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 코헛 관점의 자기애)
성격, 대인관계 스타일, 직업, 취향, 가치관, 감정…’나’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은 독특하고 고유합니다. 코헛은 ‘자기(self)’(여기에서 ‘자기’는 자아와 달리 대상과 구별되는 한 개인 자신의 전체 인격을 말해요. 이하에서는 이해하기 쉽게 ‘나’라고 통칭할께요)가 발달하는 과정을 이론적으로 설명했어요.
‘나’라는 존재의 근원을 생각하다보면, 엄마와 아기만 존재하고 있던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 시기는 내가 울면 젖을 오고, 기저귀가 젖어 있으면 보송보송한 새 기저귀로 교환되어 있고, 안기고 싶으면 안겨 있는 마냥 행복한 시기입니다. 그렇지만 ‘나’를 느끼지는 못해요. 생애 초기의 아기는 자신과 타인을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이 없습니다. 엄마 뱃 속에 있는 10개월의 기간이 세상에 태어나 일정 기간은 엄마와 나를 마치 하나의 존재처럼 생각하지요. 엄마를 통해서야 비로소 ‘나’를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아기는 착각을 해요. 자신이 울면 젖을 주는 존재가 엄마라는 타인이 아니라 자신이 마치 젖을 만들어 내는 것처럼 생각합니다. 젖은 기저귀가 새로운 기저귀로 바뀌는 이런 전능한 상황을 자신이 만들어낸다고 생각하는 거지요. 이렇게 내가 원하는 걸 바로 만들어 내는 자신은 완벽한 존재요, 자신에게 연결되어 있는 엄마라는 대상도 완벽한 존재로 느낍니다.
좀 더 시간이 흐르면 어떻게 될까요? 아기에게 모든 게 완벽하다고 느껴지는 순간은 안타깝게도 길지 않아요. 엄마도 완벽한 존재가 아니기 때문에 때로는 젖을 달라고 할 때 젖을 주지 못하고, 때로는 기저귀가 젖었지만 전화를 하느라 새로운 기저귀로 빨리 갈아주지 못할 때도 있지요. 유아는 자라면서 점차 크고 작은 ‘좌절’을 경험합니다. 크고 작은 좌절을 경험하지만 유아는 엄마와 하나로 연결되어 전능감을 누렸던 그 시절로 돌아가고 싶어합니다. 완벽한 ‘나’, 완벽한 ‘엄마’의 상태를 복구하고 싶어합니다. 코헛은 이 상태로 돌아가고 싶어하는 인간의 근원적 욕구를 ‘자기애’라고 설명합니다.
인간의 자기애적 욕구로 인해 ‘나’는 전능감, 과대감을 느끼고 싶어하는 ‘과대자기’의 측면으로, 한쪽은 우리를 보호해 줄 수 있는 완벽한 대상에 대한 이미지를 그리는 ‘이상화 부모 이마고’의 측면으로 발달합니다. 즉 우리 안에는 모두 “나는 완벽해”와 “당신은 완벽해. 그리고 나는 당신의 일부야.”라는 자기애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죠. 코헛은 이런 자기애적 욕구가 유아 시기에 충분히 채워져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래야 성인이 되어서는 상대를 도구화하는 미숙한 방식의 자기애적 성향에서 벗어나 오히려 공감, 유머, 창조성, 자신의 유한성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 지혜가 있는 건강한 자기애를 평생 발달시켜 나갈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최영민, <쉽게 쓴 자기심리학>).
유치하게만 보이는 이 자기애적 욕구는 '나'라는 존재가 발달되어 가는 씨앗이었습니다. 그 욕구가 어린 시절 어느 정도 채워졌는지, 좌절을 맛봤을 때 어떻게 그 불안이 달래졌는지에 따라 '나'라는 나무의 단단함과 튼튼함이 달라진 거죠.
나는 얼마나 완벽해지고 싶었던 걸까요? 그리고 완벽한 누구와 그토록 연결되고 싶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