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안상현 Apr 29. 2024

돈의 속성을 알면 투자의 성공이 보인다

현명한 투자 마인드


투자에 관심을 기울이면 가장 먼저 공부하는 내용이 무엇일까? 바로 ‘돈 공부’다. 투자에 앞서 왜 돈 공부를 강조하는 것일까? 사실 나조차 의구심을 품었던 기간이 오래다. "투자 방법을 알고 그대로 투자하면 되는데 왜 돈을 공부하지?" 그래서 사람들에게 돈 공부의 중요성을 말해도 잘 받아들이지 못하는 상황을 쉽게 공감한다. 나도 그랬기 때문이다.     


“돈은 인격체다.”     


200만 부 이상 팔린 베스트셀러 <돈의 속성>은 돈 공부하기에 좋은 책이다. 이 책의 핵심 메시지를 하나 고른다면 바로 “돈은 인격체다”라는 문구다. 돈 공부의 시작은 김승호 회장의 이 명언에서 출발한다. 돈의 속성을 가장 잘 압축한 표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돈을 인격체로 받아들이면, 돈을 대하는 태도는 어떻게 바뀔까? 인간관계를 대하는 것과 같아진다. 좋은 관계를 맺고 유지하기 위해 우린 어떠한 노력을 하는가? 그들과 나와의 관계를 지속하기 위해, 서로 어떤 노력을 기울일까? 돈은 그런 관점으로 바라보는 것이 중요하다. 소중한 사람이 내 곁에 오래 머물 듯, 내 돈도 내 곁에 오랫동안 자리 잡을 것이다. 

    

돈이 인격체라면, 건강한 돈과 그렇지 못한 돈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유유상종! 건강한 돈은 건강한 돈끼리 어울리고, 그렇지 못한 돈은 그렇지 못한 돈끼리 친한 법이다. 내 땀과 노력으로 번 돈은 그만큼 건강하고, 쉽게 벌고 남을 이용한 돈은 그만큼 건강하지 못하다.

     

건강한 돈은 주변의 건강한 돈을 부르고, 그렇지 못한 돈은 나를 스쳐 지나갈 뿐이다. 많이 벌었다고 자랑하지만, 텅 빈 통장을 가진 사람이 된다.     


“투자의 제1원칙은 돈을 잃지 않는 것이다.”     


투자의 전설 워런 버핏은 “투자의 제1원칙은 돈을 잃지 않는 것이고, 제2원칙은 제1원칙을 지키는 것이다.”라고 강조한다. 돈을 잃지 않는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첫째, 욕심을 부리지 않는 것을 뜻한다. 김승호 회장은 “빨리 부자가 되는 방법은 빨리 부자가 되려고 하지 않는 것”이라고 조언한다.     


둘째, 좋은 투자는 시간에 투자하는 것임을 의미한다. 욕심은 성급함에서 출발하며, 단기간에 더 많은 수익을 원하는 마음이다. 자기계발서에서 1만 시간의 법칙이 중요하듯, 투자에서도 인내심 즉, 장기투자의 개념이 가장 중요하다. 워런 버핏은 “주식시장은 인내심 없는 사람의 돈이 인내심 있는 사람에게 흘러가는 곳”이라고 말한 바 있다.     



“시간의 힘이, 복리의 힘이 너희를 부유케 할 것이다.”     


투자를 제대로 이해한다면 투자의 기본은 ‘복리’라는 사실을 잘 알게 된다. 워런 버핏이 부를 쌓은 과정을 다룬 책은 2,000권이 넘는다. 버핏이 그렇게 큰 재산을 모은 것은 그가 그냥 훌륭한 투자자여서가 아니라, 11살부터 훌륭한 투자자였기 때문이다. 대부분 투자의 기술에 주목할 때, 모건 하우절은 시간에 주목했다.    


그의 베스트셀러인 <돈의 심리학>에서는 시간에 투자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려주는 사례가 나온다. 르네상스 테크놀로지 대표인 짐 사이먼스는 1988년 이후 연간 66% 수익률로 돈을 불려왔다. 사이먼스의 순자산은 책이 쓰인 시기에 210억 달러였다. 버핏의 순자산은 845억 달러였다. 버핏 수익률보다 2배 이상 높은 이익을 거두었지만, 실제 자산은 더 오랫동안 투자한 버핏이 더 많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성공적인 투자 방법은 오로지 자기만의 원칙으로 만든다.”     


210만 구독자를 자랑하는 <김작가TV> 그리고 125만 구독자를 보유한 <부읽남TV>에서 똑같은 말을 했다. 두 사람 모두, 수많은 투자 전문가를 만나 조언을 듣고 다양한 투자를 했다고 한다. 투자 결과는 어땠을까?     


전문가의 조언대로 투자한 것은 대부분 수익이 저조하거나 오히려 마이너스 상태이지만, 투자의 원리를 공부하고 깨달은 후 자기만의 투자 기준과 원칙을 바탕으로 투자한 종목은 대부분 좋은 수익률을 보였다고 한다. 투자에서 돈 버는 방식은 제각각이다. 제아무리 좋은 종목이라도 사고파는 기준이 달라서 누구는 돈을 벌지만, 다른 이는 돈을 잃는 것이다. 

    

"좋은 투자란 어떤 개념일까?"

     

첫째, 건강한 돈으로 투자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건강한 돈은 월급이다. 대표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돈은 대출금 그리고 조만간 사용하게 될 돈이다.     


둘째, 사고파는 타이밍이 아니라 ‘시간’에 투자하는 것이다. 사고파는 능력은 용돈이나 생활비 마련에 도움이 된다. 좋은 자산을 보유하고 관리하는 능력은 인생을 바꾸고 가문을 일으킬 수 있다.     


셋째, 자기만의 원칙과 철학으로 투자하는 것이다. 돈 버는 방법은 내가 만드는 것이다. 내 상황에 맞게 투자하는 방법을 고민하고 스스로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다. 투자하는 목적이 다르기 때문이며, 그 목적에 맞게 투자 방법을 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출처: 한국강사신문 '안상현의 주식투자 마인드' 칼럼

이전 28화 바쁠수록 노후를 위해 반드시 준비해야 하는 4가지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