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청리성 김작가 Oct 29. 2024

존중받아 마땅한 우리 모두입니다.

‘존중’하면, 생각나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처음 출간한 책, <완벽한 하루>에 실은 이야기인데요. 제가 만든 짧은 이야기입니다. 존중에 관해 묵상하는데, 문득 떠올랐습니다. 그 이야기를 조금 더 살을 붙여서 풀어보겠습니다. 어느 날, 손과 발이 이야기를 나눕니다. ‘손’이 ‘발’에 이야기합니다. “나는 사람들을 만나면, 악수로 인사를 나누는 중요한 역할을 해. 밥을 먹을 수 있도록 해주고 다양한 활동을 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존재지!” 자기 존재감을 뽐냅니다.

     

여기에는 발에 대한 무시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발은 하는 게 아무것도 없어 보였기 때문입니다. 발은 이야기를 듣고 가만히 생각한 후에, 조곤조곤하게 이야기합니다. “그렇구나! 너는 많은 일을 하는구나. 하지만 넌 내가 없으면 어디도 갈 수 없지 않나? 악수하려고 할 때나 밥을 먹으려고 할 때, 그리고 다양한 활동을 하려고 할 때도, 넌 내가 없으면 어디도 갈 수가 없지 않아?” 손은 더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습니다.

     

손과 발은 다른 존재입니다.

누가 더 우위에 있다고 말할 수 없는 거죠. 역할이 다를 뿐입니다. 하지만 손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자기가 실제 하는 역할이 더 많다고 여기는 거죠. 발을 무시한 것도 이런 마음에서 출발했던 겁니다. 누군가를 무시하는 사람을 보면 공통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자기가 그 사람보다 더 우월하다고 여긴다는 겁니다. 그런 생각이 들어차 있으니 가능한, 말과 행동입니다.    

 


‘갑질’이라고 말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서비스를 받는 처지에 있으니 당연히 자기가 더 우월하다고 여깁니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식당에 가서 밥을 먹는다고 해보겠습니다. 돈을 내고 밥을 시키니, 내가 더 우월한가요? 아닙니다. 배고픔을 달래줄 밥을 내어주는 사람은, 식당에서 일하는 분들입니다. 돈이 아무리 많이 있으면 뭐 할까요? 배가 고파 쓰러질 지경인데, 밥을 먹을 곳이 없다면 말이죠. 억만금이 있다고 해도 국밥 한 그릇에 비할까요? 역할이 다를 뿐, 절대 누가 더 우위에 있다고 말할 순 없습니다.     


<초보 직장인을 위한 직장 생활 설명서>에 있는 이야기도 소개할까 합니다.

어떤 선비가 배를 타고 강을 건너가고 있었습니다. 한창 공부하던 선비는 뱃사공에서 논어를 아느냐 묻습니다. 뱃사공은 모른다고 말합니다. 선비는 어이없다는 표정으로 어떻게 논어를 모를 수 있냐며 혀를 찹니다. 그리곤 열심히 노 젓고 있는 뱃사공에게, 자기가 아는 지식을 풀어놓습니다. 뱃사공은 그러려니 하고 듣습니다. 이때 갑자기 강한 바람이 불어닥칩니다. 배가 흔들리고 곧 전복될 위기에 처한 겁니다.   

   

뱃사공이 선비에게 묻습니다.

“수영할 줄 아십니까?” 겁에 잔뜩 질린 선비는, 할 줄 모른다고 답합니다. 뱃사공은 선비를 끌고 헤엄쳐서, 근처 육지에 도착합니다. 숨을 고르고 뱃사공은 선비에게 말합니다. “때로는 논어보다 수영하는 법이 더 유용할 때가 있습니다.” 선비는 고개를 숙인 채 아무 말도 하지 못했습니다.      


논어를 아는 것과 수영하는 법.

이 둘을 그냥 놓고 보면, 논어를 아는 것이 더 가치 있어 보입니다. 둘 중 하나의 역량을 얻을 수 있다면, 논어를 선택할 겁니다. 삶의 지혜를 얻게 될 테니까요. 그리고 수영해야 할 상황보다는, 논어를 활용할 수 있는 상황이 더 많은 것도 중요한 이유입니다. 하지만 뱃사공의 말처럼, 물에 빠진 상황이라면 어떨까요? 아무런 역량도 쓸모가 없게 됩니다. 오직 수영할 줄 아는 역량만이, 목숨을 건질 도구가 되는 거죠. 목숨이 붙어 있어야 가지고 있는 역량을 발휘할 수 있고요.  

   

언제 어느 때 유용하게 쓰일지 모릅니다.

그 무엇도 그리고 아무도 모르는 겁니다. 사람 일 모르는 거라고 말하는 것도, 이런 이유겠지요? 한 사람 한 사람은, 다 소중하고 필요한 존재입니다. 언제 어느 때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할지 모를 뿐이지요. 그러니 자기 강점을 찾고 살려서, 꾸준히 노력해야 합니다. 강점을 백분 활용할 수 있는 방법도 생각하면서 말이죠. 그렇게 한 걸음씩 내딛다 보면, 나의 시간을 만나리라 믿습니다. “Slowly but never stop.” 천천히 가되, 멈추지만 않으면 되는 거죠.     



  

                    

매거진의 이전글 ‘탄생’에서 ‘하늘로 가는 나그네’로 이어지는 신앙여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