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insight coco Nov 08. 2020

최첨단 기술의 스마트폰 카메라, UX는 여전히 아쉽다

고객 컨텍스트(context)를 고려한 사용성 조사의 필요성

기획자는 보통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성 조사’를 실시합니다.


사용성 조사 (Usability Test)

Usability는 '사용'이라는 뜻의 Use와 '~할 수 있는' 뜻의 ability가 합쳐진 단어로, 뒤에 Test와 함께 사용되어, 고객이 얼마나 해당 제품/서비스를 제대로 이해하고 사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조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용성 조사에 가장 주요하게 확인되어야 하는 부분은,

제품/서비스를 설계한 기획자의 의도(콘셉튜얼 모델)대로 고객이 동일하게 이해하고 사용하는지(멘탈 모델) 확인 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고객이 기획자의 의도 대로 제품/서비스를 받아들이면 우리는 '사용성이 좋다'라 표현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 일상 속에서 사용성이 좋지 못한 제품/서비스가 많이 포착 되는데요,

스마트폰 카메라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최첨단 기술을 갖춘 스마트폰, 사용성은?

이제는 스마트폰 카메라가 DSLR 대비 사진 화질도 전혀 뒤쳐지지 않고 휴대성 면에서도 훨씬 더 월등하기 때문에, 일상에서 많이 애용하는데요


최첨단 기술 또한 다양하게 탑재되었기에, 사용성 문제는 크게 없을 것만 같습니다.


하지만, 셀카나, 특정 물건을 들어 찍을 때는 한 손을 주로 이용해 사진을 찍게 되는데요,

여기서 하나의 주요 문제점이 발생합니다.



스마트폰 카메라에는 자동 포커스 기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포커스 시켜야 할 대상을 잘 잡지 못하는 경우,

, 화면 상의 해당 물체가 있는 지점을 직접 터치를 해줘야 합니다.


한 손으로 포크 촬영을 시도했지만 포커스가 맞지 않음


하지만, 한 손으로 폰을 들고 있는 상황에서, 엄지로 화면을 터치할 수 있는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어, 어쩔 수 없이, 나머지 한 손으로 화면을 터치하거나 혹은 스마트폰을 잠시 이동시켰다가 다시 해당 물체를 빚춰 포커스를 맞추려는 시도를 하곤 합니다.


혹여나 'DSLR처럼 셔터 버튼을 일시적으로 누르고 있을 경우, 해당 물체에 포커스를 맞춰주진 않을까' 하는 생각에 촬영 버튼을 잠시동안 눌러 보았지만, 원하는 기능이 아닌 비디오 촬영 기능으로 빠르게 변환되었습니다.


여기서 얻을 수 있는 주요 인사이트는 즉, 사용성 조사를 함에 있어 고객으로부터 특정 기능이 잘 구현되었는가, 기능적인 측면에서의 검증만 받는 것이 아닌, 고객이 해당 제품/서비스를 사용하는 실제 환경(context)에서의 검증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물론, 혁신적인 기술이 탑재될수록 제품의 경쟁력을 올리고 제품 기능 측면의 상용성은 높게 평가 될진 모르지만, 위 사례와 같이 고객 환경에서 제품/서비스를 다시금 검증해본다면 여전히 보완되어야할 고객 경험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by. Insight coco 


작가의 이전글 안전가옥, 창작자들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