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코모 Sep 28. 2022

들어가면 과태료다, 차량 진입 절대 불가하다는 도로는?

도로 위엔 여러 표시가 존재한다. 그중엔 황색 또는 흰색으로 그어진 빗금 표시가 있다. 아마 운전자라면 한 번쯤은 봤을 법한 표시겠다. 그런데 해당 표시, 과연 뭘 의미하는 걸까?


해당 표시는 안전지대를 뜻하는 표시다. 그런데 이곳에 자동차 진입이 불가하다는 사실, 여러분들은 알고 있었는가? 이번 시간엔 도로임에도 자동차 진입이 불가능하다는 안전지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도로 위 안전지대

어떤 역할을 할까?

포토뉴스 / 안전지대에 불법 정차를 한 차량들

우선 안전지대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알아보겠다. 안전지대는 도로를 건너는 보행자와 통행하는 차량의 안전을 위해 별도로 표시한 도로의 한 부분을 의미한다. 안전지대는 보행자의 보호와 차량의 원활한 진출입을 가능케 하는, 도로 위 완충지대의 역할을 한다.   


안전지대에는 도로교통법 제13조 5항, “차마의 운전자는 안전지대 등 안전표지에 의하여 진입이 금지된 장소에 들어가서는 안 된다”에 따라 차량의 진입이 금지된다. 만약 차량이 안전지대를 침범하게 된다면 경우 승합차 7만 원, 승용차 6만 원, 이륜차 4만 원의 범칙금이 부과된다.


당연하겠지만 주정차도 금지되어 있다. 또한 안전지대를 포함해 사방 각 10m 이내인 곳 역시 주정차가 금지된다. 만약 안전지대에 차량이 주차된 경우, 별도의 예고 없이 차량이 견인될 수도 있다.


만약 안전지대에서

사고가 발생한다면?

유튜브 채널 "한문철TV" / 안전지대를 침범한 차량
안산타임즈 / 교통 단속 견인 차량

안전지대는 존재 목적 자체가 보행자, 차량 등 교통 이용자들 사이 상충 예방에 있다. 이 때문에 주로 도로가 분리되는 곳, 또는 합류되는 곳에 설치된다. 또한 교차로, 폭이 넓은 도로의 중앙 지대 등 경찰이 안전지대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장소에도 설치된다.


만약 안전지대를 침범해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면, 어떤 처분을 받게 될까? 안전지대를 침범한 차량이 사고가 날 경우, 해당 차량에 70% 이상의 과실이 적용되는 등 사고에 대한 페널티가 크게 작용하게 된다. 또한 12대 중과실로 형사처분까지 받을 수 있으니 운전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겠다.


황색과 백색이 존재

차이점이 있는 건가?

중앙일보 / 황색 안전지대
로우스크랩 / 백색 안전지대

앞서 안전지대는 황색 또는 흰색 빗금으로 표시된다고 설명했다. 왜 표시 색상이 두 가지로 나누어진 것일까? 본디 흰색 빗금 부분은 안전지대 표시가 아닌 백색 노상 장애물 표시였다. 이름 그대로 노상에 장애물이 있다는 것을 알리는 표시였다.


그러던 중 21년 4월 발표된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령 안에 따라 백색 노상 장애물 표시도 안전지대로 통합된 것이다. 통합이 된 지 이제 1년 조금 지났기에 아직 이를 모르는 운전자들 역시 많다고 한다. 운전자라면 황색과 백색 안전지대 모두 진입 및 주정차가 불가하다는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겠다.

작가의 이전글 이건 하극상인데? 911보다 빠른 포르쉐 막내 출시됐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