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비온뒤 Mar 10. 2021

돈 안 받고 야근하라는 그대여

 노동에는 정당한 대가가 필요하다. 그것은 세계의 누구에게나 꼭 적용되어야 할 일종의 약속이다. 공무원이라고 다르지 않다. 괜히 '열정 페이'가 욕을 먹겠는가. '열정'과 '충성심'을 무기로 직원을 휘두르는 상사는 정말 손으로 셀 수도 없이 많다. 대학 아르바이트를 할 때부터 현재까지도 10년이 넘게 지났는데 한두 사람은 꼭 있다.


 희한한 소리를 들었다. 연봉이 근 1억이 되는 그분과 신규직원의 실 수령액이 거의 비슷하다고 한다. 가끔 메신저에서 한담을 나누곤 하는 이와 이야기하다가 들은 이야기였다. 사실 이 이야기를 들은 것은 몇 년 전으로, 아직도 그때 이야기만 하면 황당해진다.


 말이 되는 소리를 해야지. 세금을 70% 넘게 떼는 것도 아닌데 어떻게 그와 나의 실제 사용 금액이 비슷할 수 있는가. 대충 그 직위의 사람들이 연봉 평균을 한참 올린다는 것을 알고 있는 나는 그의 실 수령액을 원 단위까지 알고 있다. 네이버 검색만 해도 나오는 내용이다. 그런데 얼굴색 하나 안 바뀌는 씨알도 안 먹힐 거짓말을 한다. 단호하게 부정하자 들려오는 말은 '내 앞으로 먹여 살릴 입이 많아서'다. 세상에나 마상에나. 집도 차도 장성한 자식도 있으신 분이 집도 없고 차도 없고 심지어 자식도 앞으로 돈 들일 밖에 없는 하급 직원과 맞먹으려 든다. 사실 돈이 중요한 게 아니다. 그들이 하고 싶은 말은,


 그러니 내가 일을 시키고 싶은 만큼 너희가 일해.


 뭐 대충 이런 느낌의 말이다. 혹은 그냥 정말 공감능력이 없는 사람이거나.


 나는 공무원이 모든 새로운 근무 형태의 시험대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주 52시간도, 최저임금도(여담이지만 솔직히 말하면, 9급 1호봉의 사무실 근무자는 실수령액(본봉+수당-세금-기여금)이 최저임금 수령자의 국민연금+4대 보험 뗀 금액보다 적다. 진짜다. 우리 9급 후배들을 보면 가끔 안쓰럽다.), 재택근무와 유연근무도 논란이 많은 노동 방식은 공무원이 먼저 해 보아야 한다. 일반 국민들을 무슨 오픈 베타테스터처럼 여길 수는 없지 않은가. 그렇다면 비교적 근무를 나누는 데 유연할 수 있는 공무원이 그 역할을 클로즈 베타테스터로서 해 보는 수밖에. 물론 모든 제도가 다 좋을 것이라고 자신하지는 못하지만, 한두 개 정도는 얻어걸려도 좋지 않은가. 늘 마음속으로는 불만을 가득 담아도 새로운 제도를 시험해 보는 마인드 자체는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직원이 많은 회사의 문화가 정착이 되면 다른 회사에도 그 문화가 옮아갈 것이다. 공무원이 칼퇴를 하는 문화를 만들어야 사회 전반으로 그것이 퍼져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와 비슷한 파급력을 가질 수 있는 건 직원 수가 몇 천 명은 되는 대기업이나 가능할 텐데, 그곳의 근무 환경은 지나가는 소리로만 들어도 윽 소리가 나온다. 그래도 모 대기업에서는 주 4일제를 실시하거나 일부 선도적인 벤처기업도 여러 가지 실험적인 제도를 운영해본다.


 하지만 현실은 줄어든 근무시간에 비해 인원을 채워주지 않는 막막함이 있다. 공무원의 정원은 늘 그다지 다르지 않다. 일은 늘 해마다 비슷하거나 많다. 심지어 요즘은 퇴직, 휴직이 갑작스럽게 생기는 일도 늘어난다. 장기교육도 종종 있다. 이런 인원을 위해서 예비 인원이 즉시 투입될 수 있는 환경일까? 당연히 그럴 리 없다. 제한에 부딪혀 기존보다 많은 일을 적은 사람이 적은 시간 동안 해야 하는 불가능에 가까운 결론이 나온다. 제목 그대로다. 결국, 돈 안 받고 야근을 해야 하는 상황이 온다. 그것도 꽤 자주.

 

 칼퇴근을 하기 위해서 최대한 노력했다. 저녁 있는 삶은 적절한 일의 배분으로 완성되는데 많은 상급자들이 그것을 간과하고 있다. 국감이나 비상근무 같은 어쩔 수 없는 상황을 제외하고는 누군가가 남아서 일을 한다는 것은 그 사람에게 일이 너무 많다는 것이고, 그렇다면 즉시 그것을 해결해야 하는 사회가 된 것이 아닐까? 적어도 정부가 주에 52시간을 일하라고(이렇게 바뀐 것은 비교적 최근이지만) 한 것은 상급자가 당당하게 '돈 받을 생각 하지 말고 야근이나 해'라는 말을 하게 하기 위함은 아닐 것이다.


 야근 없는 삶을 꿈꾼다.

 강요 없는 회사를 희망한다.

 언젠가는 그렇게 되기를.

매거진의 이전글 구름 위를 걷는 삶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