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책인사 Nov 01. 2024

오직 타인만 평가하는 사회

나는 옳고 다른 사람은 틀리다

KTX를 타고 출장을 가는 길이었습니다.

승무원이 어떤 어른분께 승차권 확인을 요청했습니다.

그 어른은 종이에 적힌 좌석번호를 보여주었습니다.

승무원이 말했습니다.

“종이에 적힌 좌석 번호 만으로는 확인이 되지 않아요. 그리고 이 자리도 아니에요.”


승무원의 안내를 들은 어른의 목소리가 높아졌습니다.

“이제 곧 광명역에서 친구들이 탑승해요. 여기가 다 우리 자리예요.”


저는 슬슬 그 대화가 신경 쓰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럼 일행이 예약한 본인 자리에 앉아 있으면 될 텐데, 왜 아직 타지도 앉은 일행 자리에 앉아서 주위를 소란스럽게 하는 것일까?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잠시 후 기차가 광명역에 도착하자,

몇 명의 친구분들이 기차에 탑승했습니다.

서로 인사를 주고받느라 목소리가 높아졌습니다.


조용히 좀 해달라고 말할까?

라고 생각하며 신문을 읽고 있는데,

마치 저에게 들려주는 듯한 신문 칼럼이 있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4583




퇴근길 지하철은 혼잡합니다.

다들 지치고 피곤하지요.

집으로 빨리 돌아가고 싶은 사람들은 지하철로 계속 밀려들고,

지하철 안의 사람들은 안쪽으로 계속 밀려납니다.


그러다 보면 들리는 차갑고 큰 목소리.

"밀지 마세요!"

"제가 민 거 아니에요! 저도 밀리는 거예요!"

"아! 짜증 나!"


사람을 밀면 안 되겠지요.

하지만 사람이 많으면 자의가 아닌 타의로 밀려나는 것도 당연합니다.

하지만 마지막의 사람은 내 공간을 침해당했다고 생각하고,

'사람을 밀면 안된다.'라는 규율로 상대방의 행동을 나쁘게 평가하면 어떻게 될까요?


없었던 공간이 생기는 것도 아닙니다.

다들 비좁게 가고 있는데, 나만 넓게 갈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위의 칼럼을 읽으며, 지난 저의 행동들도 되돌아봅니다.

매너 또는 에티켓이라는 이름하에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평가한 것은 아닌지 말이지요.

그리고 저 또한 누군가에게는 규율에 어긋나는 행동을 한 것은 아닌지도 되돌아봅니다.


위 칼럼을 읽고 KTX에 탄 어른들을 보니,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과 반갑게 정을 나누는 모습이 되려 따뜻하게 느껴졌습니다.

계속 목소리 높여 떠드신 것도 아니었고,

그 반가운 분위기에 굳이 찬물을 끼얹을 필요도 없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칼럼을 읽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저의 마음가짐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다른 분들에게 관대해지니, 저의 스트레스도 상당 부분 없어졌습니다.

되려 제가 편안한 마음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된 점이 무엇보다 좋았습니다.


타인에게 관대하면,

내 마음에도 여유가 생깁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임산부 배려석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