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콘밍글 Oct 02. 2024

“10개 중 8개가 중국산인데…” 도전장 내민 한국

LFP 배터리 시장에 뛰어든 한국 / 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전기차에 대한 수요가 잠시 주춤거리는 지금, 국내 배터리 업계가 결국 결단을 내렸다.


중국이 꽉 잡고 있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시장에 새롭게 뛰어들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큰 화제가 되고 있다.


그간 배터리 시장은 크게 LFP(리튬·인산·철) 배터리와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로 나뉘어져 있었다고도 볼 수 있다.


국내 기업이 개발에 주력해 왔던 배터리는 NCM 배터리였다. 니켈, 코발트와 같은 고가의 원재료가 들어가는 대신 주행거리가 길었기 때문이다.

LFP 배터리 시장에 뛰어든 한국 / 출처 : 연합뉴스

LFP 배터리는 원가가 낮고 수명 또한 상대적으로 길지만 에너지 밀도가 낮은 탓에 주행거리가 짧아, 보급형 전기차에 주로 탑재해 왔다.


그러나 최근 전기차 수요가 둔화하는 캐즘 현상이 예상보다 장기화되면서 완성차 브랜드들은 보급형 전기차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LFP 배터리의 수요 또한 올라가기 시작했고 시장이 커지면서 여러 완성차 브랜드가 LFP 배터리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실제로 폭스바겐, 제너럴모터스, 테슬라 등 주요 브랜드가 LFP 배터리를 채용했으며, 이에 국내 배터리 업계들 또한 나섰다.

하나 둘 뛰어들기 시작한 배터리 업계, 너무 늦은 건 아닐까?

LFP 배터리 시장에 뛰어든 한국 / 출처 : 연합뉴스

LG에너지솔루션은 2025년 하반기 LFP 배터리를 르노의 차세대 전기차 모델에 공급할 계획을 밝혔다.


현대차·기아 또한 지난 26일 현대제철, 에코프로비엠과 함께 LFP 배터리 양극재 기술을 개발하겠다며 착수 계획을 전해왔다.


삼성SDI와 SK온 또한 2026년 양산을 목표로 하면서 국내 배터리 업계들이 분주해진 가운데, ‘이미 너무 늦은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전기차용 LFP 배터리에서 중국 기업 CATL과 BYD가 차지한 점유율만 80% 이상인 것으로 드러났다.

LFP 배터리 시장에 뛰어든 한국 / 출처 : 연합뉴스

이런 상황에서 중국 기업을 제치고 LFP 시장을 개척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해석이다.


중국의 경우 이미 공급망까지 확보한 상태이기 때문에 중국을 상대로 가격 경쟁력을 갖추는 것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많은 업계 관계자가 입을 모아 “한국 배터리 기업이 직면한 과제”라고 말하는 가운데, 관건은 국내 기업의 ‘기술력’이다.


배터리 소재 업계 또한 LFP 배터리 시장 확보를 위해 혁신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지금, 과연 한국이 LFP 배터리 시장에서 선전할 수 있을지 사람들의 시선이 주목되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