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앤펭귄 Oct 30. 2022

이야기를 만드는 사람: 맨 프럼 어스

특성화고 영상과 선생님과 학생의 방과 후 수업

현우: 쌤, 이 영화 진짜 좋아하는 영화라고 하셨잖아요. 왜 좋아하세요?

소현: 너무 흥미진진하잖아. 주인공 존 교수 얘기에 빠져들어서 실제처럼 믿게 되는 게 재밌는 거지. 거기 모인 동료 교수들도 시답잖은 이야기처럼 여기다가 점점 빠져들잖아.

현우: 저도 재밌게 본 거 같아요. 원래 영화는 허구의 이야기인데 우리가 영화를 볼 때만큼은 사실처럼 여기고 빠져들잖아요. 그래도 영화가 끝나면 다시 현실로 돌아오고요. 근데 이 영화는 끝나고도 현실로 돌아오지 못하게 만드는 것 같아요.

소현: 그게 이 영화의 진짜 매력이지. 사실 이렇다 할 주인공의 목표도 없잖아. 흔히 웰메이드 영화라고 일컬어지는 작품들이라면 다 갖고 있는 목표, 동기, 갈등 같은 것들하고 동떨어져 있는데도 재밌다고 느껴져. 그리고 그 이유는 사람들이 흔히 생각해온 것들을 의심하게 만들었기 때문이지.

현우: 네. 처음에는 저 인물이 하는 말이 진짜일까 장난일까 계속 궁금하게 만들다가 나중에는 논리가 생기고 주변 전문가들이 거기에 호응을 하면서 진짜처럼 느끼게 해주잖아요. 특히나 자신이 예수였다고 설명했을 때는 충격적이었지만 그게 진짜처럼 느껴졌죠. 그래서 영화가 끝나고도 영화라는 환상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것 같아요.

소현: 그러면 너도 영화가 끝나고도 영화에서 한 이야기를 곱씹었다는 거잖아.

현우: 네.

소현: 여전히 그 이야기가 진실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

현우: 그 이야기가 진실일 거라기보다, 오히려 진실이 뭔지 생각하게 되더라고요. 제가 여태껏 믿어왔던 세계를 증명할 방법이 없잖아요. 존이 하는 얘기도 증명할 수 없는 것처럼요. 역사도 사람에 의해서 쓰인 거고 시간이 지나면서 변질이 되기도 하고요. 그래서 제가 믿어왔던 세계가 진실이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소현: 아, 존이 한 얘기에서 그친 게 아니라 네가 알고 있는 세계가 진실이 아닐 수 있다는 생각을 한 거구나?

현우: 네.

소현: 나도 네 얘기랑 비슷하면서 조금 다를 수도 있는데, 나는 어떤 작품을 감명 깊게 읽거나 보잖아? 그러면 작품의 세계가 진짜일 거라고 믿는 경향이 있어. 그러면서 내가 믿어왔던 현실 세계에 새로운 믿음이 추가되는 거지.

현우: 그게 무슨 말이에요?

소현: 사람마다 다 자신이 믿는 게 있잖아. 그리고 그 믿음은 모르는 것에서 나오는 게 아니라 아는 것에서부터 나오잖아? 근데 내가 알고 있는 모든 걸 증명해낼 수는 없어. 예를 들어 내가 아는 현우가 버릇없는 애야. 근데 그게 증명될 수는 없어. 그저 내가 그렇게 알고 믿을 뿐인 거지. 그리고 현우가 예의 바른 모습을 보여줘. 그러면 내가 알고 있던 현우가 바뀌는 거니까, 믿음도 바뀌는 거지. 그런 식으로 믿음이 추가되거나 바뀌는 거야. 그래서 책이나 영화에서 새로운 생각을 접하게 되면 새롭게 아는 게 추가되는 거고, 그중에서 마음에 드는 걸 새로운 믿음으로 일종의 취사선택하는 거지. 결국 세계의 진실은 정해져 있는 게 아니라는 뜻이기도 해. 사람들은 자신이 아는 걸 믿는 거고, 그 믿음에 절대적인 건 아무것도 없어서 언제든 바뀔 수 있는 거니까.

현우: 세상에 진리가 없기 때문에 각자의 세계를 믿으면서 산다는 건가요?

소현: 맞아. ‘맨 프럼 어스’에서도 존이 하는 말들을 증명할 수 없잖아. 믿거나 말거나의 선택인 거지. 결국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믿음은 진리가 아니고, 자신이 뭘 믿겠다고 선택하는 거일 뿐이야. 그리고 내가 이 영화를 보고 추가한 새로운 믿음은 부처와 예수의 가르침이 하나일 수 있다는 거야.

현우: 저도 영화를 보면서 쌤하고 같은 생각을 한 것 같아요. 심지어 저는 예수가 신적인 존재가 아닐 수 있겠구나, 라는 생각도 들었어요.

소현: 맞아. 네 말대로 그런 식으로 진실에 의구심이 생기는 거지. 그러면서 새로운 믿음이 생기는 거고, 그걸 내 세계의 확장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 같아.

현우: 그리고 저는 영화에서 가장 충격적이었던 장면이, 존이 자신이 사실 예수라고 말하는 장면이었어요.

소현: 난 그때가 가장 흥미로웠는데 왜 충격이었어?

현우: 영화 속에서 존이 콜럼버스를 만났다거나 부처를 만났다고 한 것까지는 그럴 수 있겠구나 했는데, 자신이 예수라고 설명하고 거기에 대해서 납득을 시키니까 흥미를 떠나서 진짜 충격이었어요. 저의 머릿속에 있던 세계가 완전히 뒤바뀌는 것 같았거든요. 그 얘기를 듣던 인물 중에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 동료 교수가 충격에 휩싸여서 어쩔 줄 몰라 했던 것처럼요.

소현: 납득이 안 됐으면 모르는데 납득이 돼서 충격이었지?

현우: 네. 그리고 제가 흥미로운 영상 하나를 봤거든요? 조현병 환자 체험 영상 같은 건데요, 의사가 정상적인 사람에게 현재 인적 사항을 물어봐요. 그러면 그 사람은 당연하게 자신은 결혼을 했고 딸 하나 아들 하나가 있다고 말해요. 그러면 의사가 그 사람이 말한 현실을 부정하는 거예요. 당신은 조현병 환자고 여기는 당신을 치료하기 위한 정신병원이라고요. 그럼 그 사람은 말도 안 되는 소리 하지 말라면서 화를 내요. 이 상황이 ‘맨 프럼 어스’하고 같다고 생각했어요.

소현: 음, 그러니까 믿고 있는 현실이 부정되고 혼란을 일으키는 게 같다는 거네.

현우: 네. 더 무서운 건 그걸 관람하고 있던 사람들 모두가 의사의 말을 지지하는 거예요. 그러면 이제 의사의 말을 믿지 못하던 사람도 결국엔 믿을 수밖에 없게 되는 거죠. 그래서 제가 느낀 게, 진실이 없기 때문에 우리 모두가 믿고 있는 현실은 망상일 수도 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했어요.

소현: 그래서 충격적이라고 한 거구나.

현우: 네. 그리고 믿음이란 게 다수의 사람들 의견에 의해서 바뀔 수 있구나, 라는 생각도 들었어요. ‘맨 프럼 어스’나 조현병 체험 영상 둘 다 새로운 사실을 부정하고 믿지 않던 사람들이 다수의 의견으로 그걸 사실이라고 받아들이고 믿게 되니까요.

소현: 그래, 결국 세상 모든 믿음이 이야기라고 할 수 있어.

현우: 그쵸. 세상에 진실은 없으니까요.

소현: 응. 진실이라고 믿을 뿐이지. 그렇게 생각하면 영화나 우리 실제 삶이나 모두 허구의 이야기인 거야. 어떤 이야기를 믿을 것인가를 자신이 선택할 수 있고, 그렇게 자기만의 세계관을 정립하는 거지. 그래서 내가 알던 세계만 진실이고 진리라고 고집할 필요도 이유도 없어.

현우: 그래서 ‘맨 프럼 어스’에서도 존과 동료 전문가들이 싸우는 거죠. 각자 자신의 이야기가 진실이고 진리라고 생각하니까요. 어찌 보면 모든 인간관계에서의 갈등이 이렇게 시작이 되는 거죠. 

소현: 맞아. 내 세계를 무너뜨리는 거라고 느낄 수도 있는 거니까. 네가 충격을 받았던 것처럼. 그래서 어떤 믿음이든 과하게 몰두할 필요는 없는 것 같아. 항상 내가 사실이라고 알고 있던 게 언제든 바뀔 수 있다는 걸 받아들일 수 있어야 돼.

현우: 오, 쌤! 그래서 인간을 호모나랜스라고 하는 거 아닐까요? 이야기 본능을 가진 인간이란 뜻이잖아요. 우리가 믿는 모든 게 이야기고, 새로운 이야기가 기존에 자신이 세운 세계에 부합하지 않으면 갈등이 일어나기도 하는 거죠. 심하면 그 세계가 무너지고 마치 조현병처럼 무엇이 진실인지 알 수 없게 되기도 하고요. 그래도 결국 새로 알게 되는 사실들이 또 다른 믿음이 되고 그렇게 나만의 이야기 세계를 새롭게 창조하는 거죠.

소현: 그러네. 그런 관점이면 인간은 평생 이야기를 창조하면서 사는 존재인 거네. 현우가 이제 배운 것들을 연결 지으면서 세계 창조를 견고히 할 줄 아는데…?

현우: 저잖아요.

소현: 겸손할 줄만 알면 완벽해…. 사람들의 가치관이 각자가 창조한 이야기 세계라는 관점이면 서로를 존중하는 것도 어렵지 않을 것 같아. 각자의 세계에 상대를 끌어들이려고 하는 게 아니라, 이야기를 주고받는 것에 만족하면 인간관계에서 갈등도 생기지 않겠지. 결국 내 믿음을 강요하기 때문에 갈등이 발생하는 거니까.

현우: 그럼 쌤은 이제 저를 존중하시나요?

소현: 항상 존중했지. 넌 나를 존중하니?

현우: 그건 중요하지 않아요. 선생님이 저의 스승인 게 중요한 거죠. 그 말 아시죠? 그 선생에 그 제자….

소현: 그래서 네가 이렇게 훌륭하게 컸구나. 우린 서로를 매우 존중하고 아끼고 있네.

현우: 그쵸. 그래서 제가 선생님을 닮았기 때문에 겸손할 줄만 알면 완벽하죠. 

소현: 그래, 내가 호랭이 새끼를 키웠다.

현우: 네. 제가 언젠가 선생님을 뛰어넘는 제자가 되겠습니다.

소현: 기대할게. 

이전 18화 감정은 온전한 내가 아니다: 디태치먼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