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하 Aug 10. 2016

4등을 찾습니다

‘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


책을 출간한다.

SNS에 올라온 소식에 배가 아프다.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못된 심보인 걸 보니 나는 소인배라고. 그렇게 탓을 한다. 쿨하고 멋진 응원자 역시 되지 못한다. 나이가 들어 돈으로 밀어붙인 출간이 아니라면 더욱 샘이 난다. 여행기나 포토에세이 같은 걸 보면 뒤지지 않을 실력이라 자부하면서 왜 성공하지 못하느냐에 대한 끝없는 자학.


‘내 앞엔 반드시 누군가 있다.’ 그런 생각을 했다. 이 말이 과연 패배주의일까. 더할 나위 없이 좋은 1등을 빼고 모두가 불안한 삶에서 경주마가 된 꼴이니까. 그래서 우린 패자에게 손뼉 칠 여유가 없다. 승자에게 쳐 줄 박수도 턱없이 부족한 탓에. 여기에 관중은 결코 없다. 경주마를 구경하러 온 경주마들만이 남았다.



누가 4등이야?


해맑게 물었을 때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없었다. 국기가 올라가고 국가가 흘러나올 때, 그 순간 4등은 기억에서 사라진다. 금방까지 보던 3,4위 전에서 스쳐 지나간 그 이름은 아무개일 거야. 아무개는 옷을 갈아입으러 탈의실로 들어갔겠지. 조금 오래 걸릴 거야. 잠깐 울고 있을지도 몰라. 옷을 오래 갈아입는 것이라 생각해야지. 그렇게 아마 시상식이 끝나고서야 모습을 보일 거야. 그러니 조금만 더 내버려둬.


그런 거 몰라. 그렇게 채널이 돌아가면 거기서 끝.





금, 은, 동.


<아깝게 떨어졌을 거야.> <4년을 준비했는데.> <감동의 드라마.> 올림픽에 대한 여러 말들이 들려온다. 그 말, 말, 말. 공중파에서 중계 수익이 얼마니, 그런 이야기를 듣다가 배구 경기를 본다. 러시아에게 아쉽게 패배한 그 뒤로 여자 탁구 선수가 패배한 소식을 인터넷에서야 듣는다. 16강의 탁구는 그 시간, 중계조차 되지 못했다.


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이라고, 어느 개그맨이 만든 유행어는 결국 다큐멘터리가 되었기에. 더 이상 웃을 수가 없다. 목에 메달을 걸지 못한 이상 조용히 귀국을 해야만 하는 국가대표도 마찬가지라는 걸. 인생사 다 똑같다는 걸. 우리는 경쟁 사회에 살 수 있고 더 이상 4등을 사랑할 수 없게 되어버린 탓이다.


이기기 전까지의 그 기대는, 4등이 될 사람에게 기대를 불어넣게 되고 숨을 쉬게 하는 것. 그 열광을 보낼 곳을 필요로 하고 있다고. 마치 그것이 하나의 긁지 않은 복권처럼 사람을 미치게 만든다면 이기지 못한 것에 대해 비난하고 열 받을 필요가 없으니까. 나는 그 복권을 긁지 않은 채 행복해야지.

매거진의 이전글 두 마리 토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