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24 댓글 2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기후문제를 해결하기 힘든 이유?

스티븐 샤비로가 쓴『탈인지』의 한 대목을 인용하여 

by 안덕희 Aug 08. 2024

"오늘날, 전 지구화 시대에, 그리고 인류세라고 불리게 된 시대에 우리의 삶은 점점 더 복잡하고 널리 분산된 기술 체계 및 네트워크와 얽히고 그것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거대-존재자들은 티머스 모턴이 초객체(hyperobject)라고 부른 것이다. 그러한 사물들은 모두 실재적이다. 그러나 그것들은 "시공간적으로 너무도 대규모로 분산되어 있다." 그래서 우리는 그러한 사물을 결코 전체로서 볼 일이 없으며, 일거에 포착할 수 없다. 모턴은 "지구온난화"와 "플루토늄으로부터의 핵방사"를 초객체의 사례로 든다. 인터넷과 세계 파생상품 시장을 이에 포함할 수 있겠다."

『탈인지』 67쪽


이 문제에 대해서 chat GPT, Claud ai, Gemini가 각각 어떻게 분석하고 대답하는지 궁금해서 질문했다. 각각 산출한 대답을 다시 claud ai에 붙여 넣어 표로 만들어 비교해 달라고 했다. 

브런치 글 이미지 1

chatGPT가 말하는 심리적 거리감으로 인한 무관심을 "심리적"이라고 부르면 될까 하는 의심이 든다. 심리 상담으로 트라우마 해결하듯 인류가 공동으로 상담을 받아 해결할 수 있는 요소가 아닌 것 같아서다. 어쩌면 인간의 기술 발전 속도를 따라잡지 못한 뇌가 무감각해져서 생기는 물리적 현상일지도 모른다. 

ai들이 열심히 분석해서 표를 만들었지만 단순하게 말하면 결국 인간의 능력이 당대문제를 해결하기에 역부족이라는 말 아닐까. 경제적 정치적 이해관계 충돌이라는 말도 결국 인간이 더 장기적인 안목으로 문제를 인식하고 협력하여 해결하지 못한다는 말이니. 


빙산이 다 녹고 생물종이 멸종해 가는 걸 눈앞에 보면서도 왜 우리가 꿈쩍도 하지 않을까 늘 궁금했는데, 저 표 항목을 하나하나 보고 있자니 근본적으로 역량이 안 되는 거다,라고 다소 좌절스러운 생각이 든다. 인간이 자연자원을 활용하고 신체와 정신을 다스리고 있다고 착각하고 있는 사이, 하이퍼객체가 온 지구를 구석구석 덩굴처럼 뒤덮어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도 모르는 멍청이들이 된 것 같다. 


비관적인 말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나는 차라리 이렇게 상황을 이해라도 하기 시작하는 게 좋다. 저 위 샤비로의 인용구를 읽으니 속이 시원하다. 문제를 파악이라도 하는 것이, 온통 난리인데 아무 문제도 없는 것처럼 살아가는 것보다는 훨씬 낫단 말이다. 어릴 때 보았던 미래소년 코난처럼, 우리도 하이퍼객체라는 악당들이 출몰하는 황폐한 지구 위에서 각자도생을 해야 하는 시점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브런치 글 이미지 2


다음 주 화요일에 스티븐 샤비로가 쓴『탈인지』독서모임이 있다. 관심 있으신 분은 여기서 신청하실 수 있다. 

작가의 이전글 인문학 대신(?) AI를 서둘러 공부해야 하는 이유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