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Noah Jun 16. 2024

성과 공유회

공정성, 납득성

성과 공유회 :프로젝트, 프로그램, 또는 업무의 성과를 공유하고 논의하는 회의나 행사입니다


3번째 성과 공유회를 진행했다. (작년 상, 하반기 진행)

작년에는 Android, iOS 11명이서 했는데, 조직 개편으로 서버 + FE까지 모두 22명이 진행하게 되었다.


성과 공유회를 진행하는 입장에서 많아진 인원으로 진행시간이 2배로 늘어나는 게 많이 부담스럽긴 했다.

2시부터 7시간을 잡아두고 5시간으로 계획했다. 

(워크샵 진행을 위한 보조도 자원받았다.)


1. 성과 공유회 키노트 

2. 테크리더(PL) 멤버 성과 공유 발표 

3. 인터미션 (탁구 게임)

4. 클라이언트 멤버 성과 공유 발표

5. 인터미션 (벨런스 게임)

6. 서버, FE 멤버 성과 공유 발표

 

6.3일에 진행한 성과 공유회 공지를 4.23일에 했고, 1달 반 동안 작성할 수 있도록 했다.

작년 성과 공유회 회고에서 나온 "각자가 쓰는 방식이 달라서 공유한 수준이 달랐다"는 피드백을 반영하기 위해서 미리 작성 템플릿도 준비해 두었다.


그리고 매주 주간 회의 때 아래 영상을 보여주면서 공정성과 납득성을 이해시키려고 노력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piIr-a6FXE0&list=PLVNiQNqT8WUHk5IOIqwsHyH95MErl2Pdi&index=5&themeRefresh=1


공정성

어떤 일의 가치, 선약, 우열, 시비 등을 판단할 때에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공평하고 올바른 성질

-> 다른 사람과 비교할 때 차별을 받지 않았다는 느낌


납득성

1. 남의 말이나 형편 따위를 잘 이해하고 긍정함

2. 잘 이해되고 긍정되다.

-> 결과를 수용할 만하다고 여기는 것

납득을 하려면 공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자신의 성과와 노력을 상호 공유하는 시간



그래서 성과 공유회는 왜 하는 건가요?

성과 공유회를 준비하는 내내 우리가 아니 내가 이걸 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서 고심했다.

준비하는데 시간이 걸리고, 하면서 부담도 되는 일은 분명하다. 

시간과 노력을 썼다면 결과도 얻어야 하니. 그 결과가 무엇인지 설명해야 


성과 공유: 가장 중요한 이유는 조직 내에서의 성과를 공유하고 알리는 것입니다. 이는 팀원들 간의 협력과 노력에 대한 인정을 보여주며, 다른 팀원들에게 영감과 동기부여를 줄 수 있습니다.

의사소통 강화: 성과공유회는 조직 내의 의사소통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팀원들 간의 경험 공유와 이야기 나눔은 조직 내의 커뮤니케이션을 개선하고 업무 환경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

목표 달성 및 성과 평가: 성과공유회는 조직의 목표 달성 상황을 점검하고, 어떤 부분에서 성과를 이루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조직은 성과를 분석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동기 부여: 팀원들이 자신의 노력과 기여가 조직의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는 팀원들에게 자부심을 느끼게 하고, 더 나은 성과를 이루기 위해 더욱 노력하도록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목표 : 조직과 동료의 성과를 알고 나의 목표와 성과를 점검해 보자.


우리의 일

1. 개발 

2. 코드리뷰 

3. 동료 학습 (팀 성장)

4. 자기 학습 (성장) 

5. 발표 

6. 서비스 오너십 (조직, 회사 기여)


조직장으로서 새로운 멤버가 오면 우선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우리 조직의 일이다.

개발 조직으로서 개발을 하고, 동료와 제품을 위해서 코드리뷰를 한다.

그리고 더 높은 성과를 만들기 위해서 협력과 성장을 위한 노력을 한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제품과 조직을 위한 일을 더한다.


조직장으로서 유난히 강조하는 건 협력이다. 

개인의 효율이 아닌 전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일...


성과 공유회는 등수 평가를 하기 위함은 분명히 아니다. 

고성과자와 저성과자를 드러내고, 그 노력을 인정해 주기 위함이다.

또 동료를 통해서 나의 성과와 성장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방향으로 이끌기 위함이다.



주니어 / 시니어 / 매니저의 성과에 대해서 써봐야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노동과 노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