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Good night and Jun 29. 2020

한여름밤의 이별

아리 애스터 <미드소마>

스포일러 포함


어쩌다 보니 짧은 기간 안에 아리 애스터 감독의 영화 이야기를 두 번째 하게 되는데, 그의 영화 이야기를 많이 하는 것 자체가 영화에 대한 극찬은 아니니 오해 마시길 바란다. 재밌는 영화와 이야깃거리가 많은 영화는 엄연히 다른 것이고 <미드소마>는 100퍼센트 후자인 영화로, 개인적 감상을 정리하기 위해 적어 본다.


“제가 헤어짐을 겪은 뒤 이 내용을 구상했는데, 그 헤어짐에서 직접적으로 영감을 얻었다기보다는 그때 겪었던 감정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죠.” - 아리 애스터


가장 쉽게 알아차릴 수 있는 이별의 전조는, 많은 경우 자신이 고통을 겪고 있을 때 보인다. 영화 초반 전화 속 목소리로만 등장하는 대니의 친구는 크리스티안이 그녀의 고통을 공감하고 같이 나눠질 수 있는 사람인지 되풀이 해 묻지만 대니는 회피성 대답만 반복한다. 사실 아니란 걸 알고 있었지만 이미 그녀가 겪고있는 정신적 고통이 너무 컸기 때문에 또 하나의 상실을 겪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집요하게 영화는 크리스티안이, 정서가 불안한 대니가 절대 의지할 수 없는 못 미더운 사람이란 표식을 끊임없이 보여준다.


난 크리스티안이 ‘나쁜 애인'이라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물론 모든 사람은 기본적으로 나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긴 하지만, 어쨌든 내 기준에서 크리스티안 정도면 그냥 보통 인간이다. 그의 언행 중 무엇도 진심이 아니지만 그럴싸한 연애의 껍데기를 흉내내며, 공허한 관계를 몇 년 간 이어갈 수 있는 인간이라는 점에서. 게다가 대니의 고통은 비슷한 종류의 사건을 겪어보지 않은 인간들이 헤아리고 공감하기 힘든 종류다. 하긴, 어떤 종류의 고통인들 안 그렇겠는가만은. 대니와 크리스티안이 헤어지게 된 건 누군가의 일방적인 잘못이 아니다. 대니가 가족을 잃었을 때 그들은 이미 서로 이해할 수 없는 인간이 돼 버린 것이다. 종종 크리스티안을 빤히 바라보는 대니의 눈빛이 이야기 한다. 그들의 관계는 이미 종료 돼 있다고.            


영화 내내 클로즈업으로 잡히는, 플로렌스 퓨의 울음을 참는 혹은 울기 직전의 표정.


영화 속에서 거행되는 호르가 마을의 신성한 의식은 그 자체로 이별을 받아들이고 감정을 정리하는 과정이다. 관계의 상실을 대면하기 직전, 오래된 연인들은 징조를 무시하고, 서로의 존재가 가진 관성 때문에 망설이고, 혼자 속으로 울음을 삼킨다. 그러다 차츰 시간이 흘러 깨어진 관계의 모습이, 더 이상 못 본 척 할 수 없을 정도로 한여름의 햇빛처럼 너무 선명해지면, 모든 것을 끝내고 감정을 정화 하기로 결심한다. 그리고 내가 기억하는 그 사람의 모든 것을 불태우는 거다. 물론 그 사람을 태운다는 게 아니라 정신적으로 말이다.


그러니까 이건, 오랜 연인들의 평범한 이별 이야기다. 아름답고 찬란했다고 생각하겠지만 사실 하나하나 돌아보면 때로는 엽기적이기도 했던 관계에 종말을 고하는 그 순간을 포착한, 평범한 이별. ‘태어나기 위해서 죽는다'고 스스로를 위로하며 관계에 종말을 고하는 그 과정.

매거진의 이전글 무서운 이야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