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스인 Sep 21. 2022

그래서 트롤리를 어떻게 할까요

공리주의자 벤담이 가져온 트롤리의 딜레마

자본주의의 현대 사회는 '경제적 효용'이 가장 중요한 평가 기준이기에, 공리주의를 바탕으로 한 제도나 정책이 많다. 나 역시도 공리주의가 가장 공정하고 정의로운 철학이라는 생각을 고등학생 때까지 했었다. 


대학교에 막 입학했을 때 한 교수님이 제시한 문제였는데 아직도 기억이 생생하다. 달리는 기차 앞에 여러 명의 사람들이 피할 수 없는 거리에 있는데, 기관사는 방향을 틀어야 하느냐 하는 문제다. 물론 그 방향에도 한 명의 사람이 있다. 여러 명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한 명을 희생해도 되느냐 하는 문제다. 참 어려운 문제다.


그런데도 나는 일말의 망설임도 없이 한 사람을 희생하는 방향으로 틀어야 한다고 생각했었다. 공리주의가 뼛속까지 물든 새내기였지 뭐. 나뿐 아니라 전 세계 사람들의 89%가 같은 대답을 했다고 한다. 이게 바로 '트롤리의 딜레마'다. 질문을 살짝 틀면 답변의 비율은 확 달라진다. 멈추지 않는 기차 앞에 놓인 여러 명의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기차에 사람을 밀어 멈추게 하겠느냐는 질문. 여기에는 단 11%만이 그렇게 해야 한다고 답했다고 한다. 윤리를 효용의 가치로만 볼 수 없기에 딜레마가 생기는 것이다. 


이건 모두가 즐겁고 행복하기만 하면 된 거 아닌가, 하는 벤담의 후예들에게 브레이크를 거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세상에는 모두가 해피하지만 해서는 안 되는 거나 곤란한 것들이 분명히 존재한다. 아이가 휴대폰 게임을 좋아한다고 휴대폰을 종일 맡기면 부모도 자신의 할 일을 할 수 있어 편하고 아이도 좋아하는 게임을 할 수 있어 즐겁다. 하지만 그러는 과정에서 아이는 게임중독에 빠질 수 있다. 결과만을 중시하며 과정을 무시한다면 언젠가는 과정 속 오류가 눈덩이처럼 커져 돌아올 수 있다는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냉장고엔 과일이 한가득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