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d Fontes Nov 20. 2015

용전(用錢) - 스물여섯번째

용전(用錢, Expenses control & Investment) (26)    

 


[파생상품] - (선물거래) (3)  




■ 선물거래 투자전략    


(1) 투기거래   


일반적으로 자본차익을 얻는 방법은 ‘저가 매수 후 고개 매도 전략’이다. 주식이나 부동산 등에 투자한다고 할 때 모두 자산의 가격이 미래에 상승하리라는 기대를 갖고 매입하게 된다. 선물거래도 투자 또는 투기거래의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선물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면 개시증거금을 납입하고 선물매수 포지션을 취한다. 선물가격이 예상대로 상승하면 매수포지션을 청산하여 이익을 실현할 수 있다. 다만 선물거래가 일반 자산운용과 다른 점은 만기가 있다는 점이며 만기이전에 가격이 상승하지 않으면 이익을 실현할 기회가 없이 포지션이 만기 청산될 수 있다. 만약 자본이 충분하다면 선물만기 이후에도 차근월물로 포지션을 이월할 수 있다. 이를 롤 오버라고 한다.   


선물거래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자산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선물을 매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신규 매도포지션을 취한 후 예상대로 자산가격이 하락하면 선물매도포지션을 청산하여 이익을 실현시키는 ‘고가 매도 후 저가 매수 전략’을 구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선물거래는 적은 증거금으로 큰 거래금액의 포지션을 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레버리지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곧 투기거래가 용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레버리지 효과는 투자자가 예상한대로 시장이 움직이는 경우 투자원금 대비 큰 수익을 올릴 수 있다. 그러나 예상과 반대로 움직이는 경우 투자원금 대비 큰 손실을 볼 수도 있다.   


따라서 투기거래를 하려는 경우 위험관리 및 자기통제, 끊임없는 훈련이 가장 중요한 성공요소이다. 최근에는 인간의 감정을 배제하고 정해진 규칙에 따라 컴퓨터로 매수 매도 신호를 찾아내고 이를 따라하는 시스템트레이딩이 주목을 받고 있다.    


* 스캘퍼(scalper)

가장 짧은 시간 동안 포지션을 가지는 투기거래자이다. 스캘퍼는 몇 분과 같은 아주 짧은 기간 동안의 가격변동을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규모의 거래를 반복하여 매매차익을 얻는다. 스캘퍼들은 수분 내에 자기가 예상한 방향으로 가격이 움직이지 않으면 즉시 포지션을 청산하고 새로운 기회를 찾는다. 스캘퍼들은 대부분 선물거래소의 회원으로서 거래비용이 매우 낮기 때문에 활동이 가능하고, 이들의 거래는 결과적으로 선물시장에 유동성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일일거래자 (데이트레이더)

주식시장에서의 데이트레이더와 같은 개념으로 하루 동안의 가격변동으로부터 이익을 얻기 위한 거래이다. 데이트레이더는 자신이 취한 포지션을 그날을 넘기지 않고 청산함으로써 가격변동위험을 최소화한다.   

* 포지션 거래자

비교적 장기적인 가격예측을 바탕으로 포지션을 보유하는 거래자들로 일반적으로 며칠 또는 몇 주 동안 포지션을 유지한다. 포지션 거래자는 단순한 매입 또는 매도 포지션뿐만 아니라 스프레드 포지션을 작기도 한다.  


 

(2) 스프레드 거래   


스프레드(spread)란 두 가지의 상이한 선물계약간의 가격 차이를 말한다. 스프레드 거래는 이런 상이한 두 선물계약을 동시에 매입 또는 매도하는 거래로서, 두 선물 가운데 상대적으로 저가인 것을 매입하고 고가인 것을 매도하는 형태를 취한다.   


차익거래는 현물시장과 선물시장에서 동시에 반대포지션을 취하는 반면에 스프레드거래는 선물시장 내에서 다른 종류의 선물(동일한 대상물 중 결제 월이 다른 종목이나 대상물은 다르지만 가격움직임이 유사한 선물)에 서로 반대포지션을 동시에 취하는 것이다.   


스프레드 거래는 개별 선물가격의 상승 또는 하락에 대한 예상보다는 밀접한 가격관계를 보이는 두 개 선물의 가격차이가 확대 또는 축소될 지에 대한 예상에 근거한 거래방법으로 투기거래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스프레드 거래는 단일선물계약 보다는 덜 위험하다. 왜냐하면 스프레드 거래에서 스프레드의 한쪽 포지션에서 생기는 손실이 나머지 포지션에서 생기는 이익에 의해 상쇄됨으로써 손익의 절대적 규모가 적다. 그러나 차익거래와는 다르게 스프레드의 확대 또는 축소의 예상이 빗나갈 경우 손실이 생길 위험이 있다.   


* 만기월간 스프레드

만기월간 스프레드는 동일한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선물 중 대상자산이 동일하고 만기가 다른 두 개의 선물을 동시에 매매하는 거래전략이다. 만기월간 스프레드 거래는 시세변동이 예상되더라도 투기거래를 행할 정도의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려는 투자자들이 한정된 위험만을 감수하고 시세차익을 얻고자 할 때 이용한다.

강세스프레드 = 근월물 매수 + 원월물 매도 : 스프레드 축소시 이익

약세스프레드 = 원월물 매수 + 근월물 매도 : 스프레드 확대시 이익   

* 상품간 스프레드

서로 다른 상품이면서도 경제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즉 가격상으로 연관된 두 상품에 대해 만기가 같은 선물계약을 대상으로 한 쪽을 매입하고 동시에 다른 쪽을 매도하는 전략이다. 이것은 가격상 연관된 두 현믈을 대상으로 하는 선물의 가격이 일정한 가격관계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관계가 일시적으로 성립하지 않을 때 상대적으로 고평가된 선물을 매도하고 저평가된 선물을 매수하는 거래방법이다.

두 선물계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상승폭이 크거나 가격하락폭이 작을 것으로 예상되는 선물을 매입하고 상대적으로 가격상승폭이 작거나 가격하락폭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선물을 매도하여 비정상적인 가격차이로부터 차익을 얻을 수 있다.   

* 시장간 스프레드

동일한 자산이 다른 시장(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경우 시장간 가격 차이를 이용하여 이익을 취하려는 투기거래의 일종이다.  


 

(3) 차익거래 (arbitrage)   


차익거래란 동일한 성격을 지닌 상품이 두 개의 시장에서 각각 다른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을 때 상대적으로 비싼 것을 매도함과 동시에 싼 것을 매수함으로써 차익을 얻고자 하는 거래이다.   


보유비용모형에 의하면 주가지수선물의 이론가격은 주가지수현물에 보유비용을 감안한 가격이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 선물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이 이론선물가격과 차이를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이유는 현물과 선물의 수급요인에 더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이렇게 주가지수와 주가지수선물거격의 차이가 비정상적일 때 (선물의 이론가격과 실제가격 사이에 일시적인 괴리가 발생했을 경우에)주식과 주가지수선물을 동시에 거래하여 수익을 얻고자 하는 거래가 차익거래이다.   


이는 주가지수와 주가지수선물가격의 차이가 예상 배당수익률, 단기금리 등을 고려할 때 적정수준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 앞으로 이러한 차이가 정산적인 상태로 되돌아갈 것을 예상하여 고평가된 선물(또는 주식)을 매도하고 저평가된 주식(또는 선물)을 매수하여 차익을 얻는 거래이다.   


주가지수를 차익거래하기 위해서는 실제로 주가지수를 사고 팔 수 없으므로 주가지수를 그대로 복제하는 주식 포트폴리오를 매매하게 된다. 이 주식 포트폴리오를 바스켓이라 하는데 보통 수십 종목의 주식집단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바스켓내 종목을 동시에 매매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도움이 필요하다. 이렇게 수십 종목의 바스켓을 컴퓨터의 도움으로 동시에 매매하는 것을 프로그램 매매라고 한다.   


* 매수차익거래

선물가격이 현물가격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높은 경우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현물(주식)을 매수하고 동시에 고평가된 선물을 매도하는 거래를 말한다.   

* 매도차익거래

선물가격이 현물가격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낮은 경우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선물을 매수하고 동시에 고평기된 현물(주식)을 매도하는 거래를 매도차익거래라 한다.  


 

(4) 헤지거래


헤지거래란 현재의 (또는 장래에 취할) 현물포지션에서 발생하는 가격변동 위험을 피하기 위해 선물시장을 이용하는 거래이다. 즉 기존의(또는 예정된) 현물포지션과 반대의 포지션을 선물시장에서 취하는 거래를 말한다. 이러한 헤지거래는 시장의 가격변화에 관계없이 전체 포지션의 가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예를들어,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는 주가가 하락하면 손해를 보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 대비하여 보유주식과 대응되는 주가지수선물을 매도함으로써 장래 가격하락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주가가 하락하면 주식에서는 손해가 발생하지만 주가지수선물을 매도포지션에서는 이익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시말하면 현물포지션의 손실을 선물포지션에서의 이익으로 상쇄할 수 있다.   


*매도 헤지

매도헤지란 현물시장에서 매수포지션(현재 현물을 보유하고 있거나 장래에 현물을 매도해야 하는 상태, 즉 현물가격이 상승하면 자신에게 유리해지는 상태를 말한다)을 갖고 있는 투자자가 해당 현물에 대응하는 선물을 매도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현물가격이 하락할 위험에 대비하는 것으로써 현물가격이 하락하여 손실이 발생하여도 이와 반대포지션을 취한 선물에서 현물포지션의 손실을 상쇄하여 준다.    

* 매수 헤지

매수헤지란 현물시장에서 매도포지션(현재 현물을 매도하거나 장래에 현물을 매수해야 하는 상태, 즉 현물가격이 하락하면 자신에게 유리해지는 상태를 말한다)을 취한 투자자가 해당 현물에 대응하는 선물을 매수하는 것이다. 이는 현물가격이 상승할 위험에 대비하는 것으로 현물가격이 상승하여 손실이 발생하여도 이와 반대포지션을 취한 선물에서 현물포지션의 손실을 상쇄하여 준다.    

* 베이시스 위험

선물가격은 시장의 수급상황에 따라 고평가될 수도 있고 저평가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베이시스 움직임도 일정하지 않게 된다. 베이시스의 변동에 따라 헤지의 성과가 크게 달라질 수도 있다. 즉 위험을 회피하고자하는 헤지전략도 베이시스의 변화에 따른 위험은 갖게 되나 시장위험에 비하면 베이시스 위험은 상대적으로 적다고 말할 수 있다.






용전, 파생상품에서 계속...

매거진의 이전글 용전(用錢) - 스물다섯번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