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을 설계하는 디자이너인 프로덕트 디자이너에 대한 소개글입니다.
최근 디자이너의 역할은 계속해서 확장되고 있습니다. 숙련된 디자이너 한 명이 할 수 있는 작업의 범위가 예전에 비해 크게 넓어졌기 때문입니다. 이번에는 UI 디자인뿐 아니라 기획, UX, 리서치 등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며 역량을 확장해나가는 ‘프로덕트 디자이너'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불과 몇 년 사이 피그마 등 UI 디자인 툴은 획기적으로 발전했습니다. 쏟아지는 템플릿과 다양한 플러그인, 강력한 프레임워크를 활용하는 것으로 반복적인 디자인 작업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외에도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디지털 디자이너들이 제품을 총체적으로 고민할 시간과 기회를 점점 더 많이 가질 수 있게 해 주었고, 최근 몇 년 사이 이런 환경에서 프로덕트 디자이너라는 용어가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프로덕트 디자인을 직역하면 ‘제품 디자인' 입니다. 처음 들으면 가구, 패키지 같은 실체가 있는 제품 디자인으로 들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앱, 웹 등 디지털 제품을 만드는 디자이너를 프로덕트 디자이너라고 말하곤 하는데요, 이는 기술의 발전으로 디지털 ‘제품’ 전반의 맥락을 이해하고 설계할 수 있는 역할이 디지털 디자이너 중심으로 일어났기 때문으로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에 기획, UX, 개발 커뮤니케이션 등 시각 디자인 외의 영역에 총체적으로 기여하는 ‘프로덕트 디자이너' 라는 직무가 등장하게 됩니다.
UX 디자인 툴 설문조사 - 응답자의 직업
uxtools.co 라는 웹사이트에서는 2017년부터 매년 UX 디자인 툴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설문을 확인해 보면 약 3,000명의 응답자 중 1,000명 이상이 자신의 잡 타이틀을 Product Designer 라고 응답한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미 웹이나 그래픽 디자이너 대비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프로덕트 디자이너로서 고민해야 할 것들은 무엇일까요? 두 가지 키워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사람에 대한 이해
더 나은 UI 디자인은 대개 디자이너 혼자만의 직관에 의존한 것이 아닌, 다양한 사람에게 공감하고 고민하는 데에서 시작됩니다. 대개 디자이너 본인은 해당 제품의 핵심 고객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핵심 고객을 이해하고 그에 기반한 문제를 정의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민하고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기 서비스 구축이 아니라 이미 출시된 디자인을 바꿀 때에는 고객에 대한 이해가 더욱 중요합니다. 고객에게 가장 거부감 없는 UI는 이미 익숙한 현재 UI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고객의 심리를 고려해 가설을 세우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개선안을 지속적으로 테스트하는 것으로 더 나은 서비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팀원과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경청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하나의 관점에 매몰되지 않고 다양한 관점에서 서비스를 생각해볼 수 있으며, 실제 구현 난이도는 어떠한지, 대안은 무엇이 있을지 등을 풍부하게 고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초기 디자인 시안을 팀원에게 빠르게 공유하고 의견을 취합하는 것으로 혼자서는 생각할 수 없었던 개선점을 발견하기도 합니다.
2. 데이터,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
데이터는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비즈니스 성공을 측정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최근 IT 전반적인 데이터 접근성이 커짐에 따라 디자이너에게도 데이터, 비즈니스 기반 사고력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디자인 업데이트의 효과를 정량 데이터를 통해 측정해볼 수도 있고, 때로는 유저 인터뷰, 설문 등 정성 조사를 진행해 직접 목소리를 듣기도 합니다. 이렇게 수집한 데이터를 토대로 더 나은 가설을 수립하고 제품을 개선하는 것으로, 회사의 비즈니스에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 가설 수립과 디자인을 반복하는 것으로 고객에게 더 좋은 서비스 경험을 선사하고, 이를 통해 재방문, 구매전환률 등 주요 비즈니스 지표 개선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데이터나 비즈니스 지표만으로는 측정하기 힘든 디자인 영역도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마인드셋을 통해, 비즈니스와 브랜드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디자인을 고민할 수 있습니다.
위에 설명한 디자이너 역할 확장의 단면을 살펴보기 위해, 다양한 국내 기업의 디자이너 채용 공고를 검색해 보았습니다. 예전에는 ‘GUI, 웹 디자이너’처럼 한 분야에 특화된 직무 위주였다면 현재는 UI와 유저 경험을 함께 고민해 디자인하는 ‘UI & UX디자이너’의 비중이 높아졌고, 더 나아가 비즈니스, 데이터, UX 플로우, 제품 릴리즈 등 더욱 총제적인 관점을 고려해 디자인할 수 있는 ‘프로덕트 디자이너', 나중에 소개할 개념인 디자인 시스템을 담당할 ‘플랫폼 디자이너' 직무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위 Job Title 에 대한 해석이나 요구하는 직무 범위는 기업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아래는 여러 채용 공고를 토대로 재구성한 프로덕트 디자이너 JD의 예시입니다. 이런 식으로 여러 자신이 원하는 직무의 JD를 여럿 참고한 후, 자신만의 목표 자격요건으로 재구성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JD 는 Job Description의 약자로, 채용공고를 내는 기업에서 요구하는 직무가 정리되어 있습니다.
자격요건
• 자사 서비스 UI/UX 설계 및 디자인
• 유저 리서치,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를 확보하고, 이를 제품 로드맵에 반영해본 경험
• 개발, 마케팅 팀 등 다른 직군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 Figma, Sketch 등을 이용한 App / Web UI 디자인 능력
• Protopie, Principle 등을 이용한 프로토타이핑 능력
• 실제 서비스를 런칭, 운영, 개선해본 경험
우대사항
• 데이터 수집/분석 툴이나 A/B 테스팅 툴을 통해 디자인을 평가하고 개선한 경험
• HTML / CSS 등에 관한 이해와 활용 능력
• 디자인 시스템 운영 경험
• 애자일, 스프린트 방식 제품 개발 경험
지금까지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개념과 가치를 간략히 소개해 보았는데요, 실제 채용공고를 통해 프로덕트 디자이너에게 필요한 자격요건을 자세히 확인해볼 수 있었습니다. 현업에서는 어떤 사람을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원하는지 한층 더 자세히 살펴보는 것으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23년 7월 Update: 프로덕트 디자이너에 대해 원티드 콘텐츠팀과 인터뷰한 내용을 함께 첨부합니다. 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