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동혁 감독의 <남한산성>을 보았다. 1636년 인조 14년 병자호란 당시 살을 에는 겨울 배경도, 신하들과 왕 사이 오가는 치열한 설전도 소설가 김훈이 쓴 원작을 거의 그대로 좇은 작품이다.
인조 역을 맡은 배우 박해일의 말처럼 이 영화에는 말(馬)도 많고 말(言)도 많다. 말(馬)은 육체의 전투에서 피를 흘렸고 말(言)은 혀의 전투에서 쏟아져 나왔다. 나는 이 중 말(言)의 전투에 주목했다. 설왕설래(說往說來)는 이 영화의 주제이기도 하거니와 황동혁 감독이 원작에 반한 이유이기도 하다.
김상헌과 최명길. 청과 화친을 배척하자는 척화파와 화친을 도모하자는 주화파를 각각 대표하는 인물들이다. 인기 역사 강사 설민석에 따르면 예조판서 김상헌은 오늘날 외교부 장관, 이조판서 최명길은 인사혁신처장이라고 한다. 반정(反正)을 도모한 봉건제 기득 세력이었다는 얘기다.
그럼에도 관객들은 이 영화의 두 가지에 매료되었다. 하나는 김상헌과 최명길 사이 논쟁의 내용, 또 하나는 그 논쟁의 목적이다. 칼 같은 김훈의 문장을 거의 그대로 읊은 대사는 원작을 읽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어떤 감동을 줄 법 했다. 하지만 나는 미사여구로 무장한 논쟁의 내용보다 그것의 목적에 더 주목했다.
김상헌과 최명길은 반목하지 않았다. 의견이 달랐을 뿐이다. 그러면서 둘은 같은 목적을 향했다. 그 목적은 나라 지키기였다. 청에 맞서 싸우자는 것도, 청과 화친을 맺자는 것도 결국 종사(宗社)를 보존하겠다는 두 충신의 뜨거운 애국심에서 비롯된 주장이었다. 우리가 역사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배워야 할 것은 배우고 버려야 할 것은 버리며 잘못된 것은 바로 잡기 위해서다. 물론 삼전도에서 인조가 감당한 굴욕은 다시는 반복되어선 안 될 흑역사다.
<남한산성>을 보며 근래 북핵 위기 상황에서 여야의 갑론을박을 떠올렸다. 그리고 그들 논쟁이 김상헌, 최명길의 말겨룸이 가졌던 목적과 같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폭력과 으름장이 아닌 대화와 타협이 '적의 아가리' 속에 있는 나라 생존의 길이라면 정부여당과 야당은 기꺼이 서로를 보듬어 그 길을 걸어야 한다. 백성과 나라를 위하려는 의지가 당과 이념을 초월한 궁극의 목적이 될 때 한반도는 반세기 이상 이어온 평화를 계속 지켜나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