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이진 May 01. 2024

일반 상식을 판단할 수 없는 건 수재가 아니죠

불가능한 스펙이 문제가 될지 몰랐다는 자체가 문제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42617090001851?did=fa&fbclid=IwZXh0bgNhZW0CMTEAAR2BsC4uSgRcW8QPjGsAzi5sLzBA4qFi0Jt_wY4hFwkua Cm1zWf-e7f_7dY_aem_Ad7VzbizM4HmI6IMHUSJl9nACPgcO0sEuFW4r4INTy66 NwkmLfyfWOkpCCRiqAvmWOp9gGlWUaL58reX_YMoYJVf


x에 올라온 글에 보니까 한동훈 전 장관 딸이 미국 입학시험의 일종인 ACT에서 만점을 받았고 이로서 보아도 수재임은 명백하다고 했는데, 제가 이런 글을 볼 때마다 의문이 드는 점은 늘 비슷합니다. 여러 기사에서 보면 한동훈 전 장관의 딸이 MIT를 입학하는 데 있어 달성했다 주장하는 봉사 시간이라거나 논문의 주제나 양이라거나 여러 스펙이 물리적으로 달성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이고, 이는 일반 국민 상식에서 판단하기에도 그런 것인데, 정작 수재라는 한동훈 장관 딸은 이게 판단이 안 서냐는 거죠. 


수재라는 게 뭘 말하는 건지 모르겠지만, 일반 사람도 생각할 수 있을 정도의 상식을 인지하지 못한다면 그건 수재라기보다는 그냥 공부 열심히 한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한동훈 전 장관도 검사 출신이라서 무슨 말인지 알 거고, 실제 경험하지 않은 사건을 기소하고 수사하려면 일반 상식 혹은 많은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방향이나 사고라는 걸 일단은 파악할 수 있어야 되는 그런 이치인 거죠. 


따라서 누가 만들었는지 모르겠지만 딱 봐서 물리적으로도 달성이 안 될 거 같은 과장된 스펙이라면, 한동훈 전 장관 딸이 알아서 스펙을 현실적으로 조정해서 제출하던가 했어야 수재가 되는 거죠. 딱 봐서 달성이 안 될 거 같은 스펙이라는 판단이 안 선다면 일반 사람의 상식을 인지하지 못하는 거라서 문제고, 딱 봐서 달성이 안 될 거 같은데 자기에게는 문제 될 게 없다고 봐서 넘어간 거라면 자기 객관화가 안 되는 거고요. 보면, 높은 지위에서 굳이 모든 걸 다 스스로 할 필요가 없는 삶을 살게 되는 것은 행운일 텐데, 그 과정에서 뭐가 뭔지를 판단하는 능력이 유보되면 그건 도리어 방해가 되거든요. 남들 다 아는 것도 본인은 모르니까요. 


사실 머리 좋고 성적 좋고 시험 잘 보는 사람은 해당 분야에서는 차고 넘치는 세상이고 안 되면 AI도 있기 때문에, 일반 상식조차 파악이 안 되는 게 더 큰 문제라는 생각입니다. 연구 속에 파묻혀 살 수야 있겠지만, 어떻든 계속 사람을 상대해야 하는 세상에서 타인 혹은 일반 대중이 어떤 상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파악할 줄 아는 게 더 필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혹은 실패를 감내하더라도 스스로의 신념을 지키고자 하는 어떤 집착이라거나. 물론 성공 외에 다른 신념 자체가 없는 것은 안타까운 삶이겠고요.

작가의 이전글 뛰어난 인간은 진보를 이루고 다양성은 진화를 하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