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지금 여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백창인 Aug 30. 2020

90. 식량 분배

A, B, C, D 네 사람이 카페에 앉아있다. 각자의 자리 앞에 취향껏 고른 커피가 놓여 있다. 자리에 앉은 지 시간이 많이 흘러 잔에서 더 이상 김이 나지 않는다. 카페는 조명이 어두워 서로의 얼굴이 겨우 보인다. 창이 없는 지하의 카페다. 넷은 이야기를 오래 나눈 탓에 슬슬 할 말을 잃어간다.


A: 진부한 딜레마 얘기나 해볼까요, 심심한데.

B: (아무래도 좋다는 투로) 뭐 그러죠.


C, D도 대답은 없지만 동의하는 듯 A를 바라본다.


A: 전쟁이 났다고 가정해봅시다. 두 명이 한 집에 고립된 거죠. 식량은 제한되어 있고. 그런데 한 명은 말랐고 한 명은 뚱뚱합니다.

C: (말을 자르며) 어떻게 식량을 분배해야 하냐 이거죠.

A: 네, 그렇죠. 몸집에 맞게 차등 분배하거나. 정확히 반반 나누거나. 어떻게 생각하세요.

D: 글쎄요, 조금 애매하게 느껴지네요. (잠시 고민하다) 제가 누구인지를 모르니까요.

B: 뚱뚱한 사람은 후자, 마른 사람은 전자. 결국 이런 논리가 된다는 말씀이시죠.

C: (살짝 미소를 지으며) 뭐 아무래도 그렇게 되겠지만, 그런 식이라면 이 딜레마는 가치가 없으니까요.

D: (악의 없이, 정말 호기심으로) 그럼 어떻게 하면 여기에 가치를 부여할 수 있나요?

A: 상황적인 것은 그저 상황일 뿐이지요. 논리를 따져보자는 겁니다. 말하자면, 완벽한 외부자의 시선에서 둘에게 공정한 식량 분배를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

D: (곰곰이 생각하다가) 하지만 그런 논의야말로 저에게 전혀 와 닿는 것이 없네요. 전쟁 아래서 식량 분배를 하는 주체는 결코 외부자일 수 없으니까요. 둘 중 한 사람이든, 한 가족의 가장이든, 식량 배급을 맡은 정부 관료든. 그 역시 식량 분배를 받는 대상일 수밖에 없고, 그렇다면 공정한 분배 같은 건 기대하기 힘들 겁니다. 전쟁은 모두를 내부자로 만드는 재앙이며, 그 재앙을 저울대에 올려두고 논리를 따지는 것은 너무 많은 상상력을 요하는 일인 듯합니다.

B: 저도 D님 말씀에 동의합니다. 딜레마는 삶을 교란시켜 그 진상을 알기 어렵게 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삶을 벗어난 딜레마는 그 순간 교란하는 힘을 잃고 맙니다. 딜레마의 존재 자체가 또 하나의 딜레마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죠. 따라서 우리는 그 교란을 억지로 풀기 위해 삶을 이탈하여 궁리할 것이 아니라, 오직 딜레마가 어떤 불행을 함축하고 있는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딜레마는 말하자면 불행인 셈입니다.

C: (여전히 미소를 짓고 있지만 눈썹을 약간 찌푸린다) 흠, 좋아요. 그것도 재밌는 관점이네요. 식량 분배 딜레마가 담는 근본적인 불행은 무엇인가…….

A: 두 배고픔의 차이를 명확히 비교할 수 없다는 것. 배고픔을 수량화할 수만 있다면, 정확한 비가 계산될 것이고 그에 따라 식량 분배를 하면 되겠죠. 그러나 그런 계산은 불가능하고, 가시적인 몸집에 따라 대충 어림할 뿐입니다. 몸무게와 식성의 그 미묘한 괴리, 거기서 모든 것이 출발하지 않을까요.

B: 그렇게 된다면 오히려 시작점을 앞당길 수 있겠네요. 인간의 배고픔이 다르다는 것. 모두가 똑같이 배고프다면 차등 분배를 고민할 일도 없었을 겁니다.

D: 아아, 저는 좀 다르게 생각해요. 이 딜레마에서 가장 근본적인 불행은 전쟁, 아닐까요. 배고픔의 차이가 어쩔 수 없는 인간의 속성이라면, 그 속성이 인간을 잔인하게 만드는 것은 결국 전쟁이니까요.

C: 예리하시네요. 하지만 전쟁이 아니라도 우리는 필연적으로 식량 분배를 해야 합니다. 어떻게 보면 매일매일이 더 많은 식량을 위한 전쟁이죠. 왜 우리는 식량 분배를 멈출 수 없는가. 인간은 늘 배고프기 때문입니다. 이 딜레마에서 가장 근본적인 불행은 배고픔입니다. 말씀해주신 어쩔 수 없는 인간다움, 탯줄로부터 부여받은 그 배고픔이 우리 삶을 곱절로 더 어렵게 만든 것입니다.

B: 이미 진 게임, 이라는 말씀이신가요.

C: 삶은, 확실히 패배감이 드는 일이긴 합니다. 그러나 게임을 하는 상대가 없으니 절대 질 일은 없는 것이죠.


갑자기 D가 쿡쿡 웃는다.


C: (눈썹을 더 찌푸리며) 제 이야기가 그렇게 재밌습니까?

D: (미안하다는 표정으로) 아, 아닙니다. 단지 제가 근본적으로 불행해지기 시작해서요.

A: (시계를 보더니 멋쩍은 얼굴을 한다) 벌써 시간이 이렇게 되었군요. 저도 슬슬 배고파지던 참입니다. 이만 일어날까요?

C: (자리에서 일어나며) 예, 그럽시다. 적어도 오늘 저녁은 저희 모두가 배부를 정도의 여유가 있으니까요.


넷은 모두 일어나 카페를 떠난다. 반쯤 남은 커피들은 아예 차게 식어버렸다.

매거진의 이전글 89. 장마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