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글쓰는 백수고모 May 25. 2016

연륜과 감정이 묻어나는 연주를...

색소폰 음악가 강기만씨


▲색소폰 음악가 강기만씨 (브라보 마이 라이프)


중년이 좋아하는 아이돌. 잘못 생각하면 짧은 치마로 무장한 여자 아이돌을 쫓아다니는 삼촌 팬으로 오해할 수 있다. 그러나 중년의 음악애호가, 특히 색소폰 마니아들 사이에서 아이돌을 꼽자면 단연 강기만(姜其滿·40)씨다.

글·사진 이준호 기자 jhlee@etoday.co.kr


강기만씨는 알려진 명성에 비해 늦깎이 데뷔를 한 음악가다. 애초 직업은 군인이었다.

“원래는 군에 있었죠. 2013년 대위로 제대를 했습니다. 색소폰과 인연을 맺게 된 것은 부대 근처에 학원이 있어서였어요. 늦게 데뷔를 했지만, 나름의 장점이 있습니다. 인격적으로 완성이 된 이후 음악에 접근했기 때문에 어릴 때 기술적으로 접근하는 친구들에 비해 해석력에 차이가 있죠.”

만학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2010년 1집 를 발표했다. 그리고 4집까지 연이어 앨범을 세상에 내놨다. 학습서 <색소폰 여행>을 비롯해 책도 4권이나 집필했다. 호주 현지에서 한국인이 설립한 호주기독교대학(Australia Christian College)에서 실용음악과 학과장을 맡고 있기도 하다.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그의 이름을 딴 색소폰도 출시됐다.

연주가로서의 활동만큼이나 강기만씨가 잘 알려진 것은 그의 SNS 동호회 ‘색소폰 랜드’를 통해서이다. 네이버 밴드에서 규모가 큰 색소폰 모임 중 하나로 전국에서 회원만 4600명에 달한다. 별도의 여행이나 골프 동호회는 물론 지역별, 종교별 모임까지 있을 정도다. 6월25일에는 전국모임이 속리산에서 개최될 예정인데, 참석 예정인원만 250명 정도 된단다.

“회원들의 색소폰에 대한 사랑은 대단합니다. 대부분 50대 이상의 시니어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들어와 보시면 아시겠지만, 매일같이 회원들의 연주영상이나 게시물이 엄청나게 올라옵니다. 다들 전국에서 열정적으로 연습하고 있죠.”

그의 추산으로 전국의 색소폰 동호인 숫자는 30만~40만명. 악기가 팔린 것만 100만대 정도 된다고 어림잡아 계산한다. 동호인들을 위한 각종 경연대회도 각 지역에서 활발하게 개최되고 있는데, 평균적으로 100팀 정도가 출전한다고 한다. 강기만씨는 이런 대회의 단골 심사위원이다.

그의 특별한 활동 이력 중에는 라디오 DJ가 있다. CTS 기독교 방송 라디오에서 매주 월요일 1시에 <강기만의 색소폰 이야기>를 진행한다. 색소폰이 주제가 되어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것은 처음일 것이라고 그는 이야기한다. 그가 이런 활동에 매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색소폰 연주가로 대중적인 인지도를 쌓는 일은 너무나 어렵습니다. 음지에서 연주를 하다 포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팬들의 사랑을 통해 제가 연주 이외의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었던 것만큼, 후배들도 그 길을 갈 수 있게 열어주고 싶은 마음이 큽니다. 제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에서 후배들의 비중이 큰 것도 그 때문입니다.”

시니어들에게 색소폰이 사랑받는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 이에 대해 강기만씨는 재미있는 답을 내놓는다.

“아마 외로움이 아닐까 싶어요. 중년 이후에 찾아오는 외로움을 음악으로 해소하려는 시니어들이 많은 것 같아요. 또 색소폰 자체와 연주하는 모습에서 풍기는 멋진 모습이 주목받게 해 주니까요. 색소폰이 갖는 특유의 음색도 시니어들에게 어필하는 매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음악을 시작하려는 시니어들에게 조언을 부탁하자 그는 색소폰을 시작하려면 먼저 좋은 스승을 찾아, 충분한 연습을 하는 것이 정도(正道)라고 강조했다. 그리고 남의 연주를 많이 듣는 습관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악기에 대한 얘기도 꺼내놓았다.

“색소폰을 시작하는 시니어들이 쉽게 빠지는 함정이 두 가지가 있어요. 첫 번째 비싼 악기로 부족한 음악적 소양을 보상받으려는 심리가 있죠. 하지만 비싼 장비를 갖는다고 실력이 나아지진 않습니다. 연습만이 살 길이죠. 두 번째 함정은 반주기에 너무 의존한다는 것이에요. 적당한 레슨 없이 반주기만 틀어놓고 연습하는 것은 음악을 예술이 아닌 게임으로 변색시키는 것이죠. 타이밍에 맞춰 음계를 내놓는 것이 아니라 리듬에 운율과 감정을 실을 수 있어야 진정한 연주가 됩니다. 연륜과 열정이 묻어나올 수 있는 연주를 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준호 기자   

jhlee@etoday.co.kr

<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매거진의 이전글 1만4000봉을 향해 오늘도 산에 오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