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별별 Nov 21. 2016

일상을 마주해야만 한다

키르기즈스탄에서 존재의 이유 찾기


한국을 떠나오자마자 시끄러워진 한국, 그리고 너무 함께하고 싶었던 집회였기에 더욱, 토요일마다 페북 라이브를 티비처럼 틀어놓고 지냈다.


소용이 없다는 걸 알지만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건 기껏해야 이런 류의 '간절히 지켜봄'이다.


한국에 있었어도 내가 할 수 있는 건 기껏해야 '시위에 참석해서 간절히 지켜봄'이었겠지만, 사람들과 함께 동지애를 나눌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차이점이다.


곰곰히 생각해보면, 내가 이토록 무력감을 느끼는 건 사람들과 함께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사회의 변화를 이끌어내기보다는 그저 소속감의 박탈이 제일 컸던 것이다. 솔직히 말해.



나는 이곳에 왜 온 걸까.


떠나기 전 어떤 이가 물어보았다.
"도대체 무슨 큰 꿈을 꾸길래 가려고 하는 거예요?"


딱히...딱히.

심지어 그 질문이 나를 비꼬는 것처럼 들렸다.


큰 꿈도 없었고 단지 생각의 경로가 조금 달랐을 뿐, 1도 차이의 간극이 나중에는 크레센도처럼 매우 커졌을 뿐. 나도 이렇게 되리라곤 불과 몇 달 전까지는 실감하지 못했다.


이런 나에게 '무슨 큰 꿈'을 바라겠나, 나 스스로에게도 설득하지 못한 지금의 결과에 대해서.


내가 진정으로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 아직 알지 못한다.


처음에는 그게 자유라고 생각했는데, 또다른 일상이었던 것일지도 모르고, 더 많은 좋은 사람들인 건지도 모른다. 어쩌면 예측 불가능한 삶인지도 모르겠다.


내가 무엇을 바라는지 그것을 알기 위해서 온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마음 편하다.



소속감. 나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찾아 헤매던 것.


가족이었고 대학이었고 직장이었고 마산이었다. 여성이었고 내 나이 또래 사람들이었다. 또한 (애증이었지만) 서울이고 한국이었다.


아직까지 마음이 붕 떠 있는 것은 그놈의 소속감을 찾지 못해서일 것이다.


현지어를 배우다가 너무 힘들어서 뭐라도 좀 사먹으려고 매점 앞을 갔는데, 사람들을 헤치고 초코바 하나 달라는 말을 못할 때, 눈물이 찔끔 나왔다.


나는 이곳에 겨우 이방인일 뿐이었다.



계좌가 막혔다는 것을 알았을 때


해외 IP주소 차단서비스때문에 내가 내 계좌를 이용하지 못하다니...


바쁘다는 핑계로 축의금도 제대로 주지 못한 친구들에게 민폐였고, 정산하지 못한 카드비와 통신비는 결국 부모님이 다 내 주셔야만 했고, 모아둔 돈을 쓰지 못한다는 사실에 엄청난 불안감이 밀려왔다.


진정한 무급 봉사자의 마음가짐이 되어있지 않았던 것이다.


믿는 구석이 없게 되자, 소속한 곳이 멀어지게 되자, 나는 무척 혼란스러운 상태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요며칠 눈은 펑펑 나리고, 얼어붙은 나뭇가지, 앞이 보이지 않는 도로, 창밖을 바라만 보는 무기력함을 더해 세상에 이런 고립무원이 없을 것만 같았다.


여행자 코스프레는 이제 끝났다.


내가 여기 온 이유는 까뮈의 "햇빛이 너무 눈부셔서" 이 주옥같은 한 마디를 몸소 이해하기 위해서이다.


일상은 지루한 것 또는 아름답기만 한 것이 아니라, 거친 현실일 수도 있다고 누군가에겐 미운 일분 일초가 될 수가 있다고 그렇게 일상을 또 다르게 바라본다.


이곳에 집중해야 겠다는 생각은 마음만 마음 뿐이었는데 이젠 페이스북 앱을 지웠다.(내가 앱을 지운 게 어디 한두번인가마는) 


미운 학생을 대하는 선생님처럼 인내심을 갖고 이곳에, 이 아직도 낯선 곳에 먼저 다가가려고 노력해야 한다.





어젯밤 12시간을 잤는 데에도 근심걱정덜어지지 않고 세상엔 더욱 더 눈이 쌓여 있다.


또다시 나는 평범한 이곳의 일요일 정오를 마주하고 있다.


그렇게 나는 다시 브런치로 돌아왔다.


20. Nov. 2016.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