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승 가능노선 - 3호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서해선의 연장 개통으로 새로운 시종착역이 된 대곡역은 일산역까지 연장되기 전, 서해선의 모든 역에서 언급되는 역으로 거듭났다. 대곡~소사선 구간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이 역은 기존에 운행하던 경의중앙선의 승강장을 변경시키는데도 일조했다.
현재 대곡역에서 다음 역인 능곡역까지는 경의중앙선과 같은 경로로 이동 중인데, 앞으로 개통할 대곡역~일산역 구간과 달리 각각 독립된 선로를 사용 중이다. 그래서 시간에 따라 두 열차가 동시에 움직이는 모습도 볼 수 있다.
대곡역은 이처럼 경의중앙선과 서해선은 물론 가장 먼저 전철역으로 개통한 3호선(일산선)까지 3개 노선이 모두 지상으로 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공교롭게 늦게 개통한 노선일수록 열차 간격이 기존 노선에 비해 길어지고, 열차 편성이 짧아진다는 것도 특징이다.
◆ 시간에 따라 변화해온 대곡역 승강장
처음 개통 때부터 승강장의 변화가 없었던 3호선과 달리 경의중앙선 구간은 많은 변화를 겪었다.
우선 경의선으로 개통했던 초창기와 달리 지금은 중앙선과 직결운행으로 이어져 노선도 경의중앙선으로 바뀌었다. 여기에 쌍섬식 승강장임에도 불구하고 가운데 승강장인 2, 3번 승강장만 열차가 정차하던 초창기 모습에서 서해선 공사로 측면 승강장인 1, 4번 승강장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그 자리는 이제 서해선의 개통과 함께 서해선 열차 전용 승강장으로 바뀐 것이다. 대곡역까지만 운행하는 열차는 이곳에서 회차를 해야하는데 아무래도 측면보다는 가운데서 하는 것이 경의중앙선 열차 통행에도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 모든 변화를 한 눈에 확인 가능한 것이 열차의 현재 위치를 표시한 환승통로의 열차 안내다. 2, 3번 승강장만 사용하던 경의중앙선이 1, 4번 승강장으로 옮겨 그곳만 열차가 들어왔다. 그러다 이제는 1~4번 승강장에 모두 열차가 들어오는 장면을 보게 된 것이다.
반쪽만 사용하던 대곡역 승강장이 이제 드디어 온전하게 모든 곳에 열차가 진입하게 된 것이다.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열차끼리는 바로 맞은편 열차를 갈아탈 수 있게 되어 경의중앙선과 서해선 간 환승은 꽤 편리한 편이다.
특히 서해선 열차를 타고 온 승객이 일산, 문산역 방면으로 갈 때나 경의중앙선 열차를 타고 온 승객이 소사, 원시역 방면으로 갈 때 일명 ‘바로 타’ 환승을 경험할 수 있다.
반면 서해선 이용 승객이 용산, 용문역 방면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승강장이 가까이 있으나 좁은 통로로 인해 이동하기 불편함을 겪을 수밖에 없다. 만약 이 경로로 이동하려면 차라리 이전 역인 능곡역에서 환승하는 것을 추천한다.
물론 능곡역도 이 경로는 대합실을 경유해야 환승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동시간은 비슷하다.
◆ 사라진 경의중앙선 역 명판
경의중앙선 대곡역은 서해선의 승강장을 공사할 때만 해도 분명 역 명판이 있던 역이었다. 그러나 서해선이 개통한 이후 역 명판을 철거했는지 볼 수 없게 되었다. 마치 수인분당선 개통 이후 4호선과 공용구간의 시작인 한대앞역의 역 명판이 사라졌던 것을 보는 느낌이다.
한편 3호선 승강장 및 환승통로 초입부에도 서해선이 반영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나가는 곳과 함께 표시한 환승 노선 안내에는 하나의 노선이 더 들어올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놓았다. 지금도 승강장 밖으로 보이는 공사현장이 대곡역에 더 많은 노선을 볼 수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여전히 주변은 역세권이라 하기에는 너무도 휑한 경치지만 최소 4개 이상의 노선이 운행될 예정이라는 점에서 대곡역이 어떻게 변할지 궁금해진다.
◆ 병목현상의 가속화를 부른 환승통로
서해선의 대부분 역이 그렇지만 대곡역은 안 그래도 병목현상이 심한 경의중앙선 승강장 대합실을 공유하기 때문에 승강장의 정체가 특히 심하다. 에스컬레이터가 있는 공간은 긴 줄의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다.
이 상황에서 경의중앙선 열차까지 들어오면 그야말로 아수라장이 따로 없다. 이 정도면 3호선 승강장과 바로 연결되는 통로를 하나 만들어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지만, 주변을 보면 전혀 그럴 것 같지는 않다.
승강장 구조 하나 때문에 얼마나 많은 승객이 불편을 겪어야만 하는지 과연 역을 설계한 사람들은 그 부분을 알고 있을지 회의감이 드는 장면이다.