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또호레 Mar 01. 2022

저평가된 지역은 어떻게 찾나요?

부동산초보의 부동산 공부 1

부동산은 데이터가 중요하다. 데이터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재개발/재건축/분양권/신축/구축 비교하여 종목별로 추리고, 10년간 매매가격지수/수요-입주물량/미분양 물량 그래프를 보고 저평가된 지역을 찾아야 한다. 그리고 반드시 놓칠 수 없는 3가지.


1. 당연한 상권, 학군, 교통 분석

2. 미분양도 중요하지만 앞으로의 공급량도 볼것

3. 내가 살고싶은 곳인가


조정대상지역 시가 9억원 이하인 경우 LTV 50퍼센트,  외의 지역은 1주택 처분 조건을 충족하면 최대 70퍼센트까지 가능하니 투자대상군이 넓어진다. 당장 7월의  미래도 불투명한 상태라 거주지로 투자를 해야할지, 아니면 투자와 실거주지를 분리하여 투자를 해야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명확한건 투자와 실거주를 분리하면 투자의 선택지가 전국이 된다는 .

그리고 무엇보다 자기자본이  필요해진다. 실거주하지 않는다면 매매가가 6, 전세가가 5   1억만 있으면 매수 가능하니 말이다.

무튼, 저평가된 곳을 찾아 투자 지역을 먼저 선정하고 발품/손품을 팔아야한다. 부동산을 무턱대고 찾아가기엔 무서운게 많은 초보라, 손품으로 먼저 추려본다. 그때 중요한 어플 활용.



-어플 추천(from 행크tv)

: 아실, 부동산지인, 호갱노노





1.아실


최근에 부동산 어플들을 이것저것 알아봤지만, 처음 들은 어플이였다. 근데 생각보다 퀄이 너무 좋음. (알고보니 엄청 유명한 어플이었다)






부동산 빅데이터를 손쉽게 보여준다. 공급, 미분양, 인구, 가격변동 뿐만 아니라 갭투자현황, 매수심리까지 데이터로 볼 수 있다.









왼쪽 사진을 보면 1채 이상 투자자들이 공시지가 1억미만 아파트로 갭투자가 몰리다보니 지방소도시에 갭투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원주는 최근에 나도 관심이 있어서 손품 팔아본 지역인데.. 하락하고 있는 다른 지역에 비해 거래건수나 가격이 이전수준을 지켜내고 있는 것 같다. 소자본으로 두드려볼만한 곳이 이런 소도시들인데.. 이런 곳부터 가장 먼저 하락할 것 같은 두려움도 있다.

그리고 오른쪽 사진은 서울의 매수심리 그래프다. 1월부터 소폭상승하다 다시 하락으로 돌아선 것으로 확인된다.






1.호갱노노


꽤 유명한 어플. 왼쪽 하단에 보면 외지인비율에 직장인연봉까지 알려준다. 검색도 매매형태/세대수/유형/입주년차/건폐율/갭가격/월세수익률/임대사업률/용적률/주차공간 등 엄청 섬세하게 나눠볼 수 있어서 이용하기 좋다.





용인을 기준으로 검색 한 번 해봤다.





자가용 출근 시간 분석도까지 알려준다. 와웅..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 참고할 것






3.부동산 지인


이것도 매우 유명한 어플. 깔끔하게 필요한 것들 알려준다. 이 어플은 지역과 아파트를 나눠서 분석하고 싶을 때 용이하다. 맨위 상단 지인 프리미엄 활용은 유료이니 참고할 것.






유투브나 동영상 활용도가 높다. 메뉴설명도 동영상으로 해줌.




※임장을 갈 때는 네이버부동산에 물건을 많이 올라간 곳을 노릴것. 미리 전화할 것.

-KB시세는 호가 기준, 한국감정원은 실거래가 기준이기 때문에 두가지를 잘 분류해야 한다.

-> KB시세는 LIIV 부동산- KB 통계에서 부동산이 어떤 이슈로 오르거나 낮아졌는지 확인 가능하다.

->[주간] KB 리브부동산 시계열 참고할 것.



이 자료가 정말 잘 되어있다.



전국적으로 매매가격이 상승한 지역, 하락한 지역을 순위를 매겨 요약적으로 1차 보여주고

Sheet를 나뉘어 매매증감, 지수, 전세증감, 지수 등 파악 가능.

 


매매증감을 나타난 엑셀이다. 증감률/변동률을 색깔별로 쉽게 볼 수 있다.


●증감률/변동률 계산법 = (비교지수/기준지수)-1

예) 서울매매가격이 2019년 12월 20일 대비해서 2020년 10월 5일은 몇% 증감/변동 했나?

(매매지수 sheet)

 서울 2019년 12월 30일 지수 103.297 ,  2020년 10월 5일 지수 112.862

=112.862/103.297 -1

=9.3%


엑셀시트의 함수를 보면,


22-02-14 대비 2022-02-21 변동률로 볼 수 있다.

즉 빨간색일 수록 변동률이 높다고 볼 수 있는데, 고수 투자자들은 오히려 빨갛지 않은 곳을 주의깊게 본다고 한다.

이미 높아진 가격이므로 조정될 가능성이 크기때문에 조심해야 하고, 이 표에서 주목해야할 것은 전주에 비해 상승하고 있는 것을 주시해야한다.

다음에 오를 곳을 선점하는 것=빨간색이 될 곳을 찾는것

->전세 증감 0.3정도 되면 유의깊게 볼 것


매수매도 sheet는 100이상일 경우 매수자가 많은 것, 100미만일 경우 매도자가 많은 것

매수수위지수를 보고 점점 오르는 지역 찾으면 된다.


중요한건 전세수급을 볼 것. 높은게 좋음.


1일차 공부 끝!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