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앤펭귄 Oct 30. 2022

감정은 온전한 내가 아니다: 디태치먼트

특성화고 영상과 선생님과 학생의 방과 후 수업

소현: 현우야, ‘디태치먼트’가 무슨 뜻인지 알아?

현우: 네.

소현: 오~ 알아? 뭔데?

현우: 거리를 둔다는 뜻 아니에요?

소현: 이야, 현우 많이 컸네!

현우: 저희가 ‘살인마 잭의 집’에서 한 얘기가 뭐였죠?

소현: 글쎄. 기억이 안 나네~! ‘디태치먼트’ 얘기해 보자.

현우: 쌤 기억이 안 나신다니 말씀드리자면 저희가 오만함에 대해서…

소현: 넘어가자꾸나.

현우: 네.

소현: 영화 어떻게 봤어? 전반적으로 분위기가 다운 돼 있고 회색빛의 느낌이 나지 않아?

현우: 네. 인물들이 전부 불행해 보였어요.

소현: 맞아. 그래도 그 와중에 분명 행복한 순간들도 있었던 것 같아.

현우: 주인공이 자신의 신념을 끝까지 지키잖아요. 그게 아마 행복한 순간인 것 같아요.

소현: 그치. 신념을 지킨다는 게 쉬운 게 아니니까 나도 학교 현장에 있는 선생님으로서 더 이입하면서 보게 됐지. 지난주에 갈등을 다루는 방식을 보여줘서‘디태치먼트’를 보고 오자고 했잖아. 근데 내가 겪었던 갈등을 생각해보니까 나도 영화처럼 감정에 대한 대처를 잘한 건 아닌 것 같더라. 

현우: 왜요? 무슨 갈등이었는데요?

소현: 작년에 우리 반 애가 거짓말한 적 있잖아. 그때를 떠올려보니까 처음 들었던 감정이 배신감이었더라고.

현우: 아, 그거요? 학생을 믿었는데 거짓말한 걸 알게 됐으니까 배신감을 느끼는 건 자연스러운 거 아닌가요?

소현: 그런 감정을 느꼈던 건 자연스러운데 거기에 내가 충격을 받았다는 건 미성숙한 거지.

현우: 미성숙까진 아니지 않나요? 쌤도 사람인데 그런 감정이 드는 게 당연하죠. 그리고 거짓말이 잘못된 건 맞잖아요.

소현: 그치. 근데 그 학생의 잘잘못을 따지기 이전에 내가 배신감이라는 감정에 휘둘린 거야. 감정에 휘둘려서 감정과 나를 분리하는 데에 실패했다는 뜻이고, 그건 감정을 다루는 데 미성숙한 거지.‘디태치먼트’의 헨리 선생님의 방식에 비하면 그래.

현우: 영화에서 헨리 선생님이 학생하고 갈등이 있을 때 감정을 어떻게 표출했는데요?

소현: 영화 초반, 헨리가 첫 수업 시간에 남학생이 대뜸 자기 질문에 답을 안 해준다면서 헨리 가방을 집어 던지잖아. 그 와중에 헨리가 전혀 동요하지 않고 말해. ‘가방은 감정이 없어, 텅 비어있지.’라고. 그러면서 화나는 거 알지만 난 너한테 기회를 주는 사람이라고 설득하잖아. 나는 감정적으로 동요했고, 헨리는 아니었던 거지.

현우: 선생님은 그럼 순간 감정에 휘둘렸던 거고, 헨리는 이성적으로 감정에 휘둘리지 않았던 거네요.

소현: 그렇지. 근데 단순히 이성적이라기보다는, 분리했다는 표현이 더 정확한 거야. 영화 제목도 그래서 거리를 둔다는 의미의 ‘디태치먼트’인 거고.

현우: 감정을 분리한다는 건가요? 그게 무슨 말이에요?

소현: 사람이 어떤 감정을 느꼈을 때, 그 감정에 휘둘리잖아. 근데 그 휘둘린 감정은 내가 아니야. 그게 내가 아님을 인식해야 된다는 뜻이야.

현우: 감정이 내가 아니라는 말이 무슨 말이에요? 계속 추상적으로 접근하시는 거 아니에요?

소현: 예를 들어 게임을 한다고 생각해봐. 그러면 우리는 플레이어고, 캐릭터가 있겠지. 캐릭터가 뭔가를 달성하도록 우리는 열심히 플레이를 할 거야. 그때 우리는 캐릭터와 우리 자신을 동일시하게 될 수밖에 없어. 근데 우리가 게임 캐릭터 그 자체야?

현우: 아니죠.

소현: 그치. 우리는 플레이어지 캐릭터가 아니야. 마찬가지로 마치 게임을 할 때처럼 우리가 어떤 감정에 맞닥뜨렸을 때, 그 감정에 동요되는 건 너무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거지만, 감정에 휘둘리는 건 우리 자신이 아니라는 얘길 하고 싶었던 거야.

현우: 쌤 근데 이걸 알아도 저희는 항상 감정에 휘둘리잖아요. 선생님도 휘둘리셨다면서요. 그러면 감정이 인식보다 앞서 있는 거 아니에요? 감정에 휘둘리는 걸 인식하기가 힘들잖아요.

소현: 맞아. 그래서 감정에 휘둘리고 있다는 걸 인식하려고 노력하는 게 중요하지. 어떤 감정에 휩싸였을 때, 거기에 매몰되는 게 아니라 ‘아, 내가 지금 이런 감정을 느끼고 있구나.’라고 한 번 생각하려는 노력을 하는 거야. 그 노력이 계속되면 헨리처럼 자신과 감정을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거겠지.

현우: 이제 무슨 의미인지는 알겠는데 어렵네요. 그럼 궁금한 게 있는데요, 만약 소중한 친구가 죽었을 때도 슬픈 감정에 휩쓸리지 말고 그걸 인식해야 되는 거예요?

소현: 그렇지. 그게 감정이 나를 지배하지 않도록 하는 노력인 거니까.

현우: 남이 볼 때는 슬픈 감정조차 표현하지 않고 이성적으로 판단하는 모습을 보면 거부감이 들지 않을까요? 학생이 헨리 가방을 던진 장면을 보면 헨리가 감정에 전혀 휩쓸리지 않지만 그래서 더 인간적이지가 않잖아요.

소현: 오히려 인간적인 걸 수도 있어. 헨리의 목적은 학생과의 갈등으로 인해 따르는 고통에서 조금이나마 벗어나는 거니까.

현우: 어찌 보면 자신의 감정을 제어하고 상대방의 감정도 진정시킨다는 건데, 그럼 이건 소시오패스랑 다를 게 없지 않나요?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상대방의 감정을 조종하는 거니까요.

소현: 조금 달라. 소시오패스는 타인의 감정과 심리를 모두 읽고 그걸 이용해서 내 이득을 취하는 사람을 말하는 거잖아.

현우: 고통에서 벗어나려는 것도 자신의 이득을 위한 거죠.

소현: 그렇게 볼 수도 있지. 하지만 나만의 이득을 위한 게 아니라는 점에서 확연히 다르잖아. 소시오패스는 그 사람의 감정이 어떻든 내 이득만 취하면 되는 거고, 헨리처럼 갈등을 대하는 태도는 갈등에 처해 있는 서로를 위한 거니까.

현우: 그래도 상대방의 감정을 내 뜻대로 이끈다는 건 같잖아요. 정확히 어떤 게 다른 거예요?

소현: 상대를 수단으로 사용하는가 아닌가가 결정적인 차이점이야. 헨리의 방식은 갈등에 함께 놓인 상대를 존중하고 있는 방식인 거지.

현우: 상대방의 감정을 수단이 아닌 서로를 위한 방향으로 이끄니까 소시오패스는 아니라는 거네요.

소현: 그렇지. 현우가 말했듯이 소시오패스는 교묘하게 상대를 자신이 원하는 대로 조종하는 거고, 헨리는 자신과 감정을 분리하고 상대를 존중한 거지.

현우: 그래도 서로를 위한 거지만 그게 소시오패스처럼 보일 수 있다는 게 딜레마네요.

소현: 우리가 한 장면만 가지고 얘기해서 그렇지, 헨리도 감정을 제어하지 못하고 폭발하는 장면도 있고, 슬픔을 주체하지 못하는 장면도 있잖아. 그러니까 우리가 계속 헷갈리지 않아야 하는 게, 갈등을 대처하는 방식이 감정을 통제하고 이성적으로 판단하는 게 아니라는 거야. 감정을 온전히 느낄 수밖에 없지만, 그걸 인식하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거지.

현우: 그 노력으로 얻는 건 뭐예요?

소현: 넌 어떻게 생각하는데?

현우: 음…. 자기 자신이죠.

소현: 왜?

현우: 오프닝에 이런 말이 나오잖아요. ‘어느 하나에 이러한 깊이를 느끼지 못했고 나 스스로 격리되어 세상에 존재하고 있는 느낌이다.’라고요. 저는 이게 진정한 존재의 가치를 느끼게 하는 문장이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주인공 헨리를 나타내기도 하고요.

소현: 왜 진정한 존재의 가치를 느끼게 하는 문장이야? 진정한 존재의 가치가 뭔데?

현우: 우선 진정한 존재의 가치는 자신의 신념을 지켰을 때 발현되는 거라고 생각해요. 헨리도 영화 엔딩까지 학생들을 대하는 자신의 신념을 지켜요. 헨리가 자신을 소개할 때 나는 너희를 가르치는 사람이다, 라고 소개하잖아요. 그게 헨리의 가치이고, 그 신념을 끝까지 놓지 않죠. 그러니까 갈등 속에서도 자신과 감정을 분리하고, 감정에 동요되지 않으며 자신이 정한 가치를 놓지 않을 때 존재 가치를 느낄 수 있는 거라고 생각해요.

소현: 어떤 장면을 말하는 거야?

현우: 영화의 마지막 장면이요. 마지막을 보면 책상은 다 엎어지고 망해버린 학교 교실에서 헨리가 혼자 수업을 하잖아요. 학생이 한 명도 없는데. 그게 바로 감정에 동요되지 않으면서 자신의 가치인 가르치는 존재라는 걸 놓지 않은 거죠.

소현: 잘 봤네. 네가 말한 오프닝 문장은 결국 온전히 자신을 체험한 끝에 나올 수 있는 문장이야.‘어느 하나에 이러한 깊이를 느끼지 못했고’라는 건 자신을 관찰했기 때문에 할 수 있는 말이지. 그게 지금까지 우리가 말한 감정이라고 치면, 어떤 감정에 깊이 빠져 있을 때는 결코 그 깊이를 가늠할 수가 없어. 근데 관찰자가 되면 알 수 있게 되는 거지. 그래서 ‘나 스스로 격리되어 세상에 존재하고 있는 느낌이다.’라는 문장이 이어지는 거야. 그게 외딴섬처럼 고독한 느낌임과 동시에 진정 살아 있다는 느낌을 뜻하는 거겠지.

현우: 네. 분리하는 노력이 중요하긴 하네요. 그게 갈등이 있을 때 상대를 존중하는 방법이기도 하고, 자신의 신념을 지키는 방법이기도 하니까요.

소현: 맞아. 시간이 많이 지났으니까 다음 주에 이어서 하자. 이번엔 무슨 영화를 보고 얘기해 볼까? 얘기가 점점 심도 깊어지는 것 같은데. 좋은 영화가 뭐가 있을까.

현우: 음. 신념에 대한 얘기가 나왔으니까 그에 관한 영화를 보는 거 어떨까요? 최근에 ‘맨프롬어스’를 봤는데 믿음에 대해 얘기해 볼 만한 것 같아서요.

소현: ‘맨프롬어스’ 내가 진짜 좋아하는 영화야. 그래, 다음 시간엔 그 영화를 다뤄보자.

이전 17화 고슴도치 딜레마: 가위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