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 하인츠코헛의 자기심리학)
다음은 문장완성검사에서 나오는 나의 엄마와 관련된 항목들입니다. 한번 빈칸을 채워 보시겠어요?
‘나’를 알기 위해서는 어린 시절 나와 부모의 관계를 들여다 볼 필요가 있어요.
코헛은 ‘나’의 자기애적 특성이 ‘나’의 전능감, 과대감 뿐만 아니라 이상화 부모 이마고, 즉 내가 이상적으로 그리던 부모의 이미지가 ‘나’에게 투영되어 있다는 말합니다. 유명 정신분석학자인 도널드 위니컷이 “홀로 존재하는 아기는 없다”고 말한 것처럼, 아기는 엄마의 존재와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습니다. 엄마는 아이를 출산한 후 6개월 정도는 모성몰입기간을 거치는데 이 때 엄마는 아이의 울음, 표정, 몸짓, 소리에 온 신경이 곤두서 있지요. 아기는 엄마의 몸에서 분리되었지만 엄마와 아기는 서로 심리적으로는 아직 분리되지 않은 융합 경험을 하게 됩니다. 유아의 ‘나’는 자신만의 ‘나’가 아닙니다. 처음 만나는 대상인 ‘엄마’가 나를 바라보는 시선과 태도가 함께 반영된 ‘나’이지요.
취약한 유아는 나보다 강하고 완벽한 누군가와 연결되어 있는 느낌을 원합니다. 유아가 완벽하다고 느끼는 부모가 유아 전체의 몸을 안아줄 때 그제서야 존재의 불안을 딛고 안정감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우리는 “침착하고 흠 없이 완벽하며 전능한 이미지”의 대상과 융합되길 원합니다. 완벽한 대상과 연결되어 나 역시 그의 일부로서 완벽한 존재임을 경험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유아에게는 엄마와 아빠가 최고입니다. 최고인 부모에게 의존하고 싶고 위로 받고 싶은 건 당연한 욕구죠.
유아가 부모에게 안기고 싶을 때 부모가 기꺼이 이를 허용하고 즐거워할 때 유아는 건강한 이상(ideal)과 기준을 추구하는 사람으로 자랄 수 있습니다. 부모가 취약해진 자녀가 자신에게 의존하고 싶고 안기고 싶은 욕구를 허용하지 않는다면 어떨까요? 아이는 평생 그런 이상화된 대상을 찾아 헤맵니다. 나의 불안을 진정시켜줄 수 있는 남자친구, 배우자, 선생님, 상담자, 목회자…. 주로 특권, 권력, 아름다움, 지성, 도덕, 영적 수준에서 이상화할 수 있는 대상들이죠. 이상화 부모 이마고에 대한 자기애적 욕구가 결핍된 사람들은 이상화할 수 있는 대상과 관계를 맺고 있을 때에만 자신을 가치 있게 느낍니다. 그런 사람들과 연결이 끊어졌을 때 ‘나’가 깨어진 느낌, ‘나’가 텅빈 공허한 느낌에 자주 시달립니다.
엄마가 되었지만 나 스스로의 불안이나 우울을 달래기 어렵나요? 그렇다면 이상화 부모 이마고에 대한 욕구가 잘 채워지지 않아서일 수 있습니다. 그 결핍을 마주볼 수 있다면, 혼자 불안과 좌절을 견뎌냈을 ‘나’를 안아주세요. 스스로를 안아주기 어렵다면 안전한 대상과 함께 나의 불안을 스스로 진정시키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어린 시절의 결핍으로 인한 슬픔을 애도한 후에는 이제는 부모가 아닌 ‘나’ 스스로 나의 불안을 진정시키는 힘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마주봄 질문>
나는 어떤 부모를 원했나요?
그리고 지금은 어떤 사람과 연결되고 싶은 마음이 있나요?
참고도서: 홍이화 <하인츠 코헛의 자기심리학 이야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