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준민 Mar 13. 2023

Grounded design(근거기반 설계)

교수학습이론과 실제 수업 리뷰입니다.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해서 에듀테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교공학적 지식을 더 키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서 이번에 <교수학습이론과 실제>라는 수업을 수강하게 되었습니다. 이전에 메타버스에 저희 회사의 <건강한 취준> 맵을 개발하고, 참가자분들의 실행과정을 성찰하는 Action research(실행연구)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해주신 교수님이기도 했습니다.

 어쨌든 교수님이 매주 수업 전에 읽기자료를 요약 및 비판하라고 부탁하셔서 올려보고자 합니다. 이번 주차는 Grounded design, 근거기반 설계에 대해 다뤘습니다.

     

1. 정의 

인간 학습에 관하여 기존의 이론과 연구에 뿌리를 둔 과정과 절차를 체계적으로 실행시켜 설계하는 것을 말하며, 바탕이 되는(groundeing) 이론적인 준거 틀 속에서 더 나은 설계의 의사결정을 하도록 한다.      

2. 근거기반 설계에 기반한 효과적 설계

설계자가 그 설계에 토대가 되는 이론에 대해 반성적으로 깨닫고 그 핵심적인 기초와 가정을 이해하여 학습환경을 설계할 때 가능하다.      

3. 설계의 틀 다섯가지 기반

1)심리학적 2)교육학적 3)기술적 4)문화적 5)실용적     

4. 네가지 기본적인 조건

1)학습이론의 근거 2)학습이론의 연구결과와의 일치성 3)다양한 상황에의 적용 가능성 4)연속적인 수행을 통한 설계의 조정     

5. 근거기반 설계의 시사점

근거기반 설계는 인식론적 관점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설계 활동에 적용될 수 있지만, 학습자 중심의 학습환경 설계에 유용한 설계의 틀로써 사용될 수 있다. 학습자 중심의 학습환경 설계는 구성주의 인식론적 관점과 연계되며, 학습의 결과는 의미의 구축과 재창조이기 때문에 학습자의 실천적 경험이 중시된다. 따라서 학습자 중심 학습환경을 설계할 때에는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경험을 제공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감성적이고 즉흥적인 설계를 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학습과 교육에 기반을 둔 이론에 근거한 설계를 해야 한다.

또한 근거기반 설계에 기반한 학습설계가 일반화하고 다른 설계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된 적용과 타당화 작업(양적/질적)이 필요하다.      


쟁점

근거기반 설계가 감성적이고 즉흥적인 설계가 아닌 확실한 이론에 근거한 설계를 한다는 점에서 ‘신뢰 할만하다’는 점이 장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학습설계를 하나의 이론에만 맞춰 설계하려고 했을 때, 그 이론 밖에서 상상할 수 없게 만드는 한계도 있다고 여겨집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면서도 동시에 근거기반 설계의 장점을 취하기 위한 연구방법론은 무엇일까요?


근거기반 설계와는 반대되는 입장에 있는 근거이론은 현장에서의 실천을 기반으로 새로운 이론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근거기반 설계와 근거이론을 블랜디드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나는 누구인가: 무엇을 세련화하고 있는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