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바다현 Sep 09. 2015

착각쟁이들의 착각

나는 그들의 관심대상이 아니다

 출근시간 회사 엘리베이터에서 예전에 같이 일했던 PD님을 만났다. 오랜만에  만난 터라 반갑게 인사드렸다.

 "아 맞다, 나 다음에서 예지님 글 봤어."

 회사 직원들과 높은 상사분까지 많은 사람이 탄 엘리베이터. 유독 침묵이 짙은 것 같은 그 곳에서 PD님이 말을 꺼냈다. 어찌 대답해야 할지 몰라 순간 얼어버렸다.

 "아하핫... 그거 저 아니에요."

 "그 뭐더라? MD 어쩌고 저쩌고 하는 내용으로 쓴 거지? 아이디가 '쯔'였던가, '찌'였던가..?"

 미처 대답하기도 전에 PD님은 엘리베이터에서 내려 홀연히 사라졌다.


 그 날 많은 고민을 했다. 내 글을 읽었다니 기분이 좋기도 했지만, 내 얘기를 앞으로도 이렇게 계속 써 내려가도 좋을지 걱정이 됐다.  '내 얼굴이 나온 프로필 사진을 없애고 실명을 지우면 괜찮을까?' 혹시 실수 한건 없는지, 이상한 내용은 없는지, 몇 편 쓰지도 않은 글들을 반복해서 읽고 또 읽었다. PD님 말고도 또 내 글을 읽은 사람이 있을까? 그분의 한마디에 나의 비밀스러운 취미를 800명 전 직원에게 들켜버린 심정이었다.


 남을 의식하는 건 사실 나의 착각에서 비롯된 거다. 모두가 날 주시하고 있다는 착각. 내가 어떤 행동을 하는지, 어떤 옷을 입는지, 뭘 하는지 눈여겨본다는 착각. 잘 보여야 할 것 같고, 항상 단정해야 할 것 같은 부담감은 바로 그런 착각에서 비롯되었다. 하지만 세상 사람들은 나란 사람에 대해 그렇게 크게 관심 갖지도, 나무라지도 않는다는 사실. PD님 또한 내 글을   '봤다'고만 했지 못썼다고 비난하지도, 잘 썼다고 칭찬하지도 않았다. "봤다"라는 한마디로 나는 혼자서 얼마나 많은 상상을 했던가!


 다른 사람을 의식하느라 우리가 하지 못한 일이 참 많다.  반대로 남들한테 보여주기 위해 포장하는 일도 셀 수 없이 많다. 자기 PR에만 과열된 요즘, 솔직한 나의 모습을 내비치는 일은 쉽지 않다. 그렇다고 이제 막 시작한 일기 쓰기 취미를 이런 식으로 그만 두고 싶은 생각은 없다. 그들이 내가 하는 일에 관심 있을 거란 착각을 버리고 나를 위해 글을 쓰기로 마음 먹는다.


나 같은 착각쟁이에게 쉬운 일은 아니지만.


매거진의 이전글 직장 3년 차, 냉정과 열정사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