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하윤상 Jul 05. 2021

Naioth, 온라인 세미나의 새로운 표준을 향해

[코드스테이츠 PMB 7기] OKR 작성하기

이번 과제는 OKR에 관한 과제입니다. 원래는 W3L2 과제였지만 OKR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실제 제가 창업하고 있는 기업에 적용하기 위해서 이번 주차에 작성이 이뤄집니다.


OKR

먼저 OKR에 대해 간단하게 짚어보자면 OKR은 일종의 '계획수립도구'입니다.

보다 자세한 OKR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예시들을 참조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스포카가 OKR로 목표를 달성하기까지.

OKR - 교보문고

https://youtu.be/L4N1q4RNi9I

간단하게 제시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Objective :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 Significant중요함
- Concrete구체적
- Action-Oriented행동지향적
- Inspirational동기부여
Key Result : 목표에 대해 측정가능한 지표

- Specific & TIme Bound 구체적 & 시간 정해짐
- Agressive yet Realistic 공격적 but 현실적
- Measurable & Verifiable 측정가능 & 증명가능


일정 기간 동안 해당 조직이 '우선순위'로 달성해야 할 목표와 그것을 측정할 수 있는 결과치를 제시하는 방식입니다. 특별히 OKR 방법론에서 인사이트를 갖게 되었던 것은, 목표Objective와 핵심결과Key Result를 설정함에 있어서 해당 조직의 '미션' 및 '비전'과의 정렬Align을 중시함으로 실제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활동들이 조직의 미션을 향하도록 도와주고 동시에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몰입하도록 돕는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제가 창업 중인 Naioth에 대한 2021년 3분기 OKR를 작성해보았습니다.


미션과 비전


나이오트, 역동적인 문제해결생태계를 위하여!

Naioth의 미션과 비전, 제품에 대한 설명은 앞선 게시글에서 작성한 바가 있습니다. 하지만 한달 사이에 보다 깊은 리서치와 사업기회 모색 등을 통해서 보다 구체화된 제품설계와 사업설계가 도출되었고 이를 토대로 OKR을 제시해보고자 합니다.


Mission : 역동적인 사회문제해결생태계


먼저 저희 Naioth의 미션은 '역동적인 사회문제해결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재발, 방치되는 사회문제의 해결에 있어 사람, 아이디어, 자원이 적재적소에 결합하여 사회문제들을 역동적이고 유연하게 해결할 수 있는 생태계를 꿈꿉니다. 실제 시장의 고객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는 스타트업 생태계가 구축되어 창업아이디어에서 인큐베이팅, 액셀러레이팅, 투자 등을 통해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스타트업들이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이와 같이 사회문제 또한 유연하고 빠르게 조직들을 인큐베이팅하고 액셀러레이팅해서 문제를 유연하게 해결할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이미 사회적기업이나 사회혁신생태계, 소셜벤처생태계 등이 형성되고 있지만 기존 스타트업 생태계의 방법론을 그대로 차용하는 단계이고 사회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필요한 심도 깊은 문제정의와 공론화, 정부와의 연계, 공공자금조달 등에 대한 문제들이 해결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이 중 '심도 깊은 문제정의와 공론화'의 영역에서 연구생태계의 혁신을 통해 문제를 심도깊게 연구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모임들이 구성되고 성장하는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Vision : 온라인 연구모임 플랫폼


이러한 미션을 달성하기 위해서 저희는 먼저 대학원과 연구기관 바깥에서 주제별로 자유롭게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연구모임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현재 대학원과 학회 등에서는 학과 중심, 이론 중심으로 연구자들이 분절화되어 있고 특정이론들을 수강하고 학위논문을 작성하면 학위를 수여하는 공급자 중심의 커리큘럼 운영과 지도교수의 지도 하에 논문작성을 배우는 도제식 연구자 양성 시스템이 자리 잡혀 있습니다. 따라서 연구자가 스스로 연구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자원과 커뮤니티 등에 대한 접근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저희는 이러한 문제를 '온라인 연구모임 플랫폼'을 통해 해결하고자 합니다. 온라인상에서 연구자들이 주제별로 커뮤니티를 구축해서 학습과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또한 해당 주제들과 관련된 지식 커리큘럼들을 축적하여 이론별 지식지도(Knowledge Map)를 구축하여 해당 이론을 연구하고자 하는 이들이 보다 유연하게 지식에 접근하도록 하고자 합니다.


그 첫 단계로 진행하고자 하는 '온라인 세미나 플랫폼'은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박사급 연구자"와 "대학원생"이 8주 정도 동안 주어진 논문 리스트들을 함께 읽고 발제하면서 지식을 습득하고 연구를 코칭 받을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박사급 연구자들의 섭외를 통해 보다 다양한 커리큘럼의 세미나를 구축하여 대학원생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대학원들의 경계를 넘어 주제별로 연구자들이 모일 수 있는 플랫폼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추후 업로드 될 사업계획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1년 3분기 목표


이를 위해 2021년 3분기에는 실제 '온라인 세미나 플랫폼'이라고 하는 서비스를 구축하고 박사급 연구자를 섭외하는 한편, 대학원 커뮤니티에 서비스를 홍보하여 실제 서비스를 운영해 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서비스의 지속적인 개선과 확장을 통해 올해 안에는 시드투자 유치와 조직을 구축하여 본격적으로 온라인 세미나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OKR 작성하기


개념적인 목표는 '온라인 세미나 플랫폼 런칭'이 되겠지만, OKR의 장점인 '비전, 미션과의 Align'과 '몰입 여건 조성' 등을 위해서는 보다 도전적인(Aspirational) 목표 설정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목표 설정의 경우, 비전과 미션의 가치가 담긴 목표 설정이 되겠죠.


그래서 설정한 우리의 3분기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Objective. 온라인 대학원 세미나의 새로운 표준


결국 기존의 대학원과 연구기관들을 혁신하는 연구모임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한다면, 첫 제품이라 할 수 있는 '온라인 세미나'가 기존의 '대학원 세미나'를 대체할 정도로 혁신적인 제품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것을 목표로 삼고 제품을 개발하고 운영해야 하죠. 그리고 저희는 저희의 제품이 충분히 그렇게 될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따라서 저희는 목표를 '온라인 대학원 세미나의 새로운 표준'이라고 잡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결국 '새로운 표준'이라는 표현이 지극히 수요자 중심의 표현이라는 사실입니다. 기존 대학원 세미나보다 훨씬 만족감이 높고 연구자들이 적극적으로 반응해서 기존의 대학원 수업보다 우리의 온라인 세미나를 듣고자 한다면 그것이 곧 저희 플랫폼이 '새로운 표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니깐요.


'새로운 표준'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달성해야 할 지표들의 영역을 쪼개면 크게 3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먼저 해당 제품의 런칭이 필요합니다. 아직 제품이 런칭되기 전이기 때문에 빠르게 수요에 맞는 제품을 기획하고 구성해서 런칭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런칭에 앞선 수요조사와 고객반응, 연구모임기획에 대한 연구자 섭외 및 대학원생들에 대한 홍보를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저희의 경우, 보다 도전적인 과제 설정을 위해 3개월 안에 연구모임 5개 런칭을 목표로 잡았습니다. 7월 중에 수요조사와 연구자 섭외 및 운영을 감안하면 8월부터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지만 다른 주제의 연구모임들을 추가로 진행해서 팀 역량상 동시운영할 수 있는 최대치인 5개의 연구모임 런칭을 핵심결과Key Result로 잡았습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연구모임의 기획과 모집부터 연구모임 운영, 연구모임 이후 사용자 관리까지의 모든 단계에 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또한 대학원생 채널확보와 연구자 섭외채널 확보 등이 요구됩니다.


Key Result 1. 9월까지 연구모임 5개 런칭


두 번째는 제품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입니다. 연구모임이 실제 운영된다고 할 때에 연구자들에게 있어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참여한 연구자들의 만족도가 중요합니다. 이 경우, 단순 만족도 조사를 넘어 플랫폼에서 이후에도 계속해서 활동을 수행하려 하는가에 대한 지표인 재참여율(Retention)을 측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연구모임에 참여했던 사람들 중에서 다른 연구모임에 등록하는 사람 혹은 새로운 연구모임을 제안하는 사람의 비율이 전체 참여자의 80%가 넘는다면 플랫폼에서의 세미나가 기존 대학원 수업보다 훨씬 만족스럽고 계속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제품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수요자들에게 맞는 연구모임의 기획과 연구모임 운영과정에서의 만족도 극대화 방안, 지속적인 피드백과 개선 등이 요구됩니다. 연구모임 자체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한편 연구자들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해결해줄 수 있는 연구모임 제품의 기능을 고민할 필요가 있습니다.


Key Result 2. 연구모임 재참여율(리텐션) 80%

세 번째는 제품에 대한 바이럴 홍보 정도 입니다. 온라인 대학원 세미나의 새로운 표준이 된다는 것은 연구모임에 참여한 사람들 뿐만이 아니라 연구모임에 참여한 사람들과 관련된 연구자들에게까지 추천될 정도로 퀄리티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그렇게 될 때에 선순환고리(Positive Feedback Loop)가 작동하면서 연구모임 참여대학원생과 박사급 연구자들의 참여수가 빠르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은 바이럴 지수 입니다. 바이럴 지수란 지인 추천을 통해 플랫폼에 참여하게 된 사람의 숫자를 기존 참여자 수로 나눈 값으로, 기존 참여자 1명당 추천을 통해 들어온 참여자의 숫자를 의미합니다. 이 값이 1보다 크다면 서비스가 고객들의 추천을 통해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연구모임 제품의 질 만큼이나 연구모임의 참여를 독려하는 마케팅적 요소가 중요해집니다. 연구모임의 홍보만큼이나 연구모임의 진행과정에 대한 공유 또한 중요해지고, 지인추천에 대한 이벤트 혹은 동반등록에 대한 할인 혜택 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해집니다.


Key Result 3. 연구모임 바이럴 지수 1 이상(연구모임 예약 & 연구모임 요청)

나가며


Objective : 온라인 대학원 세미나의 새로운 표준

Key Result 1. 9월까지 연구모임 5개 런칭
Key Result 2. 연구모임 재참여율(리텐션) 80%
Key Result 3. 연구모임 바이럴 지수 1 이상(연구모임 예약 & 연구모임 요청)


이번 2021년 3분기의 목표와 핵심성과는 위와 같습니다. 모든 목표들이 달성하기 쉽지 않고 버거운 목표들임이 맞습니다. 하지만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완전하게 몰입해야 하는 과제들이며, 해당 과제들이 불가능하지만은 않은 과제일 수 있다 생각합니다.


해당 지표들의 특징은 기본적으로 연구모임에 참여하는 고객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데에 있습니다. 고객들이 매우 만족할만한 연구모임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역량이 갖춰진다면 자연스럽게 플랫폼의 양적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요소들보다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연구모임 기획 및 운영역량"을 보이는 것이 최선의 우선순위가 될 것입니다.


기존의 연구생태계에 온디멘드형 플랫폼을 구축하는 첫 발을 내딛습니다. 동시에 저희 또한 연구자들의 필요에 초점을 맞추는 기업으로 성장하고자 합니다. 그 첫 발을 OKR을 통해 내딛을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SQL, 데이터들로부터 인사이트에 맞게 가공하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