, 생태신학, 생태 여성주의 신학/  가톨릭 교종 회칙 Laudato si/ 불교생태학, 참여불교

문학: 기후소설을 통한 체제변혁의 문학적 의지, 생태 여성주의, 생태 비평,


그러나 국가보다도 큰 기후문제의 특성상, 논문에서는 다학제적 대화와 융합적 사고를 강조하고 있다.

학과를 넘어서는 공통된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지구적 정의

세대 간 정의

기후변화 윤리

탈자본주의, 탈신자유주의

인류세

자본주의 하의 소수자들(성소수자, 여성, 제3세계, 남반구 문제)

동물복지

생명윤리


나는 학위를 준비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한 학과를 선택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한국 문학을 출판하고 쓰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이러한 키워드들을 어떻게 구현해 낼 것인가, 그리고 대중에게 어떻게 프로모션 하고 함께 풍성한 대화를 만들어나갈 것인가, 그것이 이번 트랙을 따라가면서 내가 모색하고 싶은 지점이다.


작가의 이전글 문학의 상상력과 기후변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