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고병철 Jul 02. 2017

62. 퇴사 이유

http://bbs.catholic.or.kr/bbs/bbs_view.asp?num=1&id=1837302&menu=4770


박본부장이 그만뒀다. 눈인사를 나누는 사이다. 사장님 대학, 직장 후배였다. 사장님한테 물었다. 나간 이유가 뭘까요? '약해 빠져서 그래' 하셨다.


박본부장님, 차 한잔 해요. 짐작할 거다. 굳이 묻지 않았다. 그냥 당구 치고, 맥주 마셨다. 동갑이다. 딸 하나에, 큰 애와 비슷하다. 이제 뭐 할 거냐 묻고, 잘 될 거라 말했다. 고맙다 했고, 나도 고맙고 또 보자 했다. 그는 새로운 회사에서 중국 법인으로 갔다. 심천, 우한으로 출장 갈 때, 말동무가 되고, 친구가 되었다


몇 년이 지났다. 큰 힘이 됐다 한다. 먼저 보자고 해 고맙고, 껄끄러운 걸 묻지 않아 고맙고, 뭘 할지 막막한데 투자자가 잘될 거라 해서 힘이 났다 했다. 왜 그만둔 건지 그때 말했다.


박본부장은 직장 후배 김상무를 영입했다. 아끼던 후배였다. 스타일은 완전 달랐다. 김상무는 스스로도 장돌뱅이라 했다. 얼마 안 있어 사장님은 김상무를 2 본부장으로 했다. 나란히 둔 거다. 전 직장 사수, 부사수가 이제 나란한 형태다. 묘한 구조가 됐다.  박본부장 사업에 힘이 실리면, 김상무 쪽은 순위가 밀렸다. 선의의 경쟁이라지만, 김상무와 그런 관계는 싫었다 했다. 사장님은 결국은 붙잡지 않았다.


퇴사한 직원, 그들은 시원하고 섭섭하고 아쉽고 불안하다. 뭔가 하고 싶은 말은 있는데, 마땅한 사람이 없다. 모르는 외부인에 하자니 이야기가 길다. 의미 있게 들어줄 사람이 필요한데 마땅치않다..그런 얘기 애써 들어봐야 한다. 의도는 걸려야겠지만, 심사역이 가까이 가야 한다.


그만둘 땐 나름 그만한 이유가 있다. 남들이 '뭐 그런 걸 가지고 그러냐' 그럴까 다른 이유를 댄다. 작은 문제가 누적되는 경우다. 본인은 참지 못 할 큰 문제가 되 버렸는 데도, 두번 말하기 창피하다. 알아만 주면 고칠 수 있다. 호미로 막을 수 있다. 어쩔 수 없이 외면하더라도 사장이, 심사역이 알아야 한다. 견고한 외양간도 시간이 지나면 허름해진다. 늘 손봐야 한다.


* 박본부장이 한국 올 때면 김상무와 늘 같이 만난다. 강산이 변해, 각자 다른 일을 하고 있다. 늘 성원하고, 잘 되기를 기원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61. 김치국은 나중에 마시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