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 반도체 수급난이 여전히 현재진행형으로 이어지고 있다. 때문에 출고대기 기간이 줄어들 것이라 기대했던 현대차그룹은 그 어디보다 속이 타들어 가는 상황이다. 그도 그럴 것이 아이오닉 5부터 스포티지까지 하반기 매출을 끌어올릴 수 있는 다양한 신차들을 출시하고도 마땅한 성과를 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과연 최근 현대차그룹의 출고대기 기간은 어느 정도이고, 다른 곳을 어떨가? 지금부터 함께 알아보자.
올 상반기 반도체 수급 문제로 쌓인 누적 계약 탓에 연말로 갈수록 대기 기간은 오히려 길어지고 있다. 지난 5일, 현대차·기아 판매 지점에 따르면 주요 인기 차종은 이 달(9월) 계약 시, 최장 20개월이 소요된다. 특히 인기가 높은 SUV와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등 대다수 모델을 받으려면 계약 후 12개월 이상 대기해야 한다. 지금까지 현대차와 기아의 알려진 국내 주문 대기 물량은 100만 대 이상이다.
현대차의 경우, 가장 출고 적체가 심각한 차종은 아반떼 HEV와 싼타페 HEV로 대기 기간이 20개월이다. 두 차종은 전달 대비 각각 3개월, 2개월씩 늘어났다. HEV는 배터리나 모터 등을 탑재해 일반 내연기관차보다 반도체가 더 많이 들어간다. 그런데 고유가 시장 상황과 전동화 전환이라는 상황이 맞물리면서 상대적으로 연비가 우수한 HEV 모델의 수요가 늘어났고 이로 인해 최근 상황처럼 출고대기가 심화됐다.
기아 사정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최장 대기 차종은 스포티지 HEV와 쏘렌토 HEV로 주문 후 18개월을 대기해야 한다. 패밀리카로 인기가 높은 카니발은 지난달에 이어 16개월이 소요된다.
여기에 현대차는 제네시스까지 추가로 있어서 출고대기 부담은 더 가중되고 있다. 제네시스의 경우 고급차 수요가 늘면서 출고 기간도 갈수록 길어지고 있다. G80은 지난달 8개월에서 10개월, GV70은 12개월에서 15개월로 늘었다. 그리고 GV80은 전달과 같이 18개월을 기다려야 한다.
아울러 현대와 기아차의 아이오닉5, EV6, GV60 등 주요 전기차는 모두 전달과 같이 12개월 이상이 걸린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최근 때아닌 특수를 누리는 게 있어 화제를 모으고 있다. 그것은 바로 ‘전시차’다. 이전처럼 할인 폭도 크지 않다. 그리고 무엇보다 최소 한 달은 전시되어야 하는 현대차그룹 방침상 차량 손상 우려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기 기간이 적어서 인기가 높다고 한다.
실제로 기아 스포티지의 경우 현재 1400여 개 영업소 중 구매할 수 있는 전시차는 없다. 기아 홈페이지에 따르면 전국 영업소에서 ‘스포티지’ 전시 차량을 갖고 있는 곳은 120곳이 넘지만, 이미 해당 차들은 판매 계약이 끝난 상태다.
한 기아 대리점 관계자는 “색상 상관없이 무조건 사고 보겠다는 고객이 많은 실정”이라며 “전시차를 구매할 계획이라면 홈페이지를 무작정 들어가기보단 10만 원 계약금을 걸어놓고 기다리는 게 현명한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다른 현대차 대리점 관계자는 “한 달에 한 번 오전 10시 정각에 재출고 전시 차량과 각종 취소 차량을 확보할 수 있는 날이 있는데 전국의 수십만 명의 사원들이 몰려든다”고 말했다.
끝이 보이지 않은 출고대기 기간에 새로운 시장 흐름도 생겼다. ‘차를 얼마나 빨리 받을 수 있느냐’에 따라 고객들이 움직이는 흐름이 나타난 것이다. 반도체 대란 이전 디자인, 옵션 등이었던 차량 선택의 기준이 일부 고객들 사이에서 변했다.
당장에 출고대기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없는 현대차그룹은 ‘출고대기 고객’을 잡기 위해 물밑 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는 지난 5월부터 전기차 아이오닉5를 계약한 장기대기 고객(2021년 계약자)에게 차종 전환 시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행사를 하고 있다.
아이오닉5 대기 고객이 같은 친환경차인 넥쏘(수소차·100만 원), 아반떼, 쏘나타, 그랜저, 코나, 투싼 하이브리드 모델(이상 30만 원)로 차종을 바꾸면 추가 할인 혜택을 주고 있다. 제네시스는 ‘G70 슈팅 브레이크’에 ‘오픈런 판매 방식’을 사용했다. 빅데이터 분석으로 고객들이 가장 선호하는 사양만 담은 G70 슈팅 브레이크 100대를 먼저 생산해 지난 7일 판매 개시일에 즉시 출고가 가능한 차량으로 선보였다.
신차 효과가 적은 르노코리아의 경우 판매 중인 SM6, XM3, QM6 전 차종 14주 내 출고가 가능하다.
쌍용차는 코란도와 티볼리 모델은 3개월 대기해야 하지만 주력 모델인 렉스턴 스포츠(칸)은 1달 이내 출고가 가능하다. 그러나 토레스의 경우 이달 들어 6만 대 안팎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지금 계약하면 10개월 뒤에 받을 수 있을 정도로 인기다. 현재는 계약 대수가 계속 증가 추세여서 '1년 대기'도 임박한 상태다.
한국지엠 쉐보레는 충분한 물량을 확보해 즉시 출고가 가능한 수준으로 빠른 고객 인도가 가능하도록 했다. 최근 출시한 풀사이즈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인 타호의 경우 한 달 내에 출고가 가능하다. 이쿼녹스, 트래버스, 콜로라도 역시 두 달 내에 차량을 인도받을 수 있을 정도로 대기 기간이 짧다.
르쌍쉐의 이 같은 상황은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주요 인기 차종이 현대차에 몰려 있는 영향도 크다. 그런데 최근 한국지엠이 반도체 수급 문제로 인해 올해 초 차량 일부 기능이 제한된 차량을 우선 출고하면서 상반기 내 '무상 장착'을 약속했지만, 일부 고객에게 여전히 무상 장착은커녕 안내조차 없는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
안타깝게도 현대차그룹에 불어닥친 출고대기 이슈는 쉽게 해결되지 않을 전망이다. 이유는 유럽에 위치해 있는 현대차 반도체 수급처 대부분이 최근 불어닥친 위기로 납기 지연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납기 지연이 오래 지속될수록 자동차 제조사는 생산에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과연 현대차 출고대기를 해결할 대응책을 만들어 낼 수 있을지 앞으로의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