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라이킷 6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생수도 괜찮다고? 자동차 냉각수에 대한 잘못된 상식들

by 오코모 Jan 11. 2023
브런치 글 이미지 1

수만 개의 부품이 맞물리며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자동차는 단순한 기계를 넘어 하나의 생명체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 소유주의 관리 방법에 따라 상태가 천차만별로 달라질 때가 그렇다. 각종 소모품 관리만 매뉴얼대로 해줘도 신차 때와 비슷한 컨디션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지만 바쁜 일상에서 이 모든 것을 지키기란 쉽지 않다.


또한 잘못된 지식을 가지고 차량을 관리했다가 생각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소모품에 따라선 잘못된 관리 상태가 오랫동안 누적되어 뒤늦게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존재하기에 사전에 올바른 관리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냉각수, 일명 부동액 역시 이런 문제로 정비소를 찾는 경우가 많으니 혹시 내 차도 해당할지 잠시 시간을 내어 살펴보자.


각종 첨가제 함유된 냉각수

생각보다 많은 역할 맡는다

냉각수 누수 증상 / 사진 출처 = 클리앙냉각수 누수 증상 / 사진 출처 = 클리앙
자동차 냉각수자동차 냉각수

한파가 이어지는 요즘 엔진 냉각 계통 결함으로 정비소를 찾는 운전자들이 늘고 있다. 냉각수를 제때 보충했음에도 줄어드는 속도가 빨라져 확인해보니 라디에이터 파손으로 냉각 라인 누수가 발생한 사례가 대다수다. 우선 냉각수에는 순수한 물 외에도 각종 첨가제가 들어간다. 만약 순수한 물만 사용할 경우 냉각수 회로를 순환하며 녹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추운 날씨에 얼어버리며 관련 부품을 파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냉각수에는 녹을 방지하는 방청제와 영하의 날씨에도 얼지 않도록 하는 에틸렌글리콜 등의 빙결 방지제가 첨가된다. 애초에 냉각수가 부동액으로도 불리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에틸렌글리콜은 어는점이 섭씨 -30도, 끓는점은 130도로 엔진 온도가 섭씨 100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냉각수 증발을 최소화하는 역할도 겸한다. 산화방지제는 녹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물때를 제거하기도 한다.


냉각수 혼용은 피해야

순정 규격 사용 권장

브런치 글 이미지 4
제조사별 냉각수 색상 / 사진 출처 = Reddit제조사별 냉각수 색상 / 사진 출처 = Reddit

또한 냉각수는 겨울철은 물론이며 여름철에도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여름에 발생 빈도가 높아지는 냉각 계통의 대표적 고장 증상 '오버히트'는 냉각수가 부족하거나 냉각수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하는 케이스가 상당수이기 때문이다. 냉각수는 에틸렌글리콜이 첨가되어 있어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줄어들기에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필요에 따라 보충해줘야 한다.


이때 온라인에서 파는 저렴한 제품을 아무거나 사거나 동네 정비소에서 보유한 냉각수로 채우게 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같은 냉각수처럼 보여도 제조사에 따라 첨가제 종류와 비율이 다른 경우도 있기에 해당 차종의 매뉴얼에 명시된 순정 규격을 사용하는 게 권장된다. 만약 다른 제품을 무분별하게 사용했을 경우 일정 비율로 유지되어야 하는 부동액 농도에 차이가 생기거나 최악의 경우 냉각 계통에 부식이 생길 수도 있다. 그래서 냉각수 제조사들은 혼용 방지 차원에서 초록색, 분홍색 등 색깔을 다르게 만들기도 한다.


농도에 따라 성능 좌우

전체 교환도 필요할까?

냉각수 비중 측정냉각수 비중 측정
냉각수 교환 / 사진 출처 = 국제모터스냉각수 교환 / 사진 출처 = 국제모터스

통상적으로 냉각수 내 부동액 비중이 35%가 되지 않거나 65%를 넘길 경우에는 냉각 성능이 떨어져 과열 혹은 냉각 계통에 부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특히 부동액 비중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에는 냉각수가 부족할 때와 마찬가지로 냉각 성능이 저하됨은 물론 엔진 소음이 증가하거나 체감될 정도로 출력이 줄어들 수도 있다.


냉각수는 순정 규격의 한 가지 제품만 사용한다면 보충만 제때 해줘도 반영구적으로 쓸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제품이 조금이라도 섞였거나 급한 상황에 물을 추가한 적이 있으면 2년 이내로 냉각수 전체 교환이 필요하다.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플러그를 열어 냉각수를 빼낼 경우 라디에이터 내부에 있던 냉각수만 빠지니 냉각수 교환기 등의 장비를 이용해 확실히 빼내는 것이 필수다. 냉각수 교환을 위해 정비소에 방문할 경우 이러한 작업 방식을 거치는지 확인해야 한다.


비상시에는 물 보충

생수는 절대 금물

냉각수 보충 / 사진 출처 = 브런치 쌍용자동차냉각수 보충 / 사진 출처 = 브런치 쌍용자동차

만약 당장 냉각수 보충이 필요한 상황에 부동액이 없을 경우 임시방편으로 물을 넣는 편이 그나마 낫다. 대신 빗물이나 수돗물, 증류수를 사용해야 한다. 만약 지하수나 생수로 보충할 경우 그 안에 포함된 철분으로 인해 냉각 계통에 부식이 발생할 위험이 커진다. 또한 냉각수 대신 물을 보충했다면 빠른 시일 내로 정비소에 들러 냉각수 비중을 점검하는 것이 권장된다.


정비 업계 전문가들은 "냉각수를 아무 제품이나 보충하는 바람에 차량 내에서 섞이는 경우가 의외로 많은데 이는 차량에 독이 된다"며 "냉각수를 점검했더니 어는점이 섭씨 -64도 밑으로 떨어진 경우도 흔하다. 어는점이 낮으면 순환 속도가 느려지면서 냉각 성능이 떨어지고 엔진 리스폰스가 둔해질 수도 있다"고 조언한다. 차를 아끼는 마음으로 제때 넣어준 냉각수가 오히려 차를 망치는 불상사가 생기지 않길 바라며 글을 마친다.

작가의 이전글 사람보다 똑똑하다고? 미래의 자동차 타이어는 이렇습니다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