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재상 Alex May 23. 2018

사무실의 싸이코 #9. 회사를 동아리로 착각하는 사람들

슬직살롱, 직장인, 조직생활, 직장생활, 인간관계, 심리

회사의 존재 목적과 사적 친분 관계


회사는 본질적으로 일하기 위해 존재하는 조직이다. 자신의 꿈을 실현하기 위함이던, 단지 돈을 벌기 위한이던, 아무 생각 없이 그냥 다니는 것이던, 어떤 이유이던 회사에 다니는 사람은 '일'을 위해 존재한다. 그것은 당연한 전제조건이다. 따라서 다른 무엇보다도 '일'이 회사에서 벌어지는 모든 것들에 대한 판단기준이자 가장 우선순위에 있어야 한다. 


본질을 잊고 '일'이 아니라 친분, 학연, 지연, 사적 관계, 회사가 아닌 특정인에 대한 충성심, 정치 등이 우선시되기 시작하는 순간 회사는 기울기 시작한다. 공식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뒤에서 오고간 이야기가 업무에 영향을 주기 시작하는게 그 징조이다. 이후 사적 친분에 맞춰 조직이 재구성되며 일은 뒷전이 된다. 조금씩 시작된 균열을 막지 않으면 그 분위기는 순식간에 조직 전체를 오염시킨다. 회사가 정치판, 동아리판, 대학원랩판, 가족화 되며 정작 일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하나 둘 이탈한다. 그러면 남은 사람들은 그것을 사적 관계의 문제로 보고 더더욱 끼리끼리 뭉치며 같은 부류의 사람들로 빈자리를 채워나간다. 그러면서 자신들도 모르게 서로서로 발목 잡으며 고만고만한 수준에 머물러 우물 안 개구리로 갇혀버리고, 악순환의 고리에 늪처럼 빠져버린다. 그렇게 되기 전 기미가 보일 때 미리 조치하지 않고 방치해두면, 위험하다고 느껴질 때는 이미 늦는다. 



사적 친분 관계가 조직문화와 기업 비즈니스에 끼치는 영향

 

회사생활을 대학 동아리나 대학원 랩실, 혹은 동호회, 심하면 가족처럼 생각하고 다니는 사람들 때문에 무지 힘들었던 적이 있었다. 조직에 들어온 지 얼마 안되는 사회초년생들이야 첫 사회생활이니 그럴 수 있다 생각한다. 그런만큼 비즈니스 매너와 태도를 가르치고 지도하면 된다. 


문제는 어설프게 사회생활 좀 해봤다고 생각하거나 도무지 남의 생각에 귀기울이지 않는 돌+I 스타일, 혹은 그런 문화를 동경하는 사람들이었다. 직급상 아랫사람들이 절대 다수이고, 의외로 윗사람도 많다. 하물며 10년에서 20년 이상 차이가 나는데도 동아리 큰 오빠 대접 받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조직은 R&R에 맞춰 업무를 하고 성과를 내야 하는 곳인데, 윗사람이 자기 조직을 그렇게 이끄니 중간관리자들이 아랫사람들 데리고 도무지 일을 할 수가 없었다. 그런 문화는 당연히 일 보다 사적관계가 우선되도록 만든다. 보고시 바이패스는 횡횡해지고 아랫사람은 상급자를 무시한다. 문제가 생기면 동아리장 형이나 오빠를 찾아가듯이 그 윗사람을 찾아간다. 착한 큰 형이나 오빠 찾아가서 싫은 소리하는 작은 형 혼내달라는 꼴이다. 당연히 조직 운영 기반이 완전히 무너져버린다. (당연히 그 조직은 완전히 와해되었고 조직원들이 뿔뿔히 흩어지고 조직장은 짤렸다. 그렇게 편한 생활 익숙해진 아랫친구들은 평판 때문에 당연히 이직은 한명도 성공 못했다) 


그런 문화를 좋아하는 아랫사람들 중에 이런 사람까지 봤다. 우리는 한가족인데 싸가지 없고 버릇 없고 일 못해도 다 감싸주는 것이 리더의 역할이 아니냐고 당당히 주장한다! 신입사원도 아니고 경력직에 이미 2-3개월 동안 충분한 기회를 줬음에도 태도의 개선이나 성과가 전혀 없고 조직 분위기를 점차 더 동아리나 랩실처럼 만들어 문제 없었던 조직원들까지 하나 둘 자기들처럼 만드는데도 말이다. 여기서 반전은 이런 말을 한 사람이 당사자도 아니고 당사자를 동경하며 따르는 다른 사람이었다는거다. 이미 이 친구에게는 아래위 개념이 없고, 동아리나 랩실, 가족처럼 그렇게 문제를 일으킨 사람을 따르는 것이었다. 업무스타일은 뭐 앞서 언급한 단락처럼 행동하고. 참고로 수평문화를 지향하는 조직일 수록 아랫사람이 그 분위기를 주도할 가능성이 높다. 수평문화의 의미는 서로 동등한 입장에서 의견을 교환하고 서로 존중한다는 의미인데, 이것을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수평조직 역시 각자 R&R에 따라, 즉 권한과 책임에 따라 권한과 책임을 지는 사람은 최종적으로 결정해서 지시하고 다른사람은 실행해야 하는 것인데 말이다. (결국에 이 조직 역시 내가 문제시 했던 친구를 비롯해서 여러명 퇴사하고, 가족처럼 감싸줘야 한다고 주장한 그 친구를 비롯 몇명만 남아있다) 


앞의 두가지 경우가 합쳐진 케이스도 있었는데, 그런 경우 조직 자체는 유지된다.그리고 진정 동아리와 가족처럼 지낸다. 대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철저히 배척하거나 따돌려서 일 잘하는 사람들과 일 하려는 사람들은 조직에 남아있을 수가 없다. 결속력은 더욱 강해지고, 조직 자체는 완전히 외부와 단절되어 고인물이 된다. 결과는 뭐 상상에 맡기겠다. 


멋진 선배나 형이나 오빠가 이끄는 동아리나 랩실, 가족을 꿈꾼다면, 아랫사람은 사회생활 속에서 찾지 말고 사적 모임에서나 그런 욕구 충족하고, 윗사람은 조직원 이끄는 자리가 아니라 최대한 혼자 일하는 자리를 찾아야 개인이나 조직이나 문제가 없을 것이다. 


조직에서 사적관계에 대한 욕구를 풀려는 사람은 조직이나 개인, 자신 뿐 아니라 아랫사람에게까지도 결국에는 최악이다. 




▶ 슬기로운 직장생활 페이스북에서는 가장 현실적인 직장생활 가이드를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facebook.com/suljikcareer 

▶ 슬직 운영사인 패스파인더넷에서는 관련 강연이나 커뮤니티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http://pathfindernet.co.kr


슬직모임이 어떤 모임인지 궁금하신 분들은 하단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s://brunch.co.kr/@alexkang/680



매거진의 이전글 슬직살롱 첫번째 모임 현장 스케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