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BIGMAC bro Mar 04. 2024

'전생'과 '인연'에 대한 새로운 로맨스영화

영화 <패스트 라이브즈> 후기


한국에 살고있는 동갑내기의 

초등학생 소년과 소녀가 있었다.


나영이라는 여자아이의 집은

캐나다로 이민을 가게 되었고,


해성이라는 남자아이는 시간이 흘러 

군대에서도 나영이를 떠올린다.



시간은 12년이 흘러 우연한 기회에 

온라인으로 다시 연락이 닿게 되었고,

잠시 그렇게 옛날처럼 즐겁게 떠들며 지내지만-


서로 다른 시차와 환경, 떨어져있는 거리, 

하고 있는 일 등의 현실적인 장애로 인해

감정이 점점 희미해지는 것 같다.


그렇게 잠시 연락이 끊겼던 두 사람은 

또 다시 12년이 지나고 뉴욕에서 재회를 하게 되는데...




우리는 누군가가 잘되면

"전생에 나라를 구했나?" 라거나


누군가와의 묘한 관계를 느낄 때

"이것도 인연이네~" 라는 말들을 자주 쓴다. 

익숙하게.



이 영화는 그런 '인연' 과 '전생' 에 대한

관념적인 이야기를 셀린 송 감독의 

자전적인 이야기에 섞어 두 남녀는 통해 보여준다.



이런 동양적인 윤회사상의 이야기를 다룬다고 해서 

정말 전생의 관계를 판타지 처럼 보여준다거나, 

회상씬이 교차하는 연출로 표현하지 않고 

현실적이며 덤덤하다.


(사실 이게 우리에겐 평범한 단어와 개념이지만,

확실히 서양 문화권에서는 진기한 주제인가보다 ㅋ)



지금까지 살면서 어떤 사람과 내가

전생에 이랬을까? 우린 어떤 인연일까?

하고 깊게 이야기 해본적이 없던 것 같은데

이 영화를 통해서 되짚어 보게 됨.


'인연' 에 대한 개념을 노라(나영)와의 관계에 

무의식적으로 적용하는 해성.

'인연' 이라는 단어는 작업용 멘트라는 노라.


분명 둘의 입장은 문화적인 차이가 있는

성장환경 속에서 다르게 이해가 되는 듯 하다.



어쩌면 나영(노라)이가 계속 한국에서 자라났더라도, 

대상에 대한 호감도나 관계적 깊이에 따라 그 의미가

상대적인 개념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음.


이런 관념적인 이야기를 상당히 덤덤하게, 

감정적인 파고가 크지않게 풀어나가며

둘의 관계와 입장을 보여준다.



"이번 생에는 맺어지지 못했으니, 

다음 생에는 아무 사이도 아니겠네??"


라는 대사처럼 인연과 전생에 대해서

좀 더 깊게 고찰해보고 새로운 관점으로

들여다 볼 수 있는 부분들이 신선했음.


기존의 로맨스 영화와는 다른 느낌도 색달랐고,

감성적인 화면연출도 좋았던 영화였다.


마지막 장면이 매우 인상깊었던.



아쉬웠던 부분은 그레타 리의 어색한 한국어가 

살짝 신경쓰이던 것과 영화의 주된 관점이 


캐나다로 이민을 간 노라의 정서여서 그런지

해성이라는 인물이 너무 과거에 얽메여있는

사람처럼 보여지는 느낌이었다.



관람 후 많은 생각들이 돌던 영화였음.


작가의 이전글 프렌치 불독, 짐빔 위스키가 좋아지는 영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