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RTSYKOO Apr 16. 2020

위워크Wework 커뮤니티 매니저 David를 만나다1

Nomadic WeWorker! 위워크커뮤니티매니저 David를 만나다


[아치쿠가 만난 아트 & 피플]은 미술 작가, 배우, 영화감독, 음악감독, 프로그램 개발자, 스타트업 CEO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매력적인 인물'들을 만나보는 아치쿠의 ‘인터뷰 프로젝트’입니다. 아트디렉터 아치쿠가 만난 아트&피플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일하고 또 삶을 살아가는 이야기와 각자의 시선에서 본 '미술'에 대한 생각을 들어보며 각자의 삶에서 '미술'이 혹은 '예술'이 주는 의미에 대해서 탐구합니다. ARTSYKOO (yerimkoo@artsykoo.com)











안녕하세요, 아트디렉터 아치쿠 입니다. :)



이번 아치쿠가 만난 아트 & 피플에서는

위워크 커뮤니티 매니저  데이비드  David Kim 님을 만나 보았습니다. :)


DAVID KIM , 위워크 커뮤니티 매니저(선릉 3호점)



아치쿠는 지난 2019년 8월부터 3월까지 위워크 강남역 2호점의 멤버로 위워크 멤버가 되어 사용하고 있어요. 아치쿠가 작년 9월부터 진행해 온 위워크 라운지 아트쇼에 대한 아이디어를 처음으로 제안한 사람이 바로 위워크 강남역 2호점(현재 선릉 3호점 커뮤니티 매니저)의 커뮤니티 매니저 [데이비드 DAVID] 였죠.



동료 없이 혼자서 일하는 아치쿠에게, 언제나 활기차게 인사하고, 먼저 말을 건네주고, 맛있는 것도 나눠 주는 위워크의 커뮤니티 팀 스태프분들의 역할은 아치쿠에게 있어서 일상의 큰 에너지가 되었어요.


특히 커뮤니티 매니저 데이비드는 라운지 데스크에 앉아 혼자 전시 기획과 앞으로의 향방에 대해서 한참 고민하고 있는 아치쿠에게먼저 다가와 진행하는 프로젝트에 대한 아이디어, 최근 본 전시, 좋아하는 아티스트와 같은 미술 이야기, 여행이야기, 맛집 이야기 등 수많은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면서 가까워졌죠.





아치쿠에게 있어 데이비드 님의 인상은 워라밸이라는 단어가 무슨 뜻인지 실제 자신의 삶의 방식으로 보여주는 사람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업무 중에는 부드러운 카리스마로 팀을 이끄는 리더로, 그리고 퇴근 후에는 꾸준한 운동으로 자기 관리를 하면서 각종 액티비티와 틈틈이 세계 곳곳을 여행하면서 일도 여가도 열심히 즐기면서 살아가는 데이비드의 라이프 스타일이 정말 건강해 보였죠. :) 무엇보다도 자신의 일을 사랑하면서, 또 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은 데이비드와 아치쿠는 말도 잘 통해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수다를 떨 수 있는 좋은 친구이기도 하죠. :)





이번 아치쿠가 만난 아트 & 피플에서 열정적이고 적극적인 삶을 살아가는 데이비드의 이야기를 들어보시고, 그의 라이프 스타일을 통해 자신만의 spirit으로, 멋진 라이프스타일을 주도해가는 삶의 방식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건 어떨까요? :)




지금 바로, Nomadic WeWorker, 데이비드 David Kim를 만나보시죠!





Shake Your Artsy Spirit!

art director, ARTSYKOO









Nomadic WeWorker!

위워크 커뮤니티 매니저

데이비드 DAVID KIM을 만나다



DAVID KIM , 위워크 커뮤니티 매니저(선릉 3호점)







ARTSYKOO. 아직 데이비드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독자분들을 위해서, 먼저 친절한 자기소개 부탁드릴게요! :)



DAVID KIM. 안녕하세요? 저는 위워크 선릉 3호점 커뮤니티 매니저로 일하고 있는 데이비드 David Kim 입니다!  저는 일상 속에서 행복함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평범한 대한민국 남성이죠. :) 서울에서 태어나 1살 때 미국 LA로 이민을 떠났어요. 약 15년동안 LA에서 살다가 중학교 때 한국으로 돌왔죠. 지금은 서울에 살면서 열심히 일하고, 운동하면서 좋은 사람들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며 지내고 있습니다. :)





저는 현재 위워크 선릉 3호점의 커뮤니티 매니저로 근무 중인데요, 먼저 제가 일하고 있는 위워크 WeWork(www.wework.com)는 전 세계 500개 이상의 공유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위워크 안에는 다양한 팀이 입주사들의 편의를 제공하기위해 구성되어 있는데요, 커뮤니티, 세일즈, 마케팅, 빌딩 오퍼레이션 팀 등 다양한 부서 간의 협업으로 위워크 입주사분들의 건강하고 효율적인 근무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최선을 다고 있죠. :)







그중에서도 제가 매니저로 있는 위워크 커뮤니티 팀 community team 의 역할은 위워크 입주 멤버들의 편리한 생활에 관련된 운영과정 전반을 지원하는 일입니다. ( Community Management & Events / Business Development / Personnel Management)


위워크 입주 멤버들이 위워크 생활에 만족하고, 도움이 되는 전반적인 일을 담당하면서 경우에 따라 시설관리, 이벤트 플래너, 세일즈, 컨설팅 등 상황에 맞게 유동적으로 커뮤니티 팀 매니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요. :) (하는 일이 정말 다양하죠?:)





DAVID KIM , 위워크 커뮤니티 매니저(선릉 3호점)



뿐만 아니라 제가 속한 위워크 지점(선릉 3호점)의 팀원들을 잘 이끌어 가는 것 또한 저의 중요한 업무 중 하나입니다. 팀의 매니저로써 팀원이 효율적으로 일을 잘 할 수 있게 이끌어주고, 성장할 수 있도록 서포트 해줌으로써 행복한 위워크 근무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고 있죠. :)
















ARTSYKOO. 데이비드는 어떻게 위워크에 입사하게 되었는지, 그 비하인드스토리가 궁금해요. 위워크 입사 이전에는어떤 일을 하셨는가요? :)


DAVID KIM. 저는 제가 관심이 가고 하고자 하는 일이 생기면 일단 도전하는 것을 선호하는 편이에요. 덕분에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었죠. :)



위워크 입사 전에 저는 정말 다양한 일을 경험 했어요. 대학교 학부시절, 학교 선후배들과 네트워킹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파티를 기획하고 컨설팅도 하는 이벤트플래너로 활동한 경험이 있어요.  또한 다양한 VR/360 영상 콘텐츠(콘서트, 테마파크, 관광, 레이싱 등)를 제작하는 IT 스타트업에서 꽤 오랜 기간 근무했었죠. 이후 워킹홀리데이로 호주로 떠나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과 카페에서 바리스타로 일한 적도 있어요.



위워크를 입사하게 된 계기를 생각해보면, 마치 ‘운명 같은 흐름의 결과물’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제가 경험했던 다양한 경험들을 두고 볼 때, 위워크라는 회사와 커뮤니티 팀  매니저라는 포지션은 저의 다양한 경험과 외향적이고 사람을 좋아하는 성향에 잘 맞아떨어지는 직업이라고 볼 수 있어요. 그래서였는지, “이거다!” 하는 생각이 들어 무작정 지원했는데 운 좋게도 바로 일을 시작할 수 있었죠.

















ARTSYKOO. 아치쿠는 위워크에 입주해서 지난 8개월간 커뮤니티 팀 스태프분들을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각자의 업무에 최선을 다해 일하며 동시에 팀워크를 잘 다져가는 모습이 인상적으로 다가왔어요.


더욱이 입주 멤버들과도 허물없이 소통하면서 편안하고도 친근한 입주 환경을 조성하죠. (위워크  스태프들이 일할 때는 진지하게, 또 즐거운 시간을 가질 때는 누구보다도 즐겁게 뭉치는 모습이 참 좋아 보이더라고요!)


위워크의 일원으로서, 데이비드가 생각하는 위워크만의 고유한 기업 문화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




DAVID KIM.  지금까지 위워크에서 2년째 근무하면서 제가 가장 만족하는 업무 환경적 요소는 ‘사람들’입니다. 위워크 입주사분들 중에서는 너무나도 멋진 분들이 많으세요. 잘나가는 국내외 대기업에서부터 창업자, 감독, 디자이너, 등등.. 무엇보다 배경이 모두 다양해서 여러 관점을 배울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에요.


물론 각자 다른 분야에 속해 있고 사람마다 관점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가끔 크고 작은 충돌이 생길 때도 있죠. 하지만 그럴 때마다 또 제가 생각지도 못한 관점과 방식으로 문제 해결을 해 가는 경험을 종종 할 수 있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모두가 함께 성장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해요. 특히 이런 부분은 좋은 팀워크를 만들어 나가는 데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다들 친화력이 워낙 좋아 요즘에는 퇴근 후에도 위 워크 멤버분들과 자주 만나 맛집도 가고, 놀고, 운동도 함께 하고 있어요 :)






DAVID KIM , 위워크 커뮤니티 매니저(선릉 3호점)













ARTSYKOO. 데이비드 님은 고등학교 때 미국 LA에서 서울로 전학 오셨죠. :)  LA 시절부터 힙합을 좋아해서 한국 고등학교에 와서도 랩 동아리에 가입, 축제 무대에 서기도 하고 선배의 힙합 그룹의 크루로 활동하기도 하셨다고 들었어요.


그리고 이런 활동은 대학에 진학한 뒤에도 동아리 활동(HUFS Dovy)으로 이어지고, 관련된 디제잉, 클럽 파티 플래닝과 같은 일을 하게 된 계기가 되었는데요.  데이비드의 음악 관련 활동과 파티, 네트워킹으로 가득했던 스토리가 궁금합니다. :)



 

DAVID KIM.  중학교 때 미국에서 귀국했을 당시, 저는 문화적 차이, 특히 언어의 장벽 때문에 진학했던 고등학교에서 한국 친구들과 공감대를 쉽게 형성하기가 힘들었어요. (사실 저는 한 살 때 미국으로 이민 간 이후로 그간 한국에 단 한 번도 방문하지 않았었고, 때문에 한국어 실력이 그렇게 좋은 편은 아니었죠. 중학교 때 귀국해서 어린이용 한글 학습지로 한글 공부를 하면서 한글을 다시 배워야 했죠.)


LA에서 살던 시절, 저는 힙합 장르 음악을 특히 좋아했는데, 우연한 기회로 고등학교의 랩 동아리에 들어가게 되었어요. 그것이 좋은 계기가 되어 한국으로 돌아온 뒤 제가 처음으로 제가 진정성 있게 무엇인가에 진지하게 몰입하고 또 학교 친구들과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드디어 찾았다는 사실에 진심으로 행복해했던 기억이 납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힙합 동아리 DOVY 2013년 정기공연 포스터\

'음악'이라는 예술적 언어를 연결고리로, 또 음악적 ‘공감'이라는 끈으로 하나의 커뮤니티가 형성되는 것을 경험하는 것은 정말 경이로운 일이었어요. 그렇게 한국에 적응해가면서 어려움을 겪던 저는 랩 동아리 활동에서 음악적 활동을 활발하고, 완전히 몰입하면서 그 안에서 저만의 행복을 찾을 수 있었어요.


이후 자연스럽게 작사, 작곡, 공연 기획, 공연(performance)까지 활동 영역을 넓혀가게 되었고, 이후 대학 진학 이후 교내 유서 깊은 힙합 동아리 ‘HUFS Dovy’에 자연스럽게 합류하게 되었죠.






대학교 동아리다 보니 확실히 고등학교 때 활동했던 것보다 많은 부분에서 활동 범위가 커지더군요. 크고 멋진 무대가 있는, 관객들의 열기가 가득한 공연장과 파티 문화, 그리고 파티 플래닝, 심지어 디제잉까지 음악 공연 전반에 걸친 다양하고 흥미진진한 일들을 직접 경험하면서 차근차근 배워갈 수 있었고, 그만큼 많은 성장을 할 수 있어 제게 정말 다시없을 값진 경험을 할 수 있었어요.



힙합 동아리 DOVY 2013년 정기공연에서 랩을 하고 있는 DAVID




특히 무대 위에 서서 수많은 사람들 앞에서 공연을 하면서 그들과 함께 호흡하며 긴장감과 압박감을 이겨내는 연습을 많이 할 수 있었서 좋았어요. 또한 음악적,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매력적인 사람들과 함께 하면서, 우리만의 특별한 에너지와 함께 만들어가는 시너지 효과를 경험할 수 있었죠. :)



하나의 작고 사소한 아이디어로 멋진 어떤 결과물을 함께 만들어나갈 수 있는 경험은 정말 특별하다고 생각해요. 이렇게 저는 제 인생에서 ‘힙합’이라는 음악을 기반으로 사람과 커뮤니티의 중요성을 깨닫고, 나아가 제가 살아온 삶과 세상과 사람을 바라보는 시각에 좋은 영향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아치쿠님의 질문을 받고 돌이켜 생각해보니, 정말이지 지금의 제가 있기까지 저의 삶에 많은 부분들이 음악을 매개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새삼 깨달을 수 있네요. )








2015년 호주 브리즈번에서, DAVID KIM , 위워크 커뮤니티 매니저(선릉 3호점)

















ARTSYKOO.  데이비드는 사람들을 모아서 함께 어울리고 활동적인 일들을 하면서 즐거운 시간을 공유하는 것을 좋아하는 것 같아요. 특히 데이비드가 주축이 되어서 진행했던 “개미 스쿼드 squad”라는 커뮤니티에 대한 이야기는 아치쿠에게 매우 흥미롭게 다가왔는데요, “개미 스쿼드”. 어떤 커뮤니티인지 소개 부탁드려요. :)




DAVID KIM.  “개미 스쿼드”는 대학 시절, 마음 맞는 주변 사람들과 함께 만든 “오프라인 커뮤니티”였어요.



개미 스쿼드에서 진행된 Monster War 포스터


한창 파티 플래너로 활동하던 시절, 저는 점점 클럽에서의 밤 문화가 지치기 시작하면서 매너리즘에 빠졌던 적이 있어요. 더 이상 시끄러운 클럽에서 이전처럼 새로움, 혹은 특별한 즐거움을 찾을 수가 없어졌죠. 하지만 저는 여전히 좋은 사람들과 어울리며 새로운 즐거움을 경험하고 싶었어요.



그러던 어느 날, 어릴 적 미국에서 친구들과 공원에서 피크닉을 하던 때가 그리워져 친한 친구들과 함께 한강 공원에서 ‘즉흥 피크닉’을 하게 되었는데, 정말 즐거운 시간을 보내게 되었죠. 스피커를 들고 야외로 나가 좋아하는 음악을 틀어 놓고 물총 싸움, 얼음 땡 같은 놀이를 하며 아이같이 놀았어요. 정말이지 다시 동심의 세계로 돌아간 기분이 들었죠.



그렇게 즉흥적으로 모여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냈던 피크닉 경험이 너무나도 재미있었던지, 함께 했던 친구들이 뭔가 정기적으로 모여 놀았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모였죠. 그래서 저는 더 많은 사람들과 이 피크닉이 주는 즐거움을 나누고 싶어서 페이스북 그룹 “개미 스쿼드”를 만들어 참여자들이 각자 지인들을 초대하여 한강 피크닉 이벤트를 진행했어요.



그렇게 10명으로 시작했던 피크닉이 20명, 30명.. 등 점점 커지면서 개미 스쿼드 (개미 떼처럼 모여 신나게 놀자는 뜻에서 지어진 이름이죠 :))가 시작됐죠.  저희 개미 스쿼드의 모토는 ‘너와 나의 친구, 친구의 친구, 혼자, 둘이, 셋이, 상관없이 모두 모여 즐기자’였습니다.




개미 스쿼드 멤버들 @ 한강 공원




“Water War”이라는 주제로 한강 대형물 풍선 싸움, Monster War이라는 실사판 좀비 죽이기 게임 등, 이익을 생각하기보다는 (오히려 저의 자비를 써가면서) 모두가 모여 재미있게 놀고 친구 만드는 커뮤니티가 되어갔었죠. 정말 보람 있었어요. :)



개미 스쿼드에서 진행된 Water War 포스터




이렇게 한참 커지고 있던 개미 스쿼드는 제가 멕시코로 교환학생을 떠나며 아쉽게도 막을 내리게 되었지만, 지금까지도 그 당시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던 개미 스쿼드 친구들을 자주 만나요. (특히 개미 스쿼드를 통해 처음 만난 사람들도 서로 절친한 친구로 잘 지내는 것을 SNS를 통해서 보면서 보람을 느끼곤 한답니다. :)












ARTSYKOO. 데이비드는 정말 운동을 열심히해요. 인스타그램의 피드를 통해서도 운동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는데요, 대학시절에는  "미스터 HUFS"라는 교내 보디빌더 대회에 출전할 정도로 혹독한 몸 만들기를 한 경험도 있어요. 최근에는 어떤 운동에 빠져 있는지, 운동을 통해서 어떤 특별한 즐거움을 느끼는지 궁금해요.



DAVID KIM. 미스터 HUFS에 대한 추억은 한편으로는 조금 부끄럽지만, 또 한 편으로는 제 인생에 있어 스스로가 가장 자랑스러웠던 경험 중 하나였어요.


한국외국어대학교 미스터 HUFS 대회에 참가 중인 DAVID


'저' 라는 사람이 갖는 의지의 한계를 마주하고, 그 벽을 넘어서는  아주  중요한 시기였죠. 미스터 HUFS 출전을 준비하고, 참여하면서 '마음을 먹으면 못하는 게 없다'는 할 수 있다는 강력한 의지와 그것에 대한 믿음을 만들어준, 그야 말로 인생 경험 life experience 이었죠. (그래도 여전히 저 때 사진이 부끄러운 것은 어쩔 수 없네요..ㅎㅎ)






최근 제가 심취해 있는 운동은 바로 [F45]라는 일종의 '커뮤니티 운동'입니다. [F45] F는 Functional (기능성), 45는 수업 시간인 45분을 의미하는데요, 간단히 설명하자면 45분 동안 기능성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 (HIIT)을 하는 운동이죠.







“Not Just a Workout,


But a Community.”











특히 [F45]는 단순히 운동이라기 보다  "더 나은 나를 만들다"라는 모토 하에 사람마다 각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체형, 경험, 건강 상태와 같은 것들의 '다름'을 인정하고, 이런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들이 함께 모여 함께 하나의 목표를 위해 열심히 운동에 임하는 분위기가 이 운동을 특별하고 가치있게 만든다고 생각해요. 정말 멋진 운동이죠.



프로 운동선수부터 운동을 처음 해 보는 사람까지, 각자의 눈높이에  맞는 운동을 따로 또 같이 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게 이 운동의 큰 장점이라고 생각해요.


더군다나 너무나도 멋진 트레이너들, 동료들이 하나의 팀team이 되어 서로 서포트 해주고 응원해 주면서 운동하고,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는 모습이 정말 매력적입니다.




그리고 아주 특이한 점은 짐gym 내부에 거울이 단 하나도 없다는 점인데요, 이런 특징은 모든 F45 지점에 적용되는 아주 중요한 원칙 중 하나입니다. 운동을 하는데 있어서 자신의 외모가 중요하지 않다는 메세지를 이런 인테리어 환경적 요소를 통해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자신을 사랑하고, 함께 운동하면서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실천하는 멋진 운동  F45를, 저는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











David Kim, Brazil, 2016







아치쿠가 만난 아트 & 피플 인터뷰

[Nomadic WeWorker! 위워크 커뮤니티 매니저 데이비드를 만나다]

part 2로 이어집니다.



- artsykoo








매거진의 이전글 인공지능 연구원 '정원석'을 만나다 part 2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