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불행 속에, <꿈의 제인>
소현은 왜 이토록 사람을 갈망하는 것일까.
얼마 길지 않은 작품을 보는 내내 생각했다. 소현에게 종호 오빠의 의미, 그리고 그 의미가 벗겨져버린 소녀가 의지할 데라곤 없는 세상. 소현은 시시한 행복을 갈망했다. 사람들과 둘러앉아 밥을 먹고, 달을 보고, 공기를 마시고, 잠을 자고 하는 것. 자신 곁에 그냥 누군가가 있는 것. 그 누군가와 함께 있는 자신이 괜찮은 것.
<꿈의 제인>에 등장하는 '팸'문화는 그 이름부터 호칭까지 모두 이질적이다. 집을 제공하는 사람을 중심으로 갈 곳 없는(흔히 가출한) 아이들이 모이고, 아이들은 집주인을 '엄마' 혹은 '아빠'라고 부른다. 그들은 생계를 위해 함께 부도덕한 일을 하고, 아르바이트를 하게 된다면 그 일당을 함께 나누는 것처럼 보인다.
주인공 '소현' 역시 가출한 듯 하다. 작품은 소현이 왜, 어떠한 이유로 팸을 떠도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주지 않는다. 종호 오빠에게 버림받았다는 사실뿐.
또, 소현은 사람을 갈망한다. 혼자 남겨지는 것을 두려워한다. '같이' 있고 싶어 한다. 허나, 소현은 사람들과 어울리지 못한다. (작품 속 서사의 순으로) 제인과 헤어지고 소현이 머물게 된 팸의 한 멤버의 말처럼, 소현은 팸에 속할 성격이 되지 못한다. 그럼에도 소현은 왜 이토록 사람을 갈망하는 것일까.
'제인'은 생각보다 빨리 사라졌다. 제인이 뱉은 '안녕, 돌아왔구나'라는 첫 대사로, 상영관에 있었던 꽤 많은 사람들이 웃었다. 나 역시 어색함을 연기하는 듯한 구교환 배우의 자태에 웃음을 흘렸고, 서사가 흐를수록 온전하지는 그의 제인에 감탄했다.
사실 <꿈의 제인>을 개봉하자마자 봐야겠다고 다짐한 데에는, 구교환 배우의 역할이 컸다. 그의 모습을 <방과 후 티타임 리턴즈>, <플라이 투 더 스카이> 등의 단편에서 심심치 않게 접했으며, 그가 연기하는 제인에 대한 좋은 평을 여러 지면을 통해 접하기까지 하니, 이건 꼭 봐야겠다고 여러 번 생각했던 것 같다. (조만간 <우리 손자 베스트>를 구해볼 생각이다.)
몇 영화제에서 그를 만나면서, 내게는 구교환 '감독'이라는 호칭이 훨씬 자연스러웠다. 하지만 <꿈의 제인>을 보고 나서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그에게 연출과 연기 중 하나만 선택해서 해야 하는 상황이 생긴다면 오랜 고민 끝에 연기를 골라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제인의 손짓이, 눈빛이, 움직임 하나하나가 너무 좋아서, 제인이 사라진 후의 <꿈의 제인>은 먹먹하고 속상하기 그지없었다. 소현도 그러했겠지. 제인과 함께한 시간이 그녀의 꿈이었건, 현실이었건.
소현이 제인의 품을 그리워한 이유는, 제인은 소현이 하지 못하는 것을 하기 때문이다. 왜 일을 시키지도 않으면서, 팸 아이들을 데리고 사냐는 소현의 질문에 제인은 이렇게 답한다.
인생은 불행의 연속이고, 그 불행 속에서 아주 가끔 행복이 점처럼 찾아오는 거야. 이 불행한 세상 혼자 살아서 뭐하니, 그래서 같이 사는 거야.
제인은 불행을 불안해하지 않는다. 어차피 행복하지 않을 것이고, 불행하게 살 것이니 그녀가 할 수 있는 건, 단지 드문드문 점처럼 찾아 올 행복을 기다리는 것뿐이다.
소현은 그러지 못한다. 아니 사실 소현이 행복을 바란 것처럼 보이진 않는다. 단지 불행을 견뎌낼 힘이 없었던 것뿐. 그래서 소현은 그렇게 제인을 갈망했다. 그토록 불안정한 상태인 제인이 소현에게는 유일한 온전함이었던 것이다.
영화를 보고 나오는 길에 함께 상영관에 있었던 사람들과 엘리베이터를 타게 됐다. 그들은 '무슨 내용인지 이해가 잘 안돼', '아니 왜 지수랑 소현이는 처음 만난 것처럼 군거야?' 등의 이야기를 나누더니, '아! 다 상상이네!!', '소현이만 너무 불쌍하네!'라고 결론짓고 홀가분하게 극장을 떠났다.
함께하고 싶은데 그 방법을 모른다며 울부짖던 소녀는 작품의 엔딩에서 누구보다 행복한 미소를 보인다. 왠지 소현의 그 미소는 작품 내내 그녀를 안쓰럽게 바라봤던 관객들에게 '그래서 당신은 괜찮으신 거냐'라고 묻는 것 같았다.
지수도, 대포도, 쫑구도, 소현도, 그리고 제인도 모두 괜찮지 않은 사람들이었다.
<꿈의 제인> 속 모두의 괜찮지 않은 모습을 보고, 그들의 불행을 통해 위로 비슷한 느낌을 받았다면, 이것 또한 긴 불행의 선 중에 점처럼 찾아오는 행복 중 하나가 아닐까.
아주 오랜만에, 상영관을 나오자마자 별 다섯 개를 입력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