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물들래 Oct 06. 2024

눈물이 비처럼, 빛처럼

1930년대 어느 봄날


  2021년 9월 14일, 화요일 오전 8시 30분 엄마는 세상과 잡고 있던 손을 가만히 놓았다. 삼우제를 마친 이틀 후 정동길을 걸었다. 시립미술관에 들러서 새로운 현대미술 전시를 둘러보는데 내 정서와 너무 동떨어진 전시라 집중할 수가 없었다. 엄마와 비슷한 시대를 살았던 천경자 전시관만 다시 찬찬히 둘러보고 미술관을 나섰다. 


  미술관 앞 벤치에 앉아 오래도록 하늘바라기를 했다. 그 하늘에 83년간의 삶을 마치고 세상을 떠난 엄마의 얼굴을 그려보았다. 가슴에서 뭔가 꿈틀거리며 불편하게 일어나는 게 있었다. 다음 순간, 가슴이 터질 것 같은 기분이 들어서 일단 움직여야 했다. 자리에서 일어나 덕수궁 돌담길 쪽으로 빠른 걸음으로 이동했다. 


  덕수궁에 들어서서 궁내를 한 바퀴 돌다가 벤치에 걸터앉았다. 눈앞에 펼쳐진 작품이 있었다. 윤석남의 작품이다. 최근에 설치한 것 같았다. 작품명은 <눈물이 비처럼, 빛처럼: 1930년대 어느 봄날>이다. 1939년 가을날 세상의 빛을 맞이했던 엄마가 또 떠올랐다. 작품 속 여인들 속에서 엄마의 얼굴을 찾아보았다. 중첩되는 얼굴이 있었다. 파란만장한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삶을 살아냈을 그 시절의 모든 어머니들의 모습을 윤석남은 작품에 담아내고 있었다.


  한국의 근대성은 식민주의와 맞물리는 특수성을 지니겠지. 그 시절을 살아냈을 엄마를 생각했다. 작가는 근대기에 여성들이 사적 공간을 벗어나 공적 공간, 특히 조선 시대에 신성한 영역으로 극히 소수만 접근할 수 있었던 궁궐이란 개방된 공적 장소에 출입하게 된 것을 중요한 사건으로 본 걸까? 윤석남은 폐목을 잘라 그 표면에 그 시절을 살아낸 이름 없는 조선 여성들의 얼굴과 몸을 그려 새로운 시대와 마주한 그녀들의 의지와 기대를 담아내고 있었다. 


  작품 앞에서 문득 엄마는 생전에 덕수궁을 몇 번이나 왔었을까? 궁금했다. 엄마와 덕수궁 산책을 했었더라면 좋았을 텐데... 이런저런 생각에 함몰된 가운데 1930년대의 중년 여성, 1930년대 태어난 여성, 그리고 지금을 살아가는 나를 포함한 모든 여성들의 모습이 작품 속에서 읽히는 것 같았다. 


  내겐 그녀처럼 애틋한 어머니와의 추억이 거의 없다. 참 쓸쓸했다. 그래도 엄마는 떠나야 될 때를 알고 떠난 것 같다. 주변인들 많이 힘들게 하지 않고, 엄마와의 이별을 준비할 시간도 적당히 주고, 만나야 될 사람들도 다 만나고. 이제 가도 되겠구나 생각했을 때 엄마는 세상에 이별을 고한 듯싶다. 그래서 입관식 때 엄마는 너무 평온해 보였다. 평화를 찾은 듯 편안했던 엄마의 얼굴을 오래도록 기억하고 싶다. 


  남동생이 화장장 참관실에서 틀어준 노래가 있었다. 엄마가 평소에 좋아했다는 최백호의 '아씨' 주제곡이었다. 노래를 듣고 있노라니 가슴속에 차오른 눈물이 결국 마음 밖으로 흘러넘쳤다. 요 며칠째 그의 노래를 들으며 39년생 엄마의 인생을 회상했다. 걸쭉한 인생 속에서 수많은 역경을 이겨냈을 엄마를 추모하면서. 


엄마가 남기고 간 만다라 채색 작품을 정리하면서 엄마의 작품과 대화를 많이 나누었다. 작품으로 대화가 가능해서 다행이었다. 엄마의 유품으로 오래도록 간직하고 싶다.





이전 01화 문학이 내게 오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