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민혜 May 16. 2024

집단지성은 실수하지 않을까?

집단지성이란? 그리고 집단지성의 장점과 단점 


이 글은 나의 고민들에 대해 인류 최첨단 지식의 보고가 답한 내용이다. 내 의견인 척 말하기에는 답변의 구성이 멋져서 그냥 복사 붙여넣기로 공유한다. 이번 글은 써놓은지는 제법 오래된 글이다. 나중에 같이 포함할만한 매거진이나 연재가 생기면 발행하려고 했으나, 영영 작가의 서랍에서 잊혀져버릴까 그냥 발행해버리기로 했다. 


참고: OpenAI. (2024). ChatGPT (3.5) [Large language model]. https://chat.openai.com





1. 집단 지성이 뭘까?






chat GPT: 집단지성(集團智性, collective intelligence)은 한 개인의 지성이나 지식 수준을 넘어서서 집단으로서의 지성을 의미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여러 사람이 모여서 협력하고 의사소통하며 문제를 해결할 때 나타납니다. 집단 내의 다양한 개인의 경험, 지식, 시각을 결합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집단지성은 종종 "우리보다 똑똑한 것"으로 묘사되기도 합니다. 즉, 개별적인 사람보다 집단으로서의 합동된 지능이 더 효과적이고 혁신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개별적인 사고와 창의성을 결합하여 집단으로서의 아이디어와 결정을 형성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집단지성은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기업이나 조직 내에서 직원들의 지식과 아이디어를 결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혁신을 이끌어내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온라인 커뮤니티나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도 사용자들의 의견과 아이디어를 모아서 집단적인 지혜를 창출하는 것이 집단지성의 한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2. 집단으로서의 의사결정이 가지는 문제점은 뭘까?






chat GPT: 집단으로서의 의사결정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일반적인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룹 생각(Groupthink): 그룹 내의 일부 구성원이 다양한 의견이나 관점을 제시하는 대신, 일관된 의견을 따르는 경향을 가질 때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새로운 아이디어나 대안적인 해결책이 무시되고 중요한 정보가 누락될 수 있습니다.


정보 왜곡(Biased Information): 일부 구성원이 편향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특정 의견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데, 왜곡된 정보는 올바른 결정을 내리는데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소수 의견 무시(Ignoring Minority Opinions): 그룹 내에서 소수 의견이 무시되거나 억압될 수 있습니다. 소수 의견은 때때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의사결정 지연(Delay in Decision-Making): 그룹 내에서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한 합의에 도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이는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 전에 문제가 악화되는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책임 회피(Responsibility Avoidance): 결정을 그룹으로서 내릴 때 개별 구성원들은 책임을 회피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잘못된 결정의 결과에 대한 개인적인 책임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집단으로서의 의사결정을 실수로 이끌거나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문제를 인식하고 극복하기 위한 방법은 뭘까?






chat GPT: 문제를 인식하고 극복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양성과 포용성 증진: 다양한 배경, 경험 및 관점을 가진 사람들을 그룹에 포함시키고 그들의 의견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양성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창의성을 유발하며, 포용성은 모든 의견이 존중받고 들어줌을 보장합니다.


의견 다양성 유도: 모든 구성원이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고 논의함으로써 그룹의 의사결정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비판적 사고 장려: 구성원들에게 비판적 사고와 독립적인 판단을 장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누구나 자신의 의견을 비판하고 다른 의견을 존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정보 투명성: 모든 구성원에게 필요한 정보에 대한 열람 권한을 부여하고 투명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왜곡된 정보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보 누락을 방지합니다.  


중재 및 조정 역할: 그룹 리더나 중재자는 다양한 의견을 조율하고 그룹의 의사결정 과정을 이끌어야 합니다. 갈등이나 의견 충돌이 발생할 때 중재하여 합의점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판적 반성과 피드백: 의사결정 후에는 그 과정과 결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피드백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앞으로의 의사결정에서 개선할 점을 파악하고 지식을 쌓아나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집단으로서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인식하고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엘리트들로 구성된 집단도 문제를 일으킬까?





chat GPT: 네, 엘리트들로 구성된 집단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실제로, 엘리트들 사이의 집단은 그들의 특권과 권력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몇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예를 살펴보겠습니다.


계층적 사고(Hierarchical Thinking): 엘리트 집단은 종종 계층적인 사고를 보일 수 있습니다. 즉, 그들은 자신들의 지위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일반 대중보다 자신들이 더 우월하다고 여길 수 있습니다. 이는 다양성과 포용성을 저해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저위치에 있는 사람들의 의견을 무시할 수 있습니다.  


그룹 내부의 편견과 엘리트주의(Bias and Elitism Within the Group): 엘리트들 사이의 집단은 종종 그들의 지위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특정한 편견이나 엘리트주의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그룹 내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방해하고, 더 낮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의 의견을 무시할 수 있습니다.  


의사결정의 불투명성(Obscurity in Decision-Making): 엘리트들 사이의 의사결정은 종종 비공개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입장에서는 그 과정과 이유를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는 투명성을 저해하고, 일반 대중이 의사결정에 참여하거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자기 이해결부(Self-Entrenchment): 엘리트들은 종종 자신들의 지위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과도하게 자기 보전적인 태도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새로운 아이디어나 변화를 거부하고, 혁신을 억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엘리트들로 구성된 집단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엘리트들 사이의 포용성과 투명성을 증진하고, 다양한 의견을 존중하는 문화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가 조직은 결국 시스템과 많은 사람들로 구성되잖아 이러한 국가조직도 집단으로서 행동하기 때문에 네가 얘기한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는 것 같아. 문제점의 예시와 해결방안을 제시해 주겠어?







chat GPT: 맞습니다, 국가 조직은 결국 시스템과 다수의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집단으로서 행동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문제점과 그에 대한 해결 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룹 생각(Groupthink) 문제: 국가 조직 내에서도 특정한 의견이나 정책이 편향될 수 있으며, 다양한 의견이 무시되거나 억압될 수 있습니다.    


    -> 해결 방안: 다양한 전문가들과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공론화를 촉진하는 과정을 도입하여, 그룹 생각을 방지하고 다양성을 증진할 수 있습니다.   


정보 왜곡(Biased Information 문제: 국가 조직 내에서는 특정한 이익이나 정책을 지지하기 위해 정보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 


    -> 해결 방안: 투명하고 객관적인 정보 수집 및 분석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정보의 왜곡을 방지하고 공정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소수 의견 무시(Ignoring Minority Opinions) 문제: 국가 조직 내에서는 소수 의견이 무시되거나 억압될 수 있으며, 이는 창의성과 혁신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 해결 방안: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통합하는 프로세스를 도입하여, 소수 의견이 들어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활용합니다.      


의사결정 지연(Delay in Decision-Making) 문제: 국가 조직 내에서 의사결정이 지연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효율성을 저해하고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해결 방안: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고,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메커니즘을 강화하여 지연을 최소화합니다.      


책임 회피(Responsibility Avoidance) 문제: 국가 조직 내에서 책임 회피 문화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결정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가질 수 있습니다.    


    -> 해결 방안: 개별적인 책임과 투명성을 강조하고, 의사결정에 참여한 구성원들에게 적절한 보상과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책임감을 증진시킵니다.      


이러한 해결 방안들은 국가 조직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인식하고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채택될 수 있습니다.





관련된 연구들이 많을거같은데 열가지 정도 추천해줄 수 있어? 책도 좋고 논문도 좋아 






chat GPT: 물론, 국가 조직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권위있는 학술 저널에 발표된 논문과 책을 몇 가지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 추천 도서 >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by Edgar H. Schein - 조직 문화와 리더십의 관점에서 조직의 동작 및 행동에 대한 이해를 제공합니다.                  


"Public Administration: Concepts and Cases" by Richard J. Stillman II - 공공행정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며, 현대 공공정책과 조직의 기본 개념을 설명합니다.                  


"Bureaucracy: What Government Agencies Do And Why They Do It" by James Q. Wilson - 정부 기관의 운영과 성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책입니다.                  


"Public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by Owen E. Hughes - 공공행정의 기본 개념과 과정에 대해 다룹니다.                  


"The New Public Service: Serving, Not Steering" by Janet V. Denhardt and Robert B. Denhardt - 현대 공공행정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과 이론을 제시합니다.                  




< 추천 논문 >



"The Politics of Bureaucracy" by B. Guy Peters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 정부기관 내부의 정치적 요인에 대해 다룹니다.                  


"Understanding Organizational Culture: A Key Leadership Asset" by Edgar H. Schein (Organizational Dynamics) - 조직 문화의 개념과 리더십과의 관계를 탐구합니다.                  


"Public Service Motivation: An Introduction" by James L. Perry and Lois R. Wis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 공공부문 직원들의 동기와 행동에 대해 다룹니다.                  


"The Evolu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From the Classical to the Postmodern Paradigm" by Francesco Zucchini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 공공행정의 진화와 패러다임 변화에 대해 논의합니다.  

          

"Public Value and Public Administration" by Mark H. Moor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 공공가치의 개념과 공공행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룹니다.                  


이러한 책과 논문은 국가 조직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대해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할 것입니다.



올해 하반기부터 시카고대학교에서 정책학을 공부하게 되는데, 예습한다고 생각하고 추천 받은 책과 논문을 한 번 읽어봐야겠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