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d Fontes Nov 24. 2015

용전(用錢) - 스물일곱번째

용전(用錢, Expenses control & Investment) (27)     

 


[파생상품] - (옵 션) (1)   




■ 옵션(Option)이란?


옵션이란 특정 대상물을 장래의 지정된 날 또는 그 이전에(사전에 정한) 일정한 가격으로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옵션거래는 이러한 살 수 있는 권리(콜 옵션) 또는 팔수 있는 권리(풋 옵션)를 사고파는 거래이다.

콜욥션(Call Option)을 매수한 사람은 해당 자산이 사전에 정한 가격보다 높게 시장에서 형성되는 경우 그 권리를 행사함으로써 시장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해당 자산을 살 수 있다. 그러나 해당 자산이 사전에 정한 가격보다 낫게 시장에서 형성되는 경우에도 그 권리를 행사해서 시장가격보다 높은 가격으로 해당 자산을 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권리이지 의무는 아니기 때문이다.


이렇게 권리만 있고 의무가 없는 옵션을 매수하는 사람은 해당 옵션을 매도한 사람에게 일정한 댓가(프리미엄)를 지불해야 한다. 따라서 옵션매입자는 자신에게 유리한 경우에만 그 권리를 행사하여 이익을 누리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권리행사를 포기하는 선택권을 갖게 된다.


반면 옵션매도자는 옵션매수의 권리행사에 응해야 할 의무를 지는 대신 옵션매수자로부터 프리미엄을 수취한다. 그런데 옵션매수자가 권리를 행사하는 때는 옵션 매도자에게 불리한 경우이고 옵션 매수자가 권리를 행사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취한 프리미엄이 그대로 옵션매도자의 이익이 된다.


(1) 기초자산

옵션거래의 대상이 되는 자산으로 우리나라 주가지수 옵션의 경우 기초자산은 KOSPI 200이다.


(2) 행사가격

행사가격은 옵션거래에서 기초자산에 대한 사전에 정한 매입가격(콜 옵션의 경우) 또는 매도가격(풋 옵션의 경우)이다. 행사가격은 옵션매입자가 권리를 행사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가격으로 콜옵션매입자는 기초자산의 가격이 행사가격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 그 권리를 행사한다. 반면에 풋옵션매입자는 기초자산의 가격이 행사가격 밑으로 하락했을 때 그 권리를 행사한다.


(3) 만기일

옵션매입자는 자신에게 시장상황이 유리한 경우에 권리를 행사하게 되는데 그 권리는 특정시점에만 또는 일정기간에만 행사가 가능하다. 즉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특정시점 또는 일정기간 마지막 날을 만기일이라 한다. 만기일이 지나면 해당 옵션은 그 가치를 상실하게 되고 더 이상 그 권리를 행사할 구 없다.


(4) 프리미엄 또는 옵션가격

옵션매입자는 자신이 유리한 경우에 그 권리(정해진 가격에 특정 자산을 살 수 있는 권리 또는 팔 수 있는 권리)를 행사하여 이익을 누리는 반면 옵션 매도자는 옵션매수자의 권리행사 에 응해야 하는 의무를 지닌다. 그런데 해당 옵션 매도의 매입자가 이익을 누리게 되면 상대방인 옵션매도자는 손해를 보게 된다. 따라서 옵션매도자는 일방적으로 불리한 상황에 처하게 되기 때문에 옵션매수자로부터 권리부여에 대한 댓가를 요구하게 되는데 이를 프리미엄 또는 옵션가격이라 한다.



■ 옵션의 분류


옵션은 기본적으로 특정자산을 살 수 있는 권리인 콜옵션과 팔 수 있는 권리인 풋옵션으로 나눌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1) 권리행사 가능시기에 따른 분류


① 유럽형 옵션

거래최종일(만료일)에만 권리행사가 가능. 우리나라 주가지수 옵션이 여기에 해당된다.

② 미국형 옵션

거래최종일(만료일)까지 기간내 언제든 권리행사가능. 미국형 옵션이 유럽형 옵션에 비해 유리하므로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프리미엄이 더 비싼 것이 일반적이다.


(2) 기초자산에 따른 분류


① 주식옵션

개별주식을 대상으로한 옵션으로 금융옵션 중 가장 오래된 상품

② 주가지수옵션

주가지수를 대상으로 한 옵션으로 1983년 시카고옵션거래소에서 처음시작

③ 통화옵션

특정 외환을 미리 정한 환율로 사고 팔 수 있는 권리

④ 금리옵션

미극국채, 회사채, CD 등 금리상품의 수익률을 대상으로 하는 옵션

⑤ 선물옵션

선물계약을 기초자산으로 갖는 옵션


(3) 거래장소에 따른 분류


① 상장옵션

선물계약처럼 거래조건이 표준화되어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옵션

② 장외옵션

거래소 이외의 장소에서 계약당사자간의 합의에 의해 다양한 거래조건으로 거래되는 옵션


(4) 기초자산 가격과 행사가격의 관계에 따른 분류


① 등가격 옵션(ATM : At-The-Money)

기초자산가격과 권리행사가격이 같은 종목을 등가옵션이라고 함. 

* 콜옵션, 풋옵션 모두 기초자산가격 = 권리행사가격


② 내가격 옵션(ITM : In-The-Money)

권리행사를 하면 매수자에게 이익이 발생하는 종목을 내가격옵션이라고함. 콜옵션에서는 기초자산가격보다 낮은 권리 행사가격의 종목을 말하고, 풋옵션에서는 대상 자산가격보다 높은 권리행사가격의 종목을 말함.

* 콜옵션의 경우 : 기초자산가격 > 권리행사가격

* 풋옵션의 경우 : 기초자산가격 < 권리행사가격


③ 외가격 옵션(OTM : Out-The-Money)

권리행사를 하면 매수자에게 손실이 발생하는 종목을 외가격옵션이라고 함. 콜옵션에서는 기초자산가격보다 높은 권리행사가격의 종목을 말하고, 풋옵션에서는 기초자산가격보다 낮은 권리행사가격의 종목을 말함.

* 콜옵션 : 기초자산가격 < 권리행사가격

* 풋옵션 : 기초자산가격 > 권리행사가격



■ 옵션가격의 구성 요소


옵션 프리미엄 = 내재가치 + 시간가치


(1) 내재가치

내재가치란 해당 옵션을 당장 행사해서 얻을 수 있는 가치를 말한다. 

콜옵션은 기초자산의 가격이 행사가격보다 높은 경우에만 내재가치를 가지고 기초자산의 가격이 행사가격 이하인 경우에는 내재가치를 가지지 않는다.

반면에 풋옵션은 기초자산의 가격이 행사가격보다 낮은 경우에만 내재가치를 가지고 기초자산의 가격이 행사가격 이상인 경우에는 내재가치를 가지지 않는다.

* 콜옵션의 내재가치 = Max [ (기초자산의 가격 - 콜옵션의 행사가격), 0 ]

* 풋옵션의 내재가치 = Max [ (풋옵션의 행사가격 - 기초자산의 가격), 0 ]


(2) 시간가치

일반적으로 옵션은 만기 이전에 내재가치 이상의 가격으로 가래가 된다. 즉 현재 옵션의 가격중 내재가치를 초과하는 부분이 옵션의 시간가치이다. 이때 시간가치는 만기일까지 시장가격이 옵션매입자에게 유리하게 변동할 가능성을 의미한다. 이와같이 옵션의 시간가치가 양(+)의 값을 갖는 것은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 콜옵션의 내재가치가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 콜옵션의 내재가치가 0이하로 내려가지 않는다는 것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 콜옵션의 시간가치 = 콜옵션의 프리미엄 - 콜옵션의 내재가치

* 풋옵션의 시간가치 = 풋옵션의 프리미엄 - 풋업션의 내재가치

기초자산의 시장가격과 행사가격이 비슷할수록 옵션의 시간가치가 크다. 즉 ATM 옵션의 시간가치가 ITM 옵션이나 OTM 옵션의시간가치보다 크다.

시간가치는 만기가 많이 남아 있을수록 크다. 이것은 만기가 많이 남아 있을수록 기초 자산의 시장가격이 변동하여 내재가치가 중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즉 시간이 경과할수록 주어진 옵션의 가치는 감소한다. 이 현상을 '시간가치 잠식효과'라고 한다.

시간가치 잠식속도는 등가격옵션(ATM)일수록, 만기에 근접할수록 빨라진다.





[파생상품] - (옵 션) (2)에서 계속 

매거진의 이전글 용전(用錢) - 스물여섯번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