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준민 Apr 09. 2023

사회인지이론 논문 리뷰

사회적으로 학습한다는 것은 뭘까?

첫 번째 논문 : 이경은(Lee Kyung Eun);홍승희(Hong Seung Hee). (2021). 시뮬레이션 교육의 동영상 관찰학습 활용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4), 77-92.    


연구주제 

-시뮬레이션 교육의 사전브리핑 단계에서 동일한 시나리오 구현에 관한 동영상 관찰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 수행자신감, 학습자신감 및 디브리핑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는 무엇인가?     


이론적 배경     


1. 간호교육에서의 시뮬레이션 교육

-임상현장과 비슷한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환자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모의활동을 통하여 간호대학생들에게 반복학습, 피드백, 평가 및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교수학습법

-이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 스스로 문제 해결 학습이 일어나도록 하는 인지적 과정이며 역동적인 교수학습법

-학습자들이 구체적인 경험에 대하여 분석하고, 관찰과 반성을 통하여 원리를 도출하고 새로운 행동을 시도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행동변화와 성장을 하게끔 하는 일종의 경험학습과정

-Stoker와 Jeffries는 학습자들이 시뮬레이션 교육을 반복하여 경험할수록 학습몰입이 강화되고, 학습능력과 임상수행능력이 향상되어 학습자들의 학습자신감, 수행자신감 및 학습만족도가 향상된다 하였다.     


2. 시뮬레이션 교육의 핵심 요소 디브리핑

-시뮬레이션 구현과정에 대하여 학습자와 교수자 사이에 구조화된 성찰과 피드백을 통하여 의미 있게 구조화하는 단계

-전문성이 부족한 학습자들이 자신이 수행한 행동에 대해 분석하고 의미 있게 구조화하기에는 시간적 제한으로 인하여 만족스러운 디브리핑을 수행하기에 무리가 있다. 

-즉, 환자와의 상호작용과정을 스스로 관찰하며, 학습자가 직접 잘된 점과 보완할 점을 찾을 수 있을 때 학습자의 디브리핑 만족도가 높아진다. 


3.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인간은 고도의 인지적 능력을 가지고 있어 영화, TV 등의 시각적 매체를 통해 타인의 행동을 관찰, 모방하여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만의 행동으로 실행하기 때문에 관찰학습은 매우 중요

-간호대학생들에게 시뮬레이션 사전브리핑 시간에 동료 팀의 동일한 시나리오 구현과정을 촬영한 동영상을 관찰하게 하는 동영상 관찰학습으로 시뮬레이션 상황을 먼저 관찰, 경험하는 효과를 줄 수 있으며, 학생들 스스로 인지과정을 통하 모방을 하게 되어 시뮬레이션 학습과정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 추론할 수 있다.      

연구결과

-사전 브리핑 동영상 관찰학습 활용은 간호대학생의 수행자신감, 학습자신감 및 디브리핑 만족도 향상을 위한 효과적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시사점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정해진 절차’가 있는 경우, 시나리오 교육을 행하게 된다. 이때 시나리오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반듀라의 사회학습이론을 적용하여 미리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동영상을 관찰하게 하는 것이 효과적인 학습방법이 될 수 있다. 

-몰입감을 더 높이기 위해서 스토리텔링이 강화되면 더 좋지 않을까?     


두 번째 논문 : Muro, M., & Jeffrey, P. (2008). A critical review of the theory and application of social learning in participatory natural resource management processes. Journal of Environmental Planning and Management, 51(3), 325-344.     


연구문제

(1) What is social learning, what processes does it entail and what is actually learned?

(2) Why is social learning considered to be particularly relevant or useful to

participative planning in the context of natural resource management?

(3) What evidence is there for the claims outlined in (2)?     


연구결과

-사회적 학습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문제에 대한 ‘공통의 이해’를 위한 기초를 형성할 수 있는 관계개발, 집단행동, 플랫폼 구축 등을 통해 이뤄진다. 

-결국 다양한 개인이 참여하여 집단적 결정을 내릴 수 있는 학습 플랫폼을 구축하고, 그 안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이 이뤄지고, 의사결정이 이뤄지는 것.      


시사점

국가교육위원회 연구 프로젝트로 핀란드에서 30년 간 교육과정 개정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연구보고서를 작성한 적이 있다. 이때 핀란드 교육과정 개정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부분이 ‘공동의 이해’였다. 뇌과학, 인류학, 사회학, 생태학 등의 학문을 기반으로 기초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교육과정 개정에 참여하는 모든 이들이 볼 수 있는 플랫폼에 올릴 뿐만 아니라 학습을 시켜 ‘공동의 이해’를 이끌기 위한 기초작업을 한 것이다. 나아가 실제로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토론이 진행되는 과정에서도 누구나, 언제든지 플랫폼에서 ‘이런 부분은 이런 이유로 이렇게 수정되었으면 좋겠다’는 언급을 할 수 있었다. 

물론 국민의 수가 적고, 한국만큼 이데올로기 간 대립이 심하지 않은 사회/문화적 차이가 있겠지만, 결국 공동의 이해를 기반으로 교육과정 개정을 하는 과정이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학습’의 과정이 아니었나 싶다. 


#사회인지이론 #반듀라 #관찰학습 #시뮬레이션교육 #공동의이해 #플랫폼 #사회적학습

작가의 이전글 구성주의 논문 리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