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프리다’ 리뷰
뮤지컬 '프리다'가 온몸이 부서지는 고통 속에서도 그림으로 삶을 그려낸 여성 예술가의 삶을 무대에 펼쳐낸다. 모든 차별과 고통이 덮쳐와도 그저 버티고 나아가는 것만으로 충분했던 그의 인생이 모두에게 거친 세상으로 걸어 들어갈 용기를 선사한다.
EMK의 오리지널 뮤지컬 '프리다'가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에서 월드 프리미어로 공연 중이다. 이 작품은 혁명의 물결이 넘실거리던 1900년대 초반 멕시코의 여성 예술가의 삶의 궤적을 따라간다. 특별히 프리의 내면을 형상화한 세 명의 관념 캐릭터를 통해 여성 4인극으로 만든 연출이 더없이 극적이면서도 에너지가 넘치는 그의 삶을 오롯이 표현해냈다.
관록의 배우 최정원의 원맨쇼에 가까운, 경이로운 연기
뮤지컬 '프리다'는 멕시코의 여성 화가 프리다 칼로가 생의 마지막에 펼쳐지는 '프리다 라스트 나잇 쇼'를 통해 그의 삶을 돌아보는 형식을 취한다. 극 중 프리다 역의 최정원은 인생의 마지막 쇼에서 화려하게 등장해 인생을 관통하는 고통과 아픔, 환희, 불행, 외로움, 행복을 모두 표현한다. 그의 내면의 자아 데스티노(임정희), 레플레하(전수미), 메모리아(황우림)가 무대에 함께 등장해 삶의 변곡점마다 프리다에게 중요했던 존재들을 맡아 연기한다.
최정원은 프리다 칼로 역으로 원맨쇼에 가까운 분량을 소화하면서도 혁명 그 자체였던 프리다의 삶을 무대 위에 힘차게 그려낸다. 소아마비와 최악의 교통사고를 겪고 몸이 부서진 채로도, 침대에 누워 붓을 든 프리다의 생명력을 생생하게 느끼게 해 준다. 멕시코의 영웅적인 예술가였던 디에고 리베라와 사랑에 빠질 때의 환희, 사랑 앞의 선 무력감, 용기는 물론 그의 배신에 몸부림치는 모습까지 그가 거쳐가는 모든 감정이 극장을 관통한다. 나이가 들어도 꺼지지 않는 대배우의 잠재력과 역량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데스티노 역의 임정희는 끊임없이 프리다의 삶을 뒤흔드는 절망을 가져다주지만, 언제나 그의 선택을 지지하고 때로는 조언하는 믿음직한 존재를 빚어냈다. 레플레하를 연기한 전수미는 프리다의 열렬한 사랑, 디에고 리베라로 무대 위에서 묵직한 존재감을 과시한다. 특히나 프리다를 유혹하기 위해 준비한 열정의 탭댄스가 일품이다. 메모리아 역의 황우림은 프리다가 상상하는 평행세계의 또 다른 자신으로, 항상 그의 편에 서서 희망의 메시지를 보낸다.
가혹한 운명이 수없이 닥쳐와도, 용기를 잃지 않는 법
어릴 적에 소아마비로 다리가 불편하고, 17세에 참혹한 사고로 온 몸이 부서진 프리다는 어쩌면, 누군가에겐 모든 걸 포기해야 마땅한 사람이다. 하지만 프리다는 삶을 놓지 않았고, 침대 위에 달린 거울을 보며 그림을 그렸다. 프리다의 '그리는' 행위는 마치 삶을 그려나가는 일 그 자체였다. 자연히 '그리다'라는 동사는 프리다를 통해 가장 직관적으로, 중의적으로 표현된다. 프리다는 희망이라곤 찾을 수 없어도, 죽음이 매일 침대 위를 맴돌아도 살기를 택했다. 그런 그의 다짐은 이 삶을 비극으로만 그리지 않은 연출기법과 만나 빛을 발한다.
단 하나의 사랑 디에고를 향해, 불행을 예감하면서도 묵묵히 걸어 들어간 용기도 더없이 인상적으로 표현된다. 이 신에서 프리다는 "사랑은 종교"라고 말하며 '순교'를 택한다. 비장하면서도 웅장한 넘버, 프리다의 비범한 용기와 다짐은 새로운 감동을 객석에 불어넣는다.
신체의 부자유, 남녀 간 위계, 계급 차별까지 고난이 덮쳐와도 그저 버티고 나아가는 것만으로 충분했던 프리다의 인생은 투쟁과 혁명 그 자체였다. 이 사실을 인정하는 순간, 전쟁 같은 일상을 마주하고 담담히 버텨낼 작은 깨달음과 용기를 얻게 되는 듯하다. 오는 5월 29일까지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에서 공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