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바다그림 Oct 21. 2022

녹도문으로 추정하는 근거

-사슴 발자국을 보고 만든 것은 태고 문자(太古文字)

1. 녹도문으로 추정하는 근거     


앞서 필자는 일중삼족취(세 발 수리 三足鷲)와 월중섬여·토(달 속의 두꺼비와 토끼)를 녹도문으로 추정하였다.

녹도문(鹿圖文)의 글자를 한 자 한 자 보면 ‘사슴’과 ‘그림’과 ‘글’이다.

여기서 ‘그림’에 주목해 본다.

《환단고기》에는 아래와 같은 기사가 나온다.    

 

《환단고기》〈태백일사 소도경전본훈〉

『남해현 낭하리의 계곡 바위 위에 신시 시대의 옛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그 글에 “환웅이 사냥을 나가서 삼신께 제사를 올렸다”라고 하였다. 또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아득한 태고 시절에는 옛일들이 입에만 의지해 전해 오다가 오랜 세월이 지난 후에 그 형태를 본떠서 그림을 그리고 다시 그림이 변해 글자가 되었으니, 문자가 만들어진 근원은 나라의 풍속을 높이 받들고 믿은 데서 나오지 않은 것이 없다.』     


위에서 ‘옛일들’이라면 바로 역사 기록을 의미한다.

이 역사 기록을 ‘①구전’으로 전하다가 ‘②그림’으로 전했고, 다시 ‘③글자’로 전했다.

그런데 이 ‘③글자’는 ‘②그림’이 변한 것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도상’이 아닌 ‘글자’로 판명된 일중삼족취(세 발 수리 三足鷲)와 월중섬여·토(달 속의 두꺼비와 토끼)를 보면 바로 ‘그림’이다.

누가 봐도 그림이어서 여태껏 그것이 글자인 줄 몰랐을 정도로 그림 자체인 것이다.

글자로 판정하게 된 실마리인 ‘이두 코드’가 없었다면 어떤 언어학 천재라도 그것을 알아볼 수 없었을 것이다.     

앞서 녹도문에 ‘도(圖 그림)’가 들어가 있는 점이 의미심장하다.

녹도문이 그림문자일 수도 있다는 강력한 증거인 것이다.

그래서 필자가 알아봐서 ‘글자’로 판명되었지만 어떤 글자인지는 모르는 일중삼족취(세 발 수리 三足鷲)와 월중섬여·토(달 속의 두꺼비와 토끼)를 《환단고기》에 등장하는 글자 목록에 대입시킨다면 녹도문이 가장 합당한 것이다.     


2. 사슴 발자국을 보고 만든 것은 태고 문자(太古文字)     


그런데 녹도문(鹿圖文)이 사슴 발자국을 보고 만든 문자라는 의견이 있다.   

  

여기서 잠시 《규원사화》에 나오는 신지씨의 어떤 모종의 문자 창제 과정을 살펴보자.     


《규원사화》〈태시기〉

『또한, 신지씨(神誌氏)로 하여금 글을 짓게 하였다. 무릇 신지씨는 일생 임금의 명을 주관하는 직책으로 전적으로 출납과 임금께 헌체하는 업무를 하였는데, 단지 한낱 혀에만 의지할 뿐, 일찍이 글로서 기록할 방법이 없었다. 하루는 나가 다니며 짐승을 잡는데, 갑자기 놀라 일어나는 한 마리 암사슴이 있어 활을 당겨 쏘려고 하였으나 돌아쳐 놓치고 말았다. 그에 달아난 발자국을 좇아 휘저으며 사방 곳곳을 뒤지고 찾았지만, 여기저기 지나치고 산 변두리에 이르러서야, 평평한 모래톱에서 비로소 발견하게 되었다. 발자국은 어지럽게 찍혀있었으나, 향하는 쪽은 절로 밝혀지는지라, 이에 머리를 숙이고 무언에 잠기더니, 벌떡 일어나 부릅뜨고 살피며 말하길, “기록하여 보전하는 방법이로다!! 생각하니, 이처럼 가르는 것일 따름이구나! 이처럼 가르는 것일 따름이야!” 그날 사냥을 마치고 곧바로 돌아가 거듭 생각하고 생각하며, 널리 만물 현상을 살펴, 며칠 지나지 않아 깨달음을 얻어 문자를 만들어내니, 이것이 올바르게 한 가장 오래된 문자의 시작이다(是爲太古文字之始矣). 그러나 후세에 세월이 까마득히 오래되어서 이 ‘태고 문자(太古文字)’는 멸망하여 함락되고 존재하지 않으니, 억눌림 또한 그 짜임새가 지나침이 있고 완전치 못하여 그러하리라.』  

   

위 기사를 보고 녹도문이 사슴 발자국으로 만든 글자인 것으로 오해한 것이다. 

위 기사는 신지씨가 태고 문자(太古文字)를 만들었다는 내용이고 녹도문을 직접 언급한 바가 없다.

그리고 신지는 사관에 해당하는 관직명으로 대대로 여러 명의 신지가 존재하는 것이다.

위의 태고 문자는 그중에 한 명인 어떤 신지가 만들었던 것이었다.

그리고 이 태고 문자의 정체는 뒤에 밝혀지겠지만 녹도문이 아니고 ‘우서(雨書)’이다.

작가의 이전글 녹도문 재발견과 한자의 기원 규명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