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Vivresavie Feb 01. 2017

오늘도 울컥한 우리 모두 『싸울 때마다 투명해진다』

싸울 때마다 투명해진다 / 은유

                                                                                                                                                                                                                                                                                                                                                                                                              

                                                                                                                          

여자라는 본분, 존재라는 물음, 사랑이라는 의미, 일이라는 가치

                                                                                                                                                                                                                                                        


                                                                                                                       

'글쓰기의 최전선'부터 이어진 은유 작가의 세 번째 책이다. 2년 동안 세 권의 책을 써냈으니 참 부지런한 사람이다. 신간이 나온 걸 보고 무척이나 반가웠고 한 장 한 장 야금야금 아껴가며 읽었다. 언제나 그렇듯 그녀의 글은 곱씹어 읽고 되씹어 생각하게 하는 지점들이 많다. 다 읽고 한 권의 책을 덮기까지 나로 하여금 많은 시간을 공들이게 하고, 그녀가 쓴 단어와 문장들이 마음 구석구석에 맺혀 끝내는 천천히 스며들게 만든다.

'문득 일상을 전면 중지하고 홀연한 떠남을 꿈꾸는 몽상가', '시시때때로 아름다운 언어에 익사당하고 싶은 문자중독자', '밥벌이용 글을 써야하는 문필하청업자', '사람 만나 이야기하고 그 소소한 행복을 글로 쓰길 좋아하는 데이트 생활자'.

성별, 나이, 직업, 혼인과 출산 여부 등등. 한 존재를 설명하기에는 너무나 불충분하지만 우리 모두 한 번씩은 내뱉은 적이 있을 법한 시시껄렁한 정보의 나열이 아니라, 저 아름다운 말들로 자신을 설명하는 그녀의 자의식이 진정으로 부러웠다. 나는 어떤 말로 쓰일 수 있는 사람일까 생각하다 아직은 아무것도 확실하지 않다는 사실에 조금 침울해지기도 했다. 하지만 결국은 그녀와 비슷한 말로 쓰이고 싶다는 생각에 마음이 닿자 이 책이 더없이 소중하게 느껴졌다.                                                                                                            

  

                                                             

그 생명체가 제 앞가림할 때까지 나는 혼자 있을 권리, 차분히 먹을 권리, 푹 잘 권리, 느리게 걸을 권리 같은 기본권을 몽땅 빼앗겼다. 그런 전면적이고 장기적인 실존의 침해를 감내하다 보면 피폐해진다. 성격 삐뚤어지고 교양 허물어진다. 육아의 보람과 기쁨을 위안으로 삼기엔 그것과 맞바꿀 대가가 너무 크고 길다. : P31
                                                                                                                                                 
                                                                                                                                                                                                                                                              
나는 밥벌이를 간절히 원하면서도 거기에 붙들릴까 염려한다. 하이데거는 우리가 거주하는 이 세계의 일상성이 무너질까 두려워할 때 발생하는 것이 '불안'이라고 했는데, 나는 내가 거주하는 이 세계의 일상성이 강고해질까봐 두렵다. 김수영의 시구대로 "거리에 나와서 집을 보고, 집에 앉아서 거리를 그리던" 그런 어리석음을 동력으로 굴러가는 인생이다. : P 269          

  

                                                              

은유 작가는 여자, 특히 '엄마'인 여자로 살아가는 일과, 오롯한 하나의 존재로서 스스로에게 쏟아내는 많은 물음들, 사랑이라는 또 다른 생활방식과, 일하는 삶의 수고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녀는 '집안일에서 시작된 자신의 울컥이 세상일로 번졌고, 울컥이라는 존재의 딸꾹질을 글로 써서 진정시키고자 했다'라고 썼다. 그녀가 서른다섯부터 마흔다섯을 경유하면서 엄마, 아내, 딸, 노동하는 여성 등 수많은 모습으로 존재하는 자신을 추스르며 '삶이 굳고 말이 엉킬 때마다 어지러운 생각의 한 자락을 붙들고 늘어지며 적어간  투쟁 기록'이라 하였다.
                                                    

                            

                                                                    

부끄럽지만 나는 내가 열심히 산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생에 허천난 사람이었던 것 같다. 그렇지 않으면 살아지지 않는 줄 알았다. 사는 게 서툴렀다. 내 마음 얼마나 얼뜨고 거칠었나. 들볶았고 들볶였다. 물에 녹지 않은 미숫가루처럼 둥둥 떠다니는 감정의 건더기가 사래처럼 목에 걸린다. 삶의 속도 개선. 결에 따라 섬세하게 살피고 헤아려서 어떤 일은 느린 가락으로 어떤 건 빠른 템포로 살아야 한다. : P 151

                                                                                                     

                                                                                                                                                                           그녀의 글을 읽어 내려가다 보면 '분열', '분투', '투쟁'의 기록과 같은 다소 전투적으로 들리는 말이 결코 과장이 아니라고 생각하게 된다. 그만큼 자신의 존재와 삶의 많은 순간들을 허투루 흘려보내지 않으며 치열하게 고민하고 진지하게 이야기하고 있다는 생각에 절로 숙연해진다. 자기 삶에 대한 애정이 단단하게 뿌리내리고 있다는, 뼛속까지 자기 존재를 증명하려는 사람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싸울 때마다 투명해진다'라는 시구 같은 책의 제목처럼 그녀는 날마다 투명해지는 사람이겠구나 싶다. 투명해지는 일은 결국 스스로에게 진실하다는 것, 삶에 성실하다는 것, 존재 앞에 떳떳하다는 것의 다른 말이 아닐는지.           


                                                                                                                                                                                                                                                                                                                                                                                                                                                                                                                           

불편해도 괜찮았다. 나의 평범하지 않음, 소수성으로 인해 겪어야 했던 여러 갈래의 경험은 사회학이나 여성학, 철학을 공부하는 데 자양분이 되었다. 여자라서 불편한 게 많다 보니 피곤하긴 해도 '생각'하면서 살 수 있었던 것처럼, 고졸이란 신분도 그랬다. 덕분에 내가 누구이고 내가 어디 있는지 늘 되묻고 깨어 있어야 했으니까. 나는 잊고 살아도 세상은 잊지 않으므로 '그것'을 자주 생각해야 한다. 나는 평범하지 않은 것이다. : P116

                                                                                                     
                                                                                                                                                                                                                             

인생의 시기마다 사회적으로 마땅히 해야만 한다고 여겨지는 많은 '역할'에 매달리거나 발목 잡히지 않으며 살아가는 일은 얼마나 어려운가. 일상의 혼란 속에서도 자신을 잃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일은 얼마나 고된가. 그 어려움과 고단함을 모르지 않으면서도 나 또한 기꺼이 그렇게 살고 싶다. 그녀의 말대로 '인생의 꽃 시절은 짧고 삶은 예상했던 것보다 오래 지속'되지만, 날마다 조금씩 투명해지고 내 스스로 떳떳할 수 있도록 힘을 내어 싸우며 살고 싶다.                                                                                                                                                                                          


                                   

애매함으로 둘러싸인 우주에서 확실한 감정은 자주 오지 않는 법이라 했는데... 내 품. 숱한 그리움의 모서리들로 가슴 터져 나가던 그때도 좋았지만, 시시하고 단조롭게 흘러가는 적막도 그리 나쁘지는 않다. 고요함과 나태함 사이. 지금은 간신히 아무도 그립지 않을 무렵. 그 숨죽인 시간을 산다. : P 195
                                                                                                                            

                                                                                                                                                                                                                                                                                                                              

안전한 삶보다 모험적 사랑에 존재를 던지는 선택은, 지리멸렬한 관계의 파고를 넘는 평범한 삶만큼 존중받고 보존되어야 할 사랑의 역사가 아닌가.
합리성과 익숙함으로 최적화된 세상에서 인간 정신은 갈수록 쪼그라들고 있다. 그러니 기형도 시인의 시구처럼 "사랑을 목발질하며 " 살아가는 희귀종들을 그냥 살게 두면 안 될까 싶다. : P 200

                                                                                                     



매거진의 이전글 고요를 기를 수 있는 힘 『소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