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백사벨라 Sep 19. 2024

최초로 경험한 죽음과 가장 최근에 경험한 죽음의 차이

'두려움'과 '깊은 슬픔'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인지 후인지 정확한 기억은 없다. 아무튼 어린 나이에 가까운 사람의 죽음을 처음 경험했다. 그 당시 난 세상 무서운 것 중의 하나가 꽃상여였다. 고향에선 사람이 죽으면 행하는 의식이 있었다. 꽃상여에 망자를 태우고 그가 머물렀던 집에서부터 자주 가던 동네 곳곳을 돌다가 장지로 향하는 것이다. 그걸 볼 때마다 ‘죽음=귀신’을 떠올리던 어린애의 눈과 마음으로는 죽음이 슬픔 보다는 두려움으로 다가왔다.


“이제 가면 언제 오나, 어허, 딸랑(종소리) 어허, 딸랑”

 이 소리에 맞춰 가족들은 애 어른 할 것 없이

 “아이고, 아이고”


 울며 그 뒤를 따른다. 사찰의 단청처럼 알록달록 화려한 꽃상여를 한 번 쳐다보는 것만으로 쭈뼛쭈뼛 머리칼이 곤두서는 듯한 무서움을 느꼈다. 그런 내가 울며 꽃상여 뒤를 따라가야 하는 유가족이 된 것. 그때까지만 해도 용기를 한번 내야만 꽃상여를 힐끔 볼 수 있었고, 그 한 번만으로도 극도의 공포를 느끼던 겁쟁이가 꽃상여와 엄중한 의식 내내 함께해야 한다. 할아버지의 죽음. 할아버지는 큰아버지 댁에서 사셨다. 우리 집과는 100m도 안 떨어진 가까운 곳이었다. 할아버지에겐 손주들이 아주 많았다. 할아버지에 대한 가장 좋은 기억은 셋째 작은집 사촌 Y와 큰집에 놀러 가면 다락방에서 알사탕 한 개씩을 꺼내 어서 먹어보라고 웃으시던 모습이다. 안 좋은 기억도 한 가지 있는데, 큰집 사촌들 하고 우리 형제하고 패싸움(?)할 때 할아버지가 일방적으로 큰 집 언니들 편만 드셨던 것. 할아버지의 편들어 주기는 어린 마음에 충격이었다.


그랬던 할아버지가 돌아가셨다. 더 이상 할아버지를 볼 수 없다니 정말 슬프다. 근데 이상하다. 눈물이 안 나온다. 내 영혼의 단짝 사촌 Y는 눈물을 주룩주룩 흘리며 소리 내 울고 있다. 큰일이다. 팔을 꼬집고 손등을 꼬집어 봤지만 어림없다. 아무도 눈치채지 못하게 발등을 아프게 밟아봐도 눈물 한 방울 나오질 않는다. 할아버지 돌아가신 것이 분명 슬픈 일인데 눈물이 나지 않는 상황은 웬일인지 알 수가 없다. 아 낭패다. 그 후 오랜 세월이 흘렀지만 지금 생각해도 눈물을 흘리지 못해서 쩔쩔맸던 그 상황이 선명하게 떠오른다. 어린 시절 나는‘할아버지의 죽음이 전혀 슬프지 않았나?’ 어떨 땐 내가 나를 의심하기도 했었다.

35년이 지나고 아버지와 엄마를 1년 사이 모두 잃어버렸다. 소리 내 울고, 숨죽여 울고, 넋 나간 채로 눈물만 줄줄 흘리기도 했다. 당최 눈물을 주체할 수가 없었다. 슬픔이 파도처럼 굽이굽이 멈출 줄 모르고 찾아왔다. 장례를 치르면서 우는 건 당연한데, 한 참 시간이 지나서 찾아오는 상실감에 통곡도 여러 번 했다. 부모님을 다시는 볼 수 없다는 사실에 숨이 안 쉬어질 때도 있었다. 신체 일부가 떨어져 나갔다는 표현이 어느 정도 맞았다. 일상을 보내다가 갑자기 설움이 복받쳐 몸을 쓰러뜨려 구르며 울 때도 있었다.  다 큰 어른이 엉엉 소리 내 우는 걸 여러 번 목격한 남편과 자식들은 그때마다 조용히 등을 토닥토닥 해줬다. 그러던 중 그날도 라디오를 들으며 설거지하고 있었다. DJ가 어떤 사연 끝에 ‘이젠 볼 수가 없네요’라는 멘트를 했을 때,   갑자기 슬픔이 복받쳤다. 모든 사연이 내 사연이고 사랑 노래 가사도 내 부모님과 내 사랑을 말하는 걸로 들렸다. 주저앉아 엉엉 울고 있는데, 고등학생 아들이 방에서 나왔다. 근데 위로의 방식이 평소와 다르다. 나를 폭 안아서


“순아, 괜찮아. 괜찮아.”


하며 외할아버지 흉내를 낸다. 난 더 엉엉 울어버렸다. 그런데 뭔가 따뜻하다. 아버지가 안아준 듯 포근하다. 그 방식이 큰 위로가 됐다. 아버지가 정말 내게 위로를 건네는 것처럼 마음이 곧 가라앉았다. 이후로도 갑자기 엉엉 울고 싶을 땐 아들이나 딸을 불러 외할아버지 외할머니처럼 엄마 이름을 불러 달라고 했다. 그러면 정말 아버지와 엄마가 내 이름을 부르는 것 같았다. 그래서인지 갑작스럽게 통곡하는 순간이 줄었다. 더 시간이 흐르면서 자연스럽게 없어졌다.


어릴 때의 ‘죽음에 대한 감정’은 할아버지를 더 이상 볼 수 없다는 슬픔도 존재했지만 ‘두려움’이 더 컸다. 그 감정이 너무 강해서 슬픔을 삼켜버린 듯했다. 할아버지는 철없는 어린애의 시점으로 그렇게 보내 드렸다. 최근에 경험한 부모님의 죽음은 ‘깊은 슬픔’이었다. 손잡고 싶을 때 손잡고, 전화하고 싶을 때 전화하고, 성공했을 때 부모님의 자랑스러운 딸임을 알리고, 외로울 때 위안을 받을 수 있는 무조건적인 내 편이 사라졌다. 존재만으로 큰 힘이 되는 가장 강력한 지지자를 잃은 것이다. 더 이상 그들과 일상을 함께 할 수 없다. 여기엔 할아버지 죽음에서 느꼈던 두려움은 존재하지 않았다. 오직 슬픔만이 존재했다. 견딜 수 없는 슬픔은 나 스스로 멈추고 싶다고 해서 멈춰지는 게 아니라는 것을 이때 알았다. 앓을 만큼 앓고 나서 자연스럽게 없어지는 것임을 알게 됐다. 충분한 애도 기간을 가지고 슬퍼할 만큼 슬퍼했을 때 비로소 진짜 이별을 할 수 있다. 가까운 사람의 죽음으로 깊은 슬픔에 빠진 사람들에게 위로를 건네 본다.


“천천히 그리고 충분히 슬퍼하세요.”


#최초로겪은죽음 #최근에겪은죽음 #할아버지죽음 #부모님죽음 #두려움 #깊은슬픔 #충분한애도

작가의 이전글 게임의 여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