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요섭 Apr 27. 2023

열린 틈으로 계속해서 침입하는 교란

블라디미르 장켈레비치,「죽음에 대하여」 읽기(12)



1.

  '치유 불가능' 하다는 생각의 '신성화'는, '안락사'가 도착할 수 있는 끝이다. '죽음의 문턱'에 닿기 전까지 '잊어버릴' 뿐인. 존재의 부정은 '변화될 수 있는 시간'을 지운다. '준비될 수 없음'과 '메멘토 모리'. 약과 진정제는 '죽는 순간'까지, 계속해서 당신을 분리시킨다. '극심한 고통'에 잇따르는 지독하게 '구체적인 문제'. 죽음에 이르는 질병은 '존재론, 형이상학, 신학'이 복잡하게 얽혀있다. 


2.

  막연히 지연될 수 있다는 믿음은, '죽음'과 '더불어 살아갈' 힘을 잃게 한다. 너무도 '확실'한 사건이나, '불확실한' 시간성 사이. 우리의 실존은 어떤 '희망' 가운데 상실된다. '극히 미미한 사건'에 대한 해석마저 '복잡'해지는, '죽음'에 관한 사유. 결코 '자연적'일 수 없는 순간은 '우발적 사고'와 마주친 흔적이다. 열린 틈으로 계속해서 침입하는 어떤 교란.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고통은 '배울 수도 없고', 다만 '익숙'해질 뿐이다. 


  The 'sanctification' of the idea that something is 'incurable' is the end where 'euthanasia' can arrive, a point where one can only 'forget' until they reach the 'threshold of death.' The denial of existence erases the 'time that can be changed.' 'Unpreparedness' and 'memento mori.' Drugs and sedatives continue to separate you until the moment of death. The severe pain leads to a dreadfully 'specific problem.' Diseases leading to death are intertwined with 'ontology, metaphysics, and theology.'


  The belief that something can be delayed indefinitely undermines the strength to 'live with' death. Between events that are too 'certain' and a 'uncertain' temporality, our existence is lost amidst some 'hope.' Interpretation even becomes 'complex' for 'extremely insignificant events' when it comes to discussions about death. Moments that cannot possibly be 'natural' are only traces encountered with 'accidental incidents.' A disruption that continues to invade through any opening. Pain that is impossible to endure cannot be 'learned,' only becomes 'familiar.'


(94~112p)

매거진의 이전글 절대적으로 가려진 부분에 다가서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